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스토리를 담고 있는 연재를 만나보세요.
[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20. MBP 퓨전 단백질 시스템을 이용한 결합 단백질 찾기
Bio통신원(세오(필명))
타깃 단백질의 기능 중 타깃 단백질의 특정 지역에 어떤 단백질이 결합하여, 타깃 단백질의 특정 기능을 조절하는 타깃 결합 단백질을 찾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타깃 단백질의 특정 지역을 pMAL 벡터의 maltose-binding protein (MBP) 다운 스트림에 넣어서 MBP 퓨전 발현 벡터를 만듭니다 (노트 1, 출처 1). 이 발현 벡터를 박테리아에 넣어서 MBP 퓨전 단백질을 발현시킵니다. 퓨전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다음, 이 과발현 단백질을 Amylose resin과 인큐베이션 (incubation)해서 발현 단백질만 따로 추출합니다 (노트 2). MBP 퓨전 단백질의 컨트롤로 MBP만 들어있는 단백질을 추출합니다.
MBP 퓨전 단백질과 별도로 HeLa 셀을 키웁니다. HeLa 셀에서 추출한 단백질과 위에서 추출한 MBP 퓨전 단백질과 인큐베이션합니다 (노트 3). MBP 퓨전 단백질과 결합한 단백질 (HeLa 셀)을 추출합니다. 이 추출한 단백질 (MBP 퓨전 단백질+HeLa 셀 단백질)과 FLAG beads와 한 번 더 인큐베이션합니다 (그림 2). FLAG beads에 결합 단백질 (MBP 퓨전 단백질+HeLa 셀 단백질)을 추출합니다 (그림 2). 추출한 샘플을 젤에 로딩한 다음 단백질을 확인합니다. 젤에서 단백질 확인 후,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해 단백질을 분석합니다. 분석한 샘플을 바탕으로 추가 실험을 통해 타깃 단백질에 결합해서 타깃 단백질의 기능을 조절하는지 확인합니다.
실험 절차
작은 규모로 먼저 실험 조건을 잡고 그 후 큰 규모로 실험합니다.
· 타깃 단백질의 발현 지역을 PCR로 증폭합니다.
· 젤 러닝을 통해 타깃 지역이 제대로 증폭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제한 효소를 사용하여 타깃 지역과 pMAL 벡터를 처리합니다.
· 라이게이션 (ligation)합니다.
· 트랜스포메인션 (transformation)합니다.
· 항생제 (예, Ampicillin)가 들어있는 LB에 키웁니다.
· 최종 농도가 0.3 mM이 되도록 IPTG를 넣습니다.
· 30°C에서 2시간 키웁니다 (노트 4).
· 스핀을 해서 펠릿 (pellet)으로 만듭니다. (필요할 때까지 -81°C에 보관을 할 수 있습니다.)
· Column 버퍼를 펠릿에 넣습니다.
· 필요에 따라서 소니케이션 (sonication)을 합니다. (노트 5).
· MBP 퓨전 단백질을 추출합니다.
· 추출한 MBP 퓨전 단백질에 Amylose resin을 넣고, 오버나잇 (overnight) 인큐베이션합니다.
· 컬럼 버퍼로 워싱합니다.
· HeLa 셀을 키워서 HeLa 셀에서 단백질을 추출합니다.
· 추출한 HeLa 셀 단백질에 Protein A beads를 넣어서 4°C에서 한 시간 인큐베이션합니다 (노트 6).
· HeLa 셀에서 추출한 단백질과, 위에서 추출한 퓨전 단백질을 함께 오버나잇 인큐베이션합니다.
· 워싱한 뒤, 100 mM maltose로 실온에서 10분 인큐베이션합니다.
· 위에서 추출한 단백질에 FLAG M2 beads를 넣고, 오버나잇 인큐베이션합니다.
· FLAG M2 beads를 워싱하고 나서, IgG Elution 버퍼를 실온에서 10분 인큐베이션합니다.
· 추출한 용액의 1/10을 젤에 로딩하고, 실버 스테인 (Silver Staining)으로 염색합니다.
· 밴드를 확인 후 나머지 추출물을 젤에 로딩하고, Coomassie Staining으로 염색합니다.
· 웰을 2개로 나누어서 Mass Spectrometry을 위해 샘플을 보냅니다.
· 결과를 받으면 타깃 지역과 결합하는 단백질 후보를 찾습니다.
· 찾은 후보들을 추가 실험을 통해서 타깃 단백질의 기능에 변화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노트 7).
그림 2. MBP 퓨전 단백질 시스템 실험 절차 (출처: 본인)
노트
출처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오류 신고하기]
논문에 나온 실험을 따라서 하고 싶어도 논문에 실험 절차가 너무 간략하게 소개되어 있거나, 자세한 설명이 없어서 실험을 따라 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럴 경우 '같은 실험실 혹은 주위 실험실에서 실제로 유사한 실험을 한 사람의 실험 노트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라고 자주 생각했습니다. 이번 연재를 통해 제가 실험실에서 배운 내용을 같거나 비슷한 분야에서 연구하는 분들과 나누고자 합니다. 물론 제가 소개하는 내용이 최고라고 생각하지 않고, 소개하는 내용보다 더 좋은 실험 방법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자신만이 알고 있는 실험 방법을 공유하여 주시면, 같은 길을 걷고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다른 연재기사 보기
전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