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연구동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생명과학관련 정보제공자를 모집합니다.
Bio리포트 동향리포트
식물 엑소좀의 연구 동향 및 산업적 응용
김세희(㈜셀렉스알앤디)
목 차
1. 식물 엑소좀의 연구동향
1.1. 식물 엑소좀의 연구배경 및 필요성
1.1.1. 식물 엑소좀 연구의 배경
1.1.2. 식물 엑소좀 연구의 필요성
2. 식물 엑소좀의 정의 및 특징, 산업적 응용
2.1. 식물 엑소좀에 대한 개요
2.1.1. 식물 엑소좀의 Biogenesis
2.1.2. 식물 엑소좀 분리 방법
2.1.3. 식물 엑소좀의 특성 및 성분분석
1) 식물 엑소좀의 물리학적 특성
2) 식물 엑소좀의 지질 구성 요소
3) 식물 엑소좀의 단백질
4) 식물 엑소좀의 핵산
5) 식물 엑소좀의 소분자 화합물
2.2. 식물 엑소좀의 산업적 활용
2.2.1. 식물 엑소좀을 활용한 치료제 개발 및 가치평가
2.2.2. 식물 엑소좀의 약물전달체 응용 및 가치평가
1) 식물 엑소좀의 약물 전달체로서의 장점
2) 식물 엑소좀의 약물전달체 연구방향
2.2.3. 식물 엑소좀의 화장품 산업 응용 및 가치평가
1) 식물 엑소좀의 피부 개선 효과
2) 식물 엑소좀 기반 화장품 시장의 성장
3) 주요 기업의 식물 엑소좀 기반 화장품 개발 현황
2.2.4. 건강기능성 식품 적용을 위한 식물 엑소좀의 잠재력과 안정성
3. 식물 엑소좀의 산업적 응용을 위한 결론 및 방향성 제시
3.1. 식물 엑소좀을 활용한 치료제 개발 시 고려사항 및 향후 방향
1) 식물 엑소좀의 GMP 가이드라인 적용
2) 식물 엑소좀의 의약품 개발을 위한 규제 현황
3) 식물 엑소좀의 치료제 개발 방향
3.2. 식물 엑소좀의 화장품 산업 적용 시 고려사항 및 향후 방향
1) 국가별 규제 준수 및 승인 절차
2) 품질 관리 및 제조 공정 관리
3) 식물 엑소좀의 성분 분석 및 기능성 평가
4) 식물 엑소좀의 화장품 산업을 위한 향후 연구 방향
4. 참고문헌
1. 식물 엑소좀의 연구동향
1.1. 식물 엑소좀의 연구배경 및 필요성
1.1.1. 식물 엑소좀 연구의 배경
식물 유래 엑소좀 나노소포(PELNVs, Plant exosome-like Nanovesicles) 또는 식물 엑소좀(Plant-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은 최초로 세포 엑소좀의 존재가 보고된 [1, 2] 해 보다 약 15년 앞선 1967년에 관찰되었다 [3]. 그러나, 분리 정제 기술의 제약으로 오랫동안 주목받지 못하다가, 초고속 원심분리(differential ultracentrifugation)와 당밀도구배(sucrose gradient) 기법 등의 분리방법의 발전으로 식물 엑소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기 시작했다. [4, 5]. 식물 엑소좀은 식물 세포 내 다중소포체(Multivesicular Bodies, MVBs)가 원형질막과 융합해 세포 밖으로 방출되는 소포(Extracellular vesicles, EVs)로, 병원체 침입에 대한 식물의 면역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6, 7]. 또한, 식물 세포 간의 정보전달체뿐만 아니라 식물-동물 간(Inter-kingdom) 상호작용의 핵심 매개체로서도 역할을 한다 [4].
