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분야 학술정보 온라인 세미나!
BRIC은 생명과학분야 연구자들의 학술정보 교류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실 학술웨비나 발표연사를 모십니다.
학술웨비나 개최완료
새로운 조절세포사 캐리옵토시스에 의한 암세포의 제어 [Exp. Mol. Med.]
퇴행성뇌신경질환 환자에서 세포막의 파열로 인해 신경세포가 죽는 현상이 2018년 제시된 이후 최근까지 그 실체가 밝혀지지 않았으나, 세계 최초로 본 연구진에 의해 최근 캐리옵토시스 유발의 분자 기전이 규명되었고, 핵막의 폭발적 붕괴 과정에 대한 영상이 촬영되었다. CREB3의 활성화가 ER 및 골지를 거치는 경로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기존의 학설을 대체하는 새로운 학설로 핵막에 CREB3가 국재하고, 크로마틴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핵막의 온전성을 유지한다는 새로운 학설을 제시하였다. CREB3-FL의 자연적 분해산물인 CREB3-CF를 과발현하면, 해 막이 폭발하듯 터지며, CREB3를 핵막에서 탈고정화를 시키면 동일한 현상이 관찰하여, CREB3의 크로마틴 결합과 핵막의 고정화가 핵막 온전성을 유지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더욱이 CREB3-CF에 의해 유도되는 캐리옵토시스는 암세포의 노화를 유도하고, 그 결과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좁은 핵 안에 빡빡하게 수납된 크로마틴의 팽창력을 핵막 내재 단백질이 연계된 라미나가 1차적으로 차단한다. 하지만 핵은 항상 최대로 팽창된 형태로 세포질 중앙에 위치하여야 하는데, 이 힘은 세포질 골격이 연계되어 밖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담당하게 된다. 하지만 세포는 외부 자극에 의해 유전자 발현이 조절되는 헤테로크로마틴과 유크로마틴의 변화를 겪게 되고, 또 세포의 이동에 맞춰 형태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핵막이 터질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CREB3-FL가 크로마틴을 매개로 안으로 조이는 힘을 발휘하여 핵막이 터지지 않게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기전이 상실되게 되면 핵 모양이 변하게 되고, 그 결과로 암세포의 암화와 세포 증식 억제가 유도됨을 규명하였다.
개최 완료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3월 14일 (금) 오후 02시
연사
김정륜(고려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3월 06일 (목) 오전 10시
연사
정윤주(Brigham & Women's Hospital, Harvard Medical School, (현) 경희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27일 (목) 오전 11시
연사
이진구(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19일 (수) 오후 02시
연사
조성익(KAIST)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18일 (화) 오전 11시
연사
이다윗(Stanford University)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17일 (월) 오후 02시
연사
빈범호(아주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14일 (금) 오전 10시
연사
조상연(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12일 (수) 오전 11시
연사
유웅재(POSTECH)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11일 (화) 오후 03시
연사
이상민(POSTECH)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07일 (금) 오전 10시
연사
전푸름(한남대학교, 현 Nathan S.Kline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