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스토리를 담고 있는 연재를 만나보세요.
[연구논문을 위한 핵심 10단계] 논문 작성Tip다섯번째: 결론 작성법
Bio통신원(이나고)
요즘은 고찰과 결론 부분을 종합한 논문들이 늘어나고 있고, 저널들도 이를 지지하는 추세이지만, 많은 독자들은 대부분 결론부분을 확인 함으로써, 그 논문에 대한 평가를 하므로, 논문에서 결론은 매우 핵심적이고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임팩트있는 결론을 쓰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알아봅시다.
고찰을 별도로 작성하였다면, 결론 부분에서는 자세한 내용들을 서술하지 않아도 됩니다.
논문의 핵심적인 부분을 간추려 한 문단 정도로 결론을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첫째, 결론은 논문에서 의도하고자 하는 주요 결과들을 재요약하되, 논문의 주요 발견과 결론에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논문의 주요 결론이 세가지라면, 그 세가지를 정확하면서 간단명료하게 언급하여야 합니다. 이때 자세한 수치보다는 단어로 총괄적으로 요약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입니다. 또한, 서론이나 고찰에서 이미 언급하였던 학술 문헌에 대한 언급은 피하며, 결론에 부수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둘째, 결론은 논문의 목적에 그 결과가 얼마만큼 충족시켰는지, 그리고 논문의 결과는 서론에서 언급되었던 Hypothesis를 만족시켰는지 등 충분히 설명하여야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논문의 결론을 한 문장으로 간결하고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논문의 제목이 될 수도 있습니다.
셋째, 사실에 근거하여 가설을 세우고 실험 결과를 얻었으므로, 독자로 하여금 결론을 짓게 하는 것이 아닌, 저자가 실험 결과에 따른 결론을 지어야 한다. 논문에 포함된 실험 결과에는 저자의 결론이 반드시 있어야 하며, 이는 결론 부분에서 충분히 거론되어야 합니다.
상기의 고려사항들을 숙지하고 ‘결론’을 작성한다면, 임팩트있는 결론이 완성될 수 있을 것입니다.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오류 신고하기]
http://enago.co.kr 크림슨인터랙티브코리아(주) - 이나고(enago.co.kr) 는 서울대, 연세대, 동경대, 뮌헨대학교 등 세계 주요 대학의 박사과정생들을 비롯하여 125개국 81,000여명 연구원들의 약 365,000편 논문교정과 저널투고를 다방면에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Elsevier, Wiley, Brill, Emerald Publishing, Royal Society of Chemistry 등 유명 해외 출판사와 함께 세계 여러대학의 해외 저널(SCI / SSCI급) 투고에 동반자 역할을 합니다.
다른 연재기사 보기
전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