일반적으로 세포 엑소좀은 직경 30~150 nm 크기의 이중지질 형태의 막성 소포(Vesicle)로, 다세포 생물의 거의 모든 세포 유형에서 분비되며, 세포막 내부(endosomal pathway)에서 형성되는 다중소포체가 원형질막과 융합하면서 세포 밖으로 방출되는 기작을 갖는다 [8]. 초기에는 세포 내 노폐물 제거를 위한 배출 기전, 즉 ‘세포 잔여물(Cellular debris)’ 또는 ‘세포 노폐물(Cellular garbage)’ 정도로 인식되었으나 [2, 9], 이후 엑소좀 내부에 포함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이 세포 대사, 면역조절,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조절 그리고 대사조절 등 광범위한 생리학적 기능이 보고되면서 학계의 큰 주목을 받았다 [10, 11]. 버려지는 세포배양액에서 얻을 수 있는 생물학적 가치가 높은 엑소좀은 많은 연구자들에게 매력적인 연구대상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물 엑소좀은 세포 엑소좀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적었다. 기존 합성 나노입자의 높은 독성과 면역원성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생체 적합성이 높은 세포 엑소좀에 연구가 집중되어졌다. 그러나, 세포 엑소좀은 세포의 유지 및 관리, 분리 및 정제에 따른 낮은 생산량, 인수공통 유래의 병원체 관리 등 높은 개발비용으로 산업적 응용에 어려움이 있다. 식물 엑소좀은 세포 엑소좀에 비해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섭취가 가능하여 경구투여에 대한 장점이 있고, 세포 엑소좀에서 기대할 수 있는 면역조절, 항암, 상처치유, 항염증 등의 광범위한 생리학적 역할과 낮은 면역원성이 확인되었다. 현재 식물 엑소좀은 식품·화장품·의료·바이오 소재로 가치를 재조명 받고 있으며, 세포 엑소좀과 더불어 많은 연구 성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1.1.2. 식물 엑소좀 연구의 필요성
식물 엑소좀은 여러 면에서 장점이 있다. 첫째, 안정성(Stability)이 뛰어나며, 온도, pH, 초음파 처리 등의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특성을 보인다 [12]. 둘째, 안전성(Safety) 및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다. 세포 독성 실험결과, 다양한 식물 유래 엑소좀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동물 실험에서도 주요 장기에서 병리학적 변화가 없어 안전하다 [13], 세포 엑소좀과 달리 인수공통 병원체를 지니지 않는다는 점에서 안전성 측면에서 더욱 유리할 수 있다 [14]. 셋째, 대량생산이 용이하다. 식물 엑소좀은 세포 엑소좀에 비해 다양한 종류의 식물에서 얻을 있고, 배양이 불필요하여 대량생산이 쉽고, 여러 식물에서 높은 농도의 엑소좀이 추출되어 상업적 생산에 적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흡수 및 생체 분포도 중요한 장점이다. 여러 경로를 통해 체내로 흡수되며, 경구 투여 시 주로 장에서 흡수되고, 일부는 간으로 이동한다. 섭취를 통해 체내에 흡수되어 타 종과의 상호작용에 기여하는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세포 간 신호 전달뿐만 아니라 경구 섭취 후 장내 세포와 상호작용하거나 피부 투과를 통해 생체조절을 수행하는 등 다양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15]. 특정 식물에서 유래한 엑소좀이 장내 미생물에 의해 선택적으로 흡수되어 장-간 축을 따라 이동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은 식물 엑소좀의 치료 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 덕분에 식물 엑소좀은 치료적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생리 활성 물질로, 다양한 질병 치료에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식물 엑소좀은 일반적인 세포 엑소좀처럼 지질, 단백질, RNA 및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 등을 함유하고 있다. 세포 엑소좀이 질병 바이오마커로 널리 활용되는 반면, 식물 엑소좀은 질병치료 및 약물 전달 능력으로 인해 경구투여가 가능한 약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응용될 가능성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16].
2. 식물 엑소좀의 정의 및 특징, 산업적 응용
2.1. 식물 엑소좀에 대한 개요
식물 엑소좀은 식물의 다양한 부위(주스, 뿌리, 씨앗, 건조 식물 재료 등)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밀도, 크기, 기원 세포, 생화학적 조성 등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나타낸다. 식물 엑소좀은 세포 엑소좀에 비해 식용 가능하고 재배가 쉬운 다양한 식물에서 대량으로 얻을 수 있어, 효율적이고 풍부한 생산이 가능하다. 세포 엑소좀과 마찬가지로 독성과 면역원성이 없어 체내 안정성과 생체적합성이 매우 높다고 알려져 있다 [18]. 수십만 개에 달하는 식물 종으로부터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그 효능도 매우 다채롭다.
식물 엑소좀은 식물 세포 내 존재하는 엑소좀으로 다양한 형태의 소포를 포함하고 있다. 다중소포체에서 유래한 작은 소포로 식물 세포막과 융합하여 세포 외부로 방출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엑소좀과 좀 더 큰 사이즈(200~500nm)인 엑소시스트 복합체(EXPO, exocyst-positive organelle)에서 유래한 소포, 박테리아 감염에 방어할 수 있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액포(Vacuole)에서 유래하는 소포가 있으며, 자가포식체(Autophagosome)에서 유래한 소포가 있다 [19].
세포 엑소좀은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인자들을 함유하는 다양한 엑소좀이 보고되고 있으며 [20], 식물 엑소좀도 다양한 크기와 형태가 존재하며 단백질, 지질, RNA, 대사체 등 다양한 생체 분자를 함유한다 [19]. 같은 식물이라도 엑소좀을 추출하는 부위, 분리 및 정제방법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엑소좀이 보고되고 있다 [21].
2.1.1. 식물 엑소좀의 Biogenesis
세포에서 엑소좀 생성은 초기 엔도좀(early endosome)의 형성으로 시작된다. 세포막의 함입(invagination)으로 형성된 초기 엔도좀(early endosome)은 생체활성 물질을 축적하며, ESCRT 복합체(endosomal sorting complex required for transport)와 관련 단백질의 조절 하에 후기 엔도좀(late sorting endosome, LSE)을 거쳐 최종적으로 다중소포체를 형성하게 된다 [22]. 다중소포체의 외막이 세포막과 융합하면 내부의 소포들이 엑소좀으로 분비되고, 이 과정에서 ESCRT-0, I, II, III 복합체와 VPS4 ATPase가 순차적으로 작용하여 소포 형성과 소포내 인자들를 조절(cargo-sorting)한다 [8].
식물 세포의 엑소좀 생성 과정도 기본적으로 유사한 메커니즘을 따른다. 식물 세포 내 트랜스 골지 네트워크(trans-Golgi network, TGN)나 초기 엔도좀에서 시작되어, 성숙하며 다중소포체를 형성한다. 이때 내부의 ILVs(Intraluminal Vesicles)는 mRNA, miRNA, DNA, 지질 등을 선택적으로 로딩하고, 결국 다중소포체가 세포막과 융합하여 엑소좀을 세포 밖으로 내보낸다 [6, 23].
