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분야 학술정보 온라인 세미나!
BRIC은 생명과학분야 연구자들의 학술정보 교류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실 학술웨비나 발표연사를 모십니다.
학술웨비나
소자가 반복적인 변형이나 외력으로 의한 손상에서 물리적/전기적 성능을 스스로 회복하는 자가치유 기능은, 장기간 소자의 안정성을 ... 소자가 반복적인 변형이나 외력으로 의한 손상에서 물리적/전기적 성능을 스스로 회복하는 자가치유 기능은, 장기간 소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가치유 기능을 가진 생분해성 탄성 고분자와 전도성 복합체를 합성하고, 두 소재를 결합시켜서, 생체삽입형 바이오의료 전자시스템에 적용가능한 자가치유 생분해성 탄성 전도체를 개발했다. 이 전도체는 ~500%의 신축성과 ~1000 S/cm의 전도성을 보이며, 절단 및 재결합 이후 30초 내에 전도성을 완벽히 회복했다. 이를 기반으로, 방광 움직임을 모니터링하고 전기자극을 통해 배뇨를 유도할 수 있는, 자가치유 시한성 전자 의료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소자는 방광의 팽창/수축 하에서도 배뇨 신호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었고, 전기 자극을 통해 자연스러운 배뇨도 성공적으로 유도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 손상을 모사하고자 소자에 의도적으로 손상을 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원래의 진단/치료 기능을 빠른 시간 안에 회복하는 놀라운 성능을 보였다.
일시
2024년 10월 15일 (화) 오전 10시
연사
한원배(고려대학교,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한원배(고려대학교, Georgia...) 한원배(고려대학교,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학술웨비나
일시
2024년 10월 14일 (월) 오전 10시
연사
전희철(New York University)
전희철(New York University) 전희철(New York University)학술웨비나
물질대사 이상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이는 전체 대사의 재구성을 유도합니다. 특히, 돌연변이 효소에 의해 발생하는 물질대... 물질대사 이상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이는 전체 대사의 재구성을 유도합니다. 특히, 돌연변이 효소에 의해 발생하는 물질대사 이상은 1) 축적되는 기질의 처리와 2) 부족한 생성물의 보충을 위해 대사 경로를 재구성하게 됩니다. 저는 예쁜꼬마선충 모델을 활용하여 아미노산 류신의 물질대사 돌연변이를 연구하였으며, 돌연변이 효소에 의해 발생한 류신 대사 이상이 어떻게 대사 경로를 재구성하는지를 조사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처리되지 않은 기질이 독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대사물질의 독성이 선충의 먹이인 미생물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독성 저항성을 부여하는 미생물의 작용 기작을 연구하였습니다. 여기에 더하여 부족한 류신 대사 생성물이 어떻게 보상되는지를 조사함으로써 아미노산 류신 대사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었습니다.
일시
2024년 10월 10일 (목) 오후 02시
연사
이용욱(University of Massachusetts Chan Medical School)
이용욱(University of Massa...) 이용욱(University of Massachusetts Chan Medical School)학술웨비나
일시
2024년 10월 10일 (목) 오전 10시
연사
전지혜(Duke University)
전지혜(Duke University) 전지혜(Duke University)학술웨비나
암세포는 빠른 성장을 위해 많은 단백질 합성량을 필요로 합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lysine methyltransferase, SMYD5에 의한 ribosoma... 암세포는 빠른 성장을 위해 많은 단백질 합성량을 필요로 합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lysine methyltransferase, SMYD5에 의한 ribosomal protein L40의 methylation (rpL40K22me3) 이 위암세포의 단백질 합성을 조절하여 위암의 악성화 진행을 촉진한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또한, 위암 세포주에서 SMYD5-rpL40K22me3 신호를 억제하면 단백질 합성이 억제되어 종양 유전자의 발현이 약화된다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한편, 가족성 및 산발성 위암 마우스 모델에서 SMYD5 가 제거됐을 때 복막 전이를 포함한 전이성 위암의 진행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마지막으로 SMYD5 와 함께 PI3K/mTOR 표적 치료와 CAR-T 면역치료를 결합했을 때, 우리가 만든 전이성 위암 마우스 모델에서 위암이 치료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SMYD5 의 특이적 기질을 찾는 과정과 위암에서의 병리학적 역할에 대해서 발표 드리겠습니다.
