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분야 학술정보 온라인 세미나!
BRIC은 생명과학분야 연구자들의 학술정보 교류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실 학술웨비나 발표연사를 모십니다.
학술웨비나 개최완료
암 세포의 Glycocalyx 생물리학적 장벽을 극복하는 면역 공학[Nat. Mater.]
이 연구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Glycocalyx의 생물리학적 특성과 면역세포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입니다. Glycocalyx는 "sweet"을 의미하는 "glykys"와 "husk"을 의미하는 "halyx"의 합성어로, 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끈끈한 당질 외피를 말합니다. 특히 암세포는 표면에 비교적 두꺼운 glycocalyx 장벽을 형성하여 면역세포의 암세포 인식을 방해합니다. 그러나 glycocalyx의 물리적 특성이 분자 수준에서 어떻게 조절되고 면역 회피에 기여하는지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또한, 이러한 면역 회피 메커니즘이 면역공학을 통해 극복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가 남아 있습니다. 저희 연구에서는 암과 관련된 mucin의 발현과 glycosylation pattern이 glycocalyx의 나노 두께에 어떻게 기여하며 이를 통해 세포 독성 면역 세포와의 상호작용을 조절하는지를 조사했습니다. 또한, 우리는 세포 glycocalyx의 나노미터 수준의 물리적 크기와 구조적 조직을 이미지화하기 위해 Scanning Angle Interference Microscopy (SAIM)라는 간섭 기반의 이미징 도구를 개발했습니다. 이와 함께 genetic approach를 사용하여 암과 관련된 mucin의 표면밀도, glycosylation, mucin들의 crosslinking이 glycocalyx의 물리적 두께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밝혔고, 이 물리적 두께가 면역세포 공격에 대한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결과적으로, glycocalyx의 물리적 두께와 면역세포 살상 기능 사이에 강력한 상호 관련성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특히 자연살해세포 (Natural Killer cell)의 세포 독성은 표적 세포의 glycocalyx 두께와 거의 완벽한 역상관 관계를 보이며, 이는 glycocalyx의 물리적 특성이 암 면역 회피의 주요 결정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NK 또는 CAR-T 세포에서도 유사한 관계를 발견했습니다. 더불어, 면역세포 공학을 통해 glycocalyx 편집 효소를 세포 표면에 도입하여 면역 세포가 glycocalyx 장벽의 침투를 개선하고 세포 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암세포의 glycocalyx 장벽을 극복하는 면역공학 전략을 개발하는 데 동기를 부여합니다.
개최 완료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16일 (목) 오전 10시
연사
이광운(Harvard Medical School)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15일 (수) 오후 02시
연사
정영미(부산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14일 (화) 오전 11시
연사
김명석(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09일 (목) 오전 10시
연사
김재식(University of Pennsylvania)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08일 (수) 오후 02시
연사
김성은(서울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08일 (수) 오전 10시
연사
노수정(DGIST)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03일 (금) 오전 10시
연사
육상도(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학술웨비나
일시
2024년 12월 30일 (월) 오후 03시
연사
우선정(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학술웨비나
일시
2024년 12월 30일 (월) 오전 10시
연사
임동주(KAIST, IBS)
학술웨비나
일시
2024년 12월 27일 (금) 오후 03시
연사
정나눔(서울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