식물 엑소좀의 생성 및 분비 메커니즘은 동물 세포에서 관찰되는 엑소좀과 유사하게 ESCRT 복합체가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동물 세포와 식물 세포의 엑소좀 생성 과정(biogenesis)은 상당한 유사성을 보이지만, 식물 세포에는 동물 세포의 ESCRT-0에 해당하는 정확한 복합체가 없다. 대신 TOM1-like (TOL1) 단백질이 VHS (VPS27, HRS, STAM) 도메인을 가지고 있어 ESCRT-0의 역할을 대신한다 [24].
식물 세포는 세포벽을 가지고 있어 엑소좀 생성 및 분비 과정이 동물 세포와 다를 수 있다. TOL 단백질은 식물 특이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세포막으로의 소포 내 인자 조절 및 출아(budding) 과정이 동물 세포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식물 엑소좀은 병원체 감염이나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 생성되는 경우가 많아 병원체 감염 부위에서 MVB의 증식이 촉진되어 식물의 선천성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5, 25]. 즉, 식물 엑소좀의 생성 및 분비 기작은 식물의 생리학적 기능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세포벽 리모델링 효소와 방어 단백질을 풍부하게 함유하여 세포벽 재구조화와 병원체 방어 등 식물 생육과 방어 체계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2.1.2. 식물 엑소좀 분리 방법
식물 엑소좀 분리법은 세포 엑소좀 분리 방법과는 달리, 엑소좀 분리 및 정제 전에 식물의 전처리가 필요하다. 식물세포의 단단한 세포벽을 분해하고 내용물을 추출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후, 세포 엑소좀의 분리법과 같은 다양한 분리 및 정제 기술이 적용된다. 접선흐름여과(TFF), 원심분리(Ultracentrifugation) 등의 기기 기반 방법과 폴리머 침전법, 항체(antibody) 및 비드(bead)를 활용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엑소좀 외의 불순물이 함께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한계가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밀도 구배 분리법을 이용한 원심분리는 저비용과 조작의 용이성 때문에 식물 유래 엑소좀 분리의 "골드 스탠다드"가 되었다 [27]. 초원심분리와 밀도구배 원심분리는 특정 원심력 하에서 엑소좀과 다른 성분들의 크기와 밀도 차이를 이용하여 엑소좀을 분리한다. 이 방법은 성숙하고 저렴하며 대용량 샘플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수행하기에 지루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회수율이 불안정하고 엑소좀이 손상될 수 있다. 자당밀도구배 원심분리는 주로 엑소좀의 정제에 사용되며 고순도의 엑소좀을 얻을 수 있다.
2.1.3. 식물 엑소좀의 특성 및 성분분석
1) 식물 엑소좀의 물리학적 특성
식물 엑소좀은 식물원료의 종류 및 부위, 착즙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 따라 다양한 크기(50~400nm)와 제타전위(Zeta-potential)를 나타낸다 [28]. 엑소좀의 고해상도의 성상 및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원자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copy, AFM), 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Cryo-EM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형 또는 타원형, 컵 모양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29].
2) 식물 엑소좀의 지질 구성 요소
지질은 엑소좀의 지질 이중충 구조에 필수적인 요소로, 식물 엑소좀은 세포 엑소좀과 지질 구성과 기능 면에서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보인다. 식물 엑소좀은 다양한 인지질(phospholipids)과 글리세롤 지질(glycerol lipids)이 주요 지질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구성 요소로는 phosphatidic acid (PA), phosphatidylethanolamine (PE), phosphatidylcholine (PC), phosphatidylinositol (PI), 그리고 diacylglycerol (DG)이 있다. 이들은 식물 엑소좀의 안정성, 흡수, 생물학적 기능에 필수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식물 엑소좀의 phosphatidic acid(PA)는 장내 체류 시간과 Lactobacillaceae 계열 세균에 대한 흡수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30, 31], 세포골격 재배열과 소포체 내포작용(endocytosis)을 통해 식물 엑소좀의 흡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2]. 또한, PC는 장에서 간으로의 PELNV 이동을 증진시켜 체내 전달 효율을 높인다 [33]. 반면, 세포엑소좀은 phosphatidylserine, cholesterol, sphingomyelin, ceramides 등의 특정 지질을 포함하며 식물 엑소좀에는 cholesterol이 아주 낮거나 검출되지 않는다.
3) 식물 엑소좀의 단백질
엑소좀의 단백질 구성은 그 기능적 역할에 매우 중요한데, 식물 엑소좀은 주로 transmembrane 단백질과 세포막 단백질로 구성된다. 세포 엑소좀에서는 transmembrane 단백질인 CD63, CD81, CD9와 같은 표지 단백질이 존재하여 엑소좀의 생성, 분비 및 표적 세포와의 상호작용에 관여한다 [34, 35]. 식물 엑소좀의 경우 아직 명확한 마커가 규명되지 않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23]. Annexins는 감귤 주스, 해바라기 씨앗, 애기장대(Arabidopsis) 잎 등 다양한 원료에서 채취한 식물 엑소좀에서 검출된 단백질로,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 반응과의 밀접한 연관성을 의미한다 [36]. 일부 연구에서는 열충격 단백질(Heat shock protein)과 감귤, 포도, 브로콜리, 애기장대(Arabidopsis) 와 같은 식물 원료에서 추출한 엑소좀에서는 아쿠아포린(Aquaporin)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막 단백질은 세포막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세포 내 신호 전달, 면역 반응 및 물질 운반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된다.