일시
2024년 10월 08일 (화) 오후 02시
연사
박주형(Stanford University)
박주형(Stanford University) 박주형(Stanford University)학술웨비나
일시
2024년 10월 07일 (월) 오전 10시
연사
신진호(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신진호(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신진호(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학술웨비나
일시
2024년 09월 27일 (금) 오전 10시
연사
박현(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현 Absci)
박현(University of Illin...) 박현(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현 Absci)학술웨비나
생체나노과학은 분자 수준에서 나타나는 놀라운 특성들을 밝혀내며 다양한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나노과학... 생체나노과학은 분자 수준에서 나타나는 놀라운 특성들을 밝혀내며 다양한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나노과학을 현실에 적용하는데는 스케일과 관련된 큰 문제들이 남아있습니다. 자연에서 생성된 물질들은 계층적인 구조를 이루며, 나노미터에서 미터수준에 이르는 다양한 스케일에서 기능을 발휘합니다. 자연에서 영감을 받아, 우리는 생체모방 재료 설계와 조립을 통해 나노과학의 공학적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합니다. 이번 발표에서, M13 박테리오파지(파지)를 이용한 생체모방 소재 설계와 다중 스케일 기능성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파지는 유전자 조작과 정렬을 통해 프로그래밍 가능한 표면 특성과 상호작용을 구현할수 있는 안전하고 다재다능한 플랫폼입니다. 파지의 능력을 활용하여, 우리는 구조적 조직 공학 소재와 지속 가능한 화학적 분리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생체모방 설계와 조립이 어떻게 복잡한 조직공학소재를 만들어내고, 친환경적인 분리시스템을 구축할수 있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일시
2024년 09월 23일 (월) 오전 11시
연사
채인석(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채인석(University of Calif...) 채인석(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학술웨비나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에너지 생산을 비롯하여 선천성 면역 시스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에서 생성된 긴 ...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에너지 생산을 비롯하여 선천성 면역 시스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에서 생성된 긴 이중나선 RNA (mt-dsRNA)는 세포 스트레스 환경에서 세포질로 누출되어 면역반응을 유발하지만, 어떻게 mt-dsRNA가 조절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었습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미토콘드리아 RNA 결합 단백질을 대상으로 한 CRISPR 스크리닝을 활용하여 mt-dsRNA의 발현을 조절하는 인자를 찾고자 하였습니다. 미토콘드리아 RNA의 3 끝에 형성된 5-메틸시토신은 이를 인지 및 분해하는 단백질들을 불러모아 RNA 분해를 촉진하는 것을 처음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세포는 RNA 변형을 통해 미토콘드리아 RNA의 안정성을 조절함으로써 자가 면역을 유발하는 mt-dsRNA의 형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일시
2024년 09월 12일 (목) 오전 10시
연사
김수진(KAIST, 현 Boston Children's Hospital)
김수진(KAIST, 현 Boston Ch...) 김수진(KAIST, 현 Boston Children's Hospital)학술웨비나
노화로 인한 생물학적 민감성은 개인마다 장기마다 다릅니다. 저희는 젊거나 나이 많은 쥐의 간세포 전사체를 분석하여 노화 간세포 ... 노화로 인한 생물학적 민감성은 개인마다 장기마다 다릅니다. 저희는 젊거나 나이 많은 쥐의 간세포 전사체를 분석하여 노화 간세포 유전자 시그니처를 생성하였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인간과 대사 이상 관련 지방성 간질환이 있는 생쥐의 전사체 데이터를 분석하고, 쥐의 기능적 연구를 통해 시그니처를 전사체에 적용했습니다. 저희는 이 시그니처가 퇴화와 동시에 간질환을 촉진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또한, 이 시그니처에는 페롭토시스를 조절하는 유전자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나이 든 쥐는 대사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식이를 섭취했을 때 어린 쥐보다 간세포의 페롭토시스와 퇴화가 더 많이 발생합니다. 이때 페롭토시스를 억제하면 늙은 쥐의 간 전사체가 어린 쥐의 간 전사체로 이동하며 노화로 인해 악화된 간을 되돌린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일시
2024년 09월 09일 (월) 오전 11시
연사
전지혜(Duke University)
전지혜(Duke University) 전지혜(Duk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