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분야 학술정보 온라인 세미나!
BRIC은 생명과학분야 연구자들의 학술정보 교류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실 학술웨비나 발표연사를 모십니다.
학술웨비나 개최완료
Secretome profiling을 통한 류마티스 활막세포 이동성 및 침습성에 대한 주요 조절인자 발굴 [Ann. Rheum. Dis.]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활막세포(fibroblast-like synoviocyte, RA-FLS)는 관절 파괴에 크게 기여하는 병인조직 ‘판누스’의 주요 구성 세포입니다. 활막세포가 자가면역 환경에서 변형되면 (transformed) 과도하게 증식하고 스스로 침습성을 가져 관절 조직을 파괴합니다. 류마티스 활막세포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단백질 분해효소, 파골세포 분화 인자 등 관절내 염증 및 관절 파괴에 기여하는 다양한 단백질들을 분비합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활막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에 대해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본 연구에서 저희들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직렬 질량분석 (liquid chromatography-tandom mass spectrometry)을 사용하여 류마티스 활막세포에서 분비되는 843개의 단백질을 발굴하였으며, 이 단백질의 48.5%는 판누스(pannus)에 의한 병리기전과 연관성을 가진 단백질임을 확인하였습니다. 관절의 초음파 및 염증 수치가 반영된 류마티스 환자의 활액에서도 병렬 반응 모니터링 (parallel reaction monitoring) 질량 분석을 통해 침습성 판누스와 강하게 연관된 16개의 주요 단백질을 선정할 수 있었습니다. 분석 결과에서 특히, 액틴 기반 세포운동성의 핵심 단백질로 알려진 MYH9이 류마티스 활막세포의 활성도와 강한 상관성을 보였습니다. 이를 실험으로 증명하기 위하여 류마티스 활막세포에 IL-1β, TNFα와 같은 염증성 자극과 더불어 톨-유사 수용체 경로 자극 및 소포체 스트레스 자극 시 MYH9이 증가되는 것을 보였습니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조직에서도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통하여 MYH9이 증가되어 있음을 보였습니다. 또한, MYH9을 특이적으로 저해하는 Blebbistatin을 류마티스 활막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활막세포의 이동 및 침습이 감소하였으며, 인간화 활막염 모델에서도 활막세포의 이동 및 침습이 감소됨을 입증하였습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류마티스 활막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MYH9이 류마티스 활막세포의 비정상적인 이동 및 침습을 지연시키는 단백질로 분자지표나 치료표적으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개최 완료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3월 21일 (금) 오전 10시
연사
박엘리야(University of Toronto)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3월 14일 (금) 오후 02시
연사
김정륜(고려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3월 06일 (목) 오전 10시
연사
정윤주(Brigham & Women's Hospital, Harvard Medical School, (현) 경희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27일 (목) 오전 11시
연사
이진구(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19일 (수) 오후 02시
연사
조성익(KAIST)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18일 (화) 오전 11시
연사
이다윗(Stanford University)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17일 (월) 오후 02시
연사
빈범호(아주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14일 (금) 오전 10시
연사
조상연(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12일 (수) 오전 11시
연사
유웅재(POSTECH)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11일 (화) 오후 03시
연사
이상민(POSTE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