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스토리를 담고 있는 연재를 만나보세요.
[Funky Science] 치매치료제 베타아밀로이드 타겟 항체 치료제가 극복해야할 부작용?!
Bio통신원(살덩이)
이번에 제작한 영상은 이전화(치매치료제의 희망? 베타아밀로이드 증폭 가설과 항체 치료제 레카네맙 그리고 아두카누맙)에 이어 말씀드린 대로 FDA 가속 승인을 받은 아두카누맙과 레카네맙이 넘어야 할 산 부작용에 대해 준비해 봤습니다.
치매 정복은 쉽지 않습니다!
해당 영상을 시청 후 -ARIA-H-ARIA-E 대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FDA lecanemab 허가자료
그림: FUNKY SCIENCE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오류 신고하기]
안녕하세요 저는 면역학을 한국에서 석사 졸업 후 Science communication의 본고장인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Science communication & Public engagement 전공 후 현재 자유로운 영혼을 실현하고 있는 Funky Science입니다. 펑크한 음악을 한 번쯤 들어보셨나요? 그 신나는 음악처럼 과학을 전달하고자 합니다! 과학은 왜 꼭 머리로 이해해야만 하는 걸까요? 그냥 그림과 음악과 함께 느낄 수 있으면 좋지 않을까요? 그래서 저는 과학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대학원생에게 무료로 논문을 볼 수 있게 해준 Sci-hub처럼 어려운 학술지와 그 연구를 있게 만든 과학자들의 결실을 대중들에게 펑키하게 전달하고 싶은데, 어때요. 저와 함께 레츠기릿~~~?!
다른 연재기사 보기
전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