4) 식물 엑소좀의 핵산
식물 엑소좀 내부에는 DNA, mRNA, miRNA, 그리고 기타 non-coding RNA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핵산들은 타깃 세포 내에서 유전자 발현 및 단백질 합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37]. 특히, miRNA는 세포 간 신호 전달과 기능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지만 [38], 외부에 노출되면 RNase에 의해 쉽게 분해될 수 있으므로 엑소좀 내부에 패키징 되어 안정적으로 전달된다. 식물 엑소좀은 다양한 RNA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RNA는 타깃 세포의 형태와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39].
5) 식물 엑소좀의 소분자 화합물
신선한 과일, 채소, 약초 등에서 유래한 식물 엑소좀에는 항염, 항암, 항바이러스 등 다양한 생리활성 소분자 화합물이 함께 탑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오이의 쓴맛을 내는 쿠쿠르비타신(Cucurbitacin B), 자몽에 포함된 성분인 나린진(Naringin), 생강 엑소좀은 진저롤(6-gingero)을, 브로콜리 엑소좀에는 설포라판(sulforaphane), 회화나무 추출물에는 루틴(Rutin)을 함유하고 있어 각각 항염 및 항암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소분자 화합물은 식물 엑소좀의 치료적 활용 가능성을 높이는 동시에, 엑소좀의 생물학적 기능에 기여하는 중요한 성분으로 작용한다 [27].
2.2. 식물 엑소좀의 산업적 활용
식물 엑소좀은 다양한 식물에서 분쇄나 착즙을 통해 쉽게 추출할 수 있어, 배양이 필요한 세포 엑소좀보다 대량 생산에 유리하다. 뿐만 아니라, 인수공통 감염성 인자로부터 자유로워 안정성이 높으며, 나노 사이즈로 피부조직 침투성이 우수하고 면역원성이 낮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의약품 및 약물 전달체, 화장품, 건강 기능성 식품적용 가능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향후 분리 및 정제 기술의 발전과 함께 식물 엑소좀의 활용 범위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2.2.1. 식물 엑소좀을 활용한 치료제 개발 및 가치평가
식물 유래 엑소좀은 단순한 식물 추출물과 달리, 식물이 원래 지닌 생리활성 성분들을 세포외소포의 형태로 안정적으로 담지하고 있어 새로운 치료제 또는 건강기능 소재로의 응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관점은 인류가 오랫동안 약용식물을 질병 예방과 치료, 건강 관리에 활용해 온 역사와도 연결된다. 서양의학과 한의학 모두 수천 년 전부터 약용 성분을 함유한 식물에서 유래되었으며,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서양의학은 활성 단일 화합물 중심의 표적치료로, 한의학은 천연물 혼합물 기반의 전신적 균형 회복 치료로 발전해 왔다 [40]. 전통적으로 ‘약초’라 불리는 식물에는 다수의 생리활성 성분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며, 그중 일부는 기존 화합물 분석 방식으로는 충분히 분리·확인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식물 엑소좀은 이러한 복합 생리활성 물질들을 안정적으로 담지하고 있어, 단일 성분을 기반으로 한 제형(예: 합성 비타민 등) 보다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다.
식물 엑소좀은 식물 세포 간의 신호 전달에 관여하며, 내부에 mRNA, miRNA, 생리활성 지질, 단백질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식물의 선천 면역을 조절하고, 병원체의 침입에 대한 방어 기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4]. 이러한 식물 엑소좀의 생리활성 인자들이 종을 초월해 동물 세포로 전달될 수 있으며, 실제로 유전자 발현 조절이나 면역 반응 유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식물 엑소좀이 정보전달체로서의 기능을 인간 세포에도 확장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인체의 병리적 상태 완화에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준다 [41].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식물 엑소좀은 외부 병원체로부터의 방어뿐 아니라, 손상된 조직에서 세포 증식과 이동을 촉진하고, 세포 분화 및 신생혈관 형성, 면역 반응 조절, 장내 미생물 균형 유지, 활성산소 제거 등 다양한 생리학적 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기전을 바탕으로, 식물 엑소좀은 항암, 항염, 항산화, 조직 재생 등 다양한 질환 치료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41, 42].
생체 적합성이 높은 천연 물질로 구성되어 있고, 면역반응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약물의 체내 분포 및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물 엑소좀은 약물의 내재된 치료효과와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28].
2.2.2. 식물 엑소좀의 약물전달체 응용 및 가치평가
1) 식물 엑소좀의 약물 전달체로서의 장점
식물 엑소좀은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추출되는 나노입자로, 동물세포 유래 엑소좀이나 합성 나노입자(리포좀 및 LNP)에 비해 여러 면에서 우수한 약물 전달체로 주목받고 있다 [30, 48]. 식물 엑소좀은 그 자체의 생리활성 물질과 함께 약물을 적재할 때 내재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기존의 합성 나노입자는 약물의 비특이적 축적, 독성 및 면역원성 문제를 내포하고 있으며, 세포 엑소좀 역시 병원성 전파나 부작용의 위험을 동반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식물 엑소좀은 천연 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생체적합성이 높고, 면역반응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약물의 체내 분포 및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6].
