생명과학분야 학술정보 온라인 세미나!
BRIC은 생명과학분야 연구자들의 학술정보 교류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실 학술웨비나 발표연사를 모십니다.
학술웨비나 개최완료
LSD1 라이신 탈메틸화 효소의 단백질 공학을 활용한 히스톤 번역 후 변형들 간의 상호작용 연구 [Nat. Chem. Biol]
후성 유전학적 조절을 돕는 단백질 중 일부 효소는 히스톤 단백질의 번역 후 변형들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활성도가 조절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유전자 발현과 밀접하게 연관된 히스톤 Lys4 메틸화와 Lys14 아세틸화가 하나의 폴리펩티드 사슬에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H3K4me-H3K14ac), H3K4me를 탈메틸화하는 LSD1(histone demethylase) 효소의 활성도가 현저히 감소한다고 보고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세포 수준에서 이러한 기능의 중요성을 명확히 이해하기는 어려웠습니다. 이에 우리 연구팀은 H3K4me-H3K14ac의 시너지 효과가 LSD1의 활성을 억제하면서 여러 유전자 발현을 도울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습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Lys14 아세틸화에 민감하지 않은 돌연변이 형태의 LSD1(Y391K)을 제작하였습니다. Y391K 돌연변이를 K562 세포에 도입한 후 RNA-Seq 분석을 수행한 결과, 돌연변이 K562 세포에서 세포 접착과 관련된 유전자들이 억제되는 현상을 관찰하였습니다. 또한 CUT&RUN 실험을 통해 이들 억제된 유전자 대부분이 cis-regulatory 영역에서 다른 유전자에 비해 높은 수준의 H3K14ac를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히스톤 단백질의 번역 후 번형들 간 상호작용이 세포 내 효소의 생화학적 및 생물학적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시하였습니다. 앞으로 단백질 디자인을 통한 분자 도구들을 개발하여 이 상호작용들의 중요성을 더 깊이 연구할 계획입니다.
개최 완료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17일 (금) 오전 10시
연사
김영재(기초과학연구원, UNIST)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15일 (수) 오후 02시
연사
정영미(부산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14일 (화) 오전 11시
연사
김명석(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09일 (목) 오전 10시
연사
김재식(University of Pennsylvania)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08일 (수) 오후 02시
연사
김성은(서울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08일 (수) 오전 10시
연사
노수정(DGIST)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03일 (금) 오전 10시
연사
육상도(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학술웨비나
일시
2024년 12월 30일 (월) 오후 03시
연사
우선정(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학술웨비나
일시
2024년 12월 30일 (월) 오전 10시
연사
임동주(KAIST, IBS)
학술웨비나
일시
2024년 12월 27일 (금) 오후 03시
연사
정나눔(서울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