또한, 식물 엑소좀은 세포 엑소좀과 마찬가지로 이중 지질막으로 구성되어 있어, 약물의 수용성 및 지용성이나 miRNA, 단백질, small molecule 등 다양한 형태의 약물 탑재가 가능하다. 식물 엑소좀은 소화기관 내 안정성이 높고, 필요시 물리학적 또는 화학적인 방법으로 입자 크기 조절과 표면 개질(Surface engineering)을 통해 더욱 정밀한 형태의 약물 전달체의 타깃 세포나 조직에 표적 전달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들은 식물 엑소좀이 합성 나노입자나 세포 엑소좀 보다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약물 전달 플랫폼으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임상 적용 및 신약 개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2) 식물 엑소좀의 약물전달체 연구방향
식물 엑소좀은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분비되며 내재된 생리활성 성분과 약물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49]. 다양한 방법들을 적용하여 다양한 약물을 탑재하고, 표면 엔지니어링(surface engineering)을 통해 효율적인 체내 분포와 원하는 부위에 식물 엑소좀을 전달할 수 있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약물 탑재(loading/encapsulation) 기술은 이들 나노소포체의 응용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내재적(Endogenous)과 외재적(Exogenous) 로딩방법으로 크게 구분되며, 외재적 로딩방법은 다시 passive와 active loading으로 나뉜다. Passive loading은 식물 엑소좀과 약물 성분을 단순히 co-incubation 하는 방식으로, 약물 분자가 지질 이중층을 통한 확산 및 소수성 상호작용에 의해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 방법은 적용이 간편하고 소포체에 미치는 손상이 적으나, 탑재 효율은 낮은 편이다. 반면, active loading은 초음파(sonication), electroporation, 동결-해동, 또는 계면활성제 등을 이용하여 엑소좀 막에 일시적인 미세구멍을 형성, 약물 성분을 적극적으로 주입하는 방법으로, 높은 율을 보이나 막 구조 손상이나 약물의 부착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조건 최적화가 필수적이다. 또한, 식물 엑소좀에서 지질 추출법(Bligh and Dyer 방법) 등으로 총지질을 추출한 후, 초음파 처리 및 압출 공정을 통해 균일한 크기의 나노입자로 재구성되어, 체내 분포와 종양 조직 내 축적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50].
또한, 엑소좀의 표면 엔지니어링(surface engineering)은 약물 전달의 표적화 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엑소좀의 표면에는 인지질, phosphatidic acid 등의 세포 부착 분자가 존재하지만, 외부에서 DSPE, DMPE와 같은 인지질 기반 분자를 이용해 엽산, 히알루론산, 세포투과성 펩타이드 등 다양한 표적 리간드를 부착함으로써 원하는 조직이나 세포로의 선택적 전달이 가능하다 [51]. 이러한 표면 조절 기법은 엑소좀의 고유한 생체적합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정밀한 표적화 및 체내 생체분포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약물 전달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식물 엑소좀은 자연 그대로의 생리활성 인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세포엑소좀에 비해 효율적인 제조공정을 기반으로 경제적 장점이 높다. 다양한 약물 로딩 방법과 엑소좀 지질 추출을 통한 엑소좀 지질 및 크기의 재구성, 표면 엔지니어링 방법을 적용하여 균일한 입자 크기 및 향상된 약물전달체를 제작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약물 적재 방법과 표면 엔지니어링 기술을 최적화하여, 이들 엑소좀의 표적화 능력, 생체 안정성, 그리고 임상 적용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2.2.3. 식물 엑소좀의 화장품 산업 응용 및 가치평가
1) 식물 엑소좀의 피부 개선 효과
식물 엑소좀은 이종 간 신호 전달이 가능함이 밝혀지며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식물 엑소좀은 비 침습적인 방법으로 국소용 크림, 세럼 및 마스크 팩에 포함하면 다양한 항노화 효과를 타나 내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52]. 피부 세포 활력 증진, 콜라겐 생성 촉진을 통한 탄력 및 보습력 향상뿐만 아니라, 항산화, 항염증, 미백, 주름 개선 등 다양한 피부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화장품 업계의 혁신적인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53]. 스킨케어에서 엑소좀의 효과는 피부장벽을 통과하여 생리활성 물질을 전달하는 능력에 따라 좌우된다. 엑소좀은 세포에 세포내이입(endocytosis), 포식작용(phagocytosis), 직접 융합(direct fusion) 등의 경로를 통해 침투할 수 있다. 경피 전달(transdermal delivery)을 위해, 엑소좀은 피부 부속기관(모공 및 땀샘), 세포 간 그리고 세포 내 경로를 통해 피부를 통과한다. 엑소좀의 나노 사이즈 크기와 융합 가능한 지질막 덕분에 이들은 각질층을 효율적으로 통과하여 더 깊은 피부층에 도달하여 효과를 발휘한다 [23].
2) 식물 엑소좀 기반 화장품 시장의 성장
엑소좀 기반 주요 기업 엑소코바이오가 2017년 세계 최초로 엑소좀 신소재 2종인 피-엑소좀(P-Exosome™)과 아디포좀(Adiposome™) 국제 화장품 원료집(ICID)에 등재 [54] 하며 엑소좀 기반 화장품의 관심이 확대되었다. 엑소좀 기반 화장품 시장은 600억 원이며, 3조 원 이상의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55].
엑소좀 기반 화장품 시장은 천연 성분에 대한 높은 선호도와 함께 줄기세포 엑소좀에서 식물 엑소좀으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식물 엑소좀은 세포 엑소좀 대비 윤리적, 안전성 우려가 적다는 장점도 시장 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병풀(Centella asiatica)에서 추출한 엑소좀은 '시카좀(Cicasome)' 또는 '센텔라좀(Centellasome)'으로 불리며, 많은 화장용 제품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동국제약의 더마코스메틱 브랜드인 센텔리안24는 병풀추출물 기반 화장품 라인으로 누적매출 1조 원을 달성했다 [56]. 최근에는 녹차, 쌀, 브로콜리 등 다양한 식물에서 추출한 엑소좀을 활용하여 피부 진정, 항산화, 보습, 미백 효능을 강화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엑소좀의 안정성 및 피부 흡수율을 높이기 위한 제형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 중이며, 피부과나 에스테틱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문적인 치료 제품과 매일 사용할 수 있는 홈케어 제품으로 구분되어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
최근 화장품 소비자들은 단순한 자연 유래를 넘어, 성분의 안전성, 친환경 공정, 지속가능한 생산 방식을 중시하는 ‘클린 뷰티(Clean Beauty)’ 트렌드로 이동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식물 유래 엑소좀은 고기능성은 물론, 자연 유래·저자극·환경 친화적 특성을 갖춘 차세대 기능성 원료로 주목받고 있으며, 화장품 시장에서도 일시적 유행을 넘어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3) 주요 기업의 식물 엑소좀 기반 화장품 개발 현황
엑소코바이오는 지방줄기세포 엑소좀과 로즈 엑소좀이 함유된 ASCE+SRLV 제품과 로즈엑소좀이 함유된 ASCE+IRLV 제품이 출시되었으며, (주)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는 유칼립투스 엑소좀과 자소엽 엑소좀을 확보하여, 고농도 식물성 엑소좀 스킨부스터인 Exoline을 피부와 필러를 판매하고 있다. 2020년 설립된 (주)웰에이징엑소바이오는 황칠나무 잎에서 분리한 엑소좀을 화장품과 식품 원료로 개발하여 한국과 미국에 원료등록을 하였고 식물 엑소좀을 함유한 화장품인 엑소드랍을 론칭하고, 피부 저자극 테스트와 미국 FDA 인증을 통해 제품의 안전성을 입증하였다 [57]. 한국콜마홀딩스는 타임바이오와 휴메딕스는 엑소스템텍과 엑소좀 기반 치료제와 화장품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도 체결하였다 [58].
2.2.4. 건강기능성 식품 적용을 위한 식물 엑소좀의 잠재력과 안정성
식물 엑소좀은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건강기능성 식품산업의 차세대 바이오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식용 가능한 식물로부터 분리한 엑소좀은 소화 과정에서도 막 구조를 비교적 잘 유지하며, 크기 및 표면 전하의 변화만을 보일 뿐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경구 투여 시 위장관 환경을 견디고 대장까지 도달할 수 있으며, 엑소좀의 식물 유래 원천에 따라 대장 내 염증을 완화하거나 간세포로 이동하여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등 다양한 생리학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9, 60]. 이러한 특성은 기능성 식품의 활성 성분으로서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제로 최근에는 위장 부담을 줄이고 체내 흡수율을 높인 ‘리포좀 비타민C’ 제품이 시중에서 쉽게 구매 가능할 정도로 기능성 전달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61]. 이에 따라, 리포좀을 대체하여 식물 엑소좀을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판매하고자 하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식물 엑소좀을 기능성 식품으로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소화 환경에서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가공 및 저장 과정에서도 구조적·기능적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현재까지의 연구에서는 소화효소에 대한 저항성이 일부 확인되었지만, 식품 가공 시 적용되는 열처리, pH 조절, 동결-해동 사이클 등 가혹한 조건에서 엑소좀의 막 구조와 생리활성 인자가 얼마나 유지되는지는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또한, 식물 엑소좀은 원료 식물에 따라 서로 다른 안정성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으며, 상업적 유통을 고려할 경우 냉장 또는 상온에서도 안정하게 보관이 가능한 제형화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62].
결론적으로, 식물 엑소좀은 우수한 생체적합성, 경구 투여 가능성, 다양한 건강 기능성 측면에서 기능성 식품 분야의 혁신적인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실제 응용을 위해서는 가공, 저장, 유통 과정 전반에서 엑소좀의 구조적·기능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 마련과 체계적인 안정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식물 원료에서 유래한 엑소좀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식품 가공 조건 하에서 유효성분의 안정성을 검증함으로써 상업적으로 실현 가능한 기능성 식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3. 식물 엑소좀의 산업적 응용을 위한 결론 및 방향성 제시
3.1. 식물 엑소좀을 활용한 치료제 개발 시 고려사항 및 향후 방향
식물 엑소좀은 생체 이용률 향상, 표적화 능력 강화, 낮은 독성 등의 이점을 바탕으로, 다양한 질병 치료 및 약물 전달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반면, 천연물 또는 약용식물로부터 추출한 한방 추출물은 구성 성분의 다양성과 복합성으로 인해 치료 효능을 정량화하기 어렵고, 다중 타깃 특성으로 인해 기전 연구에도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표준물질의 부재, 시험법의 미비, 재현성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기존 한방 유래 소재에는 신약개발에 요구되는 표준화된 품질관리 시스템 적용이 제한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약용식물 유래 엑소좀에 대해 최신화된 분리·정제 및 분석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신약개발 과정에 적합한 표준화 및 품질관리 체계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궁극적으로, 연구 개발 단계의 식물 엑소좀을 실제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을 충족하고, 각국의 규제 정책에 부합하는 제조 및 평가 체계의 마련이 필수적이다.
1) 식물 엑소좀의 GMP 가이드라인 적용
식물 엑소좀의 효능 및 안정성은 식물의 추출 부위, 식물의 건조상태, 분리 및 정제 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첫 번째로, 원료 식물의 관리와 추출방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원료 식물의 생산 관리(환경 조건, 수확 시기, 식물의 연령 등)가 용이하고 식물 부위 등을 고려하여 대량생산이 간편한 식물종을 선택하여야 한다. 두 번째로, 분리 및 정제 방법을 최적화하여 생산 수율, 순도 관리, 약효 물질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공정을 확립해야 한다. 세 번째로, 식물 엑소좀의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 분석을 통해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품질 요소를 선정하고, 공정 중간 물질에 대한 공정중간관리(IPC, In-Process Control) 항목을 설정해야 한다. 또한, 최종 제품의 품질관리를 위한 품질관리기준(QC, Quality Control)을 마련하여, 확인, 순도, 역가 등을 평가할 수 있는 시험방법을 개발·확립해야 한다 [63, 64].
식물 엑소좀 자체를 약으로 개발하거나 또는 원하는 약물이 로딩된 형태를 개발할 때, 약효 물질(API,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을 규명하고 생산되는 배치마다 치료 효과가 재현될 수 있도록 생리활성 자료를 확보해야 한다. 실험실 스케일의 연구단계에서 식물 엑소좀의 활성 성분과 타깃 질환에 대한 효과 및 작용 기전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식물 엑소좀의 원료 물질, 추출 방법 등의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적용하고 성상, 단백질, DNA 및 RNA, 바이오 마커, 지질 등 다양한 특성자료들을 축적하여 임상적용을 위한 개발단계에 중요한 자료로 쓰일 수 있다 [29].
2) 식물 엑소좀의 의약품 개발을 위한 규제 현황
유럽연합(EU)에서는 천연물의약품에 대한 심의위원회 Committee on Herbal Medicinal Products (HMPC), Committee for Medicinal Products for Human Use (CHMP), Committee for Veterinary Medicinal Products (CVMP)가 공동으로 2022년 가이드라인 [65]을 발표하여, 천연물 의약품에 적용되는 주요 품질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이 가이드라인은 물리화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 분석과, 확인 마커, 정량 및 정성 분석 등 다양한 품질 관리 요소를 포함하며, 각 제조 배치 간의 재현성 있는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임상시험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는 않으나, 식물 엑소좀을 활용한 임상시험은 총 5건이 검색되었다 (표 5). 그러나, 진행된 임상시험의 결과에 대한 자료를 찾기는 어려웠는데, 이는 임상시험 진행 상황, 결과 제출 마감 및 일부 연구의 결과 제출 면제 등으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식물 엑소좀을 활용한 임상 데이터 확보를 위한 추가 연구가 절실한 상황이다
3) 식물 엑소좀의 치료제 개발 방향
식물 엑소좀의 생물학적 및 약리적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치료 효능이 가장 높은 식물 부위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연구는 일부 식물 종에 국한되어 있으며, 다양한 약용식물에서 분리된 엑소좀을 비교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같은 식물이라도 뿌리, 줄기, 잎, 열매 등 서로 다른 부위에서 분리된 엑소좀의 성분과 약효 차이를 분석하여 최적의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부위를 찾아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멀티 오믹스(proteomics, transcriptomics, metabolomics) 방법을 활용하여 엑소좀의 구성 성분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바이오 인포매틱스 기반 분석을 통해 질환별로 적합한 식물 엑소좀을 분류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일부 식물 엑소좀에는 특정 피토케미컬(phytochemicals)을 포함되어, 이는 약물과의 상호작용(food-drug interaction)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자몽(grapefruit) 추출물은 특정 약물의 대사를 방해할 가능성이 보고된 바 있다 [66]. 식물 엑소좀이 특정 치료제와 결합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약물 대사 변화 및 독성 위험성을 사전에 평가해야 한다. 동시에, 효율적인 약물 로딩 기술을 개발하여 맞춤형 치료 전략을 확립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의 로딩 기술은 구조적 손상(structural damage), 외부 물질 혼입(exogenous contamination), 낮은 로딩 효율(low loading efficiency) 등의 한계를 갖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이 요구된다.
경구 투여(oral administration)를 통한 치료 효과를 검증하고, 식물 엑소좀의 체내 약동학(Pharmacokinetics, PK) 및 약력학(Pharmacodynamics, PD), 표적 장기에서의 작용 기전을 명확히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식물 엑소좀이 기존 약용식물 유래 천연물 및 한약제제 등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제적인 치료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연구 개발을 확대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현재 -80℃ 동결 보존 방식은 반복적인 동결-해동 과정에서 엑소좀 응집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글루코스, 트레할로스 등 항동결제형을 활용한 안정성 확보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상온 및 냉장 보관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보존 기술 개발 또한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식물 유래 엑소좀 연구는 차세대 바이오 의약품 기술의 핵심 분야로, 다양한 질환에서의 치료 가능성을 탐색하고 실용화를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엑소좀의 생물학적 특성 분석, 약물 전달 최적화, 경제적 생산기술 개발, 표준화 전략 및 안전성 평가가 필수적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형태학적 특성, 정량적 파라미터, 활성 성분 및 독성 평가를 포함한 종합적인 품질 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다. 식물 엑소좀 기반 치료제는 글로벌 의료 시장에서 혁신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현실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연구와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3.2. 식물 엑소좀의 화장품 산업 적용 시 고려사항 및 향후 방향
식물 엑소좀은 화장품 산업에서 유망한 생체활성 성분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생체적합성과 항산화 효과를 기반으로 피부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장품 원료로서의 적용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규제 준수, 품질 관리, 과학적 근거 확보 등의 다각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1) 국가별 규제 준수 및 승인 절차
현재 미국 FDA를 포함한 주요 규제 기관은 엑소좀 기반 제품을 의약품으로 분류하지 않고 있으며, 화장품으로 활용되는 경우에는 ‘국소적 사용(topical use only)’을 전제로 허용하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2022년 제정된 「Modernization of Cosmetics Regulation Act (MoCRA)」의 시행에 따라, FDA가 화장품의 안전성 입증, 제조 시설 등록 및 관리, GMP 준수 여부 등을 감독하는 규제 체계를 대폭 강화하고 있다. [67]. 이에 따라 제조업체는 GMP 기준 준수 여부, 제품의 안전성 입증 자료 제공, 원료 및 제조 공정의 투명한 정보 공개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제품 구매자는 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유럽연합(EU)의 경우, Cosmetic Regulation (EC) No 1223/2009에 따라 식물 엑소좀 화장품 성분으로 사용될 경우 원료의 안전성 및 위해 평가을 위해 소비자 안전 관련 전문과학위원회 (Scientific Committee on Consumer Safety, SCCS)를 거쳐야 하며, 제품 등록 및 성분 정보 제출이 필수적이다. 화장품을 영국에 수출하기 위해서는 EU에서 인정하는 기관으로부터 제품의 등록을 반드시 승인받아야 하며, CPNP (Cosmetic Products Notification Portal)에서 등록 신청이 가능하다. 특히, 제품을 영국으로 수출하기 이전에 진행되어야 하고 그중 나노 물질이 들어간 제품의 경우, 시장 진입 6개월 전에 등록해야 한다.
우리나라 또한 화장품법에 따라 엑소좀의 원료적 특성, 제조 과정, 안전성 자료 등을 기반으로 원료 등록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각 국가별 규제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원료 표준화 및 안전성 평가 절차를 선제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2) 품질 관리 및 제조 공정 관리
고품질의 식물 엑소좀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식물의 품질관리, 재배환경, GMP 제조 환경에서의 생산, 제품의 일관성 유지, 오염 방지 및 안전성 검증이 필수적이다. 특히, 다음과 같은 품질 관리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ㆍ식물 원물의 품질 및 이력 관리(Plant Raw Material Traceability): 엑소좀 품질에 영향을 주는 품종, 재배 환경, 수확 시기 등을 고려하여, 유기농 재배,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s) 인증, 원산지 추적 시스템 등을 통한 표준화된 원물 관리가 필요
ㆍ멸균 및 미생물 관리(Sterility & Bioburden): 제조 과정에서 오염 방지를 위한 엄격한 품질 관리를 위한 절차 필요
ㆍ내독소(Endotoxin) 및 세포독성(Cytotoxicity) 평가: 피부 적용 시 면역 반응을 유발하지 않도록 평가 수행
ㆍ생체분자 조성 및 활성을 유지하는 정제 공정 개발: 단순 원심분리 방식이 아닌 고효율 정제 공정을 적용하여 기능성 성분의 손실 최소화
ㆍ제품의 안정성 및 보관 조건 최적화: 일반적인 화장품은 상온에서 2~3년 정도의 안정성 자료를 바탕으로 출시되고 있음. 따라서 냉장 또는 상온에서의 장기 안정성 확보 방안 연구 필요
ㆍ엑소좀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품질 문서 제공(CoA): 엑소좀의 크기, 분포도, 파티클 수 등 물리학적 분석 자료와 항염 및 재생과 관련된 유효 성분의 함량, 안정성 등 핵심 품질 관리지표를 포함한 인증서(CoA, Certificate of Analysis) 관리가 필요함
3) 식물 엑소좀의 성분 분석 및 기능성 평가
식물 엑소좀은 항산화 효과, 피부 장벽 강화, 항염 기능이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특정 성장인자 및 단백질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세포 엑소좀, 특히 줄기세포 엑소좀과 비교했을 때 성장인자 및 핵산, 지질 조성이 다르므로, 장기적인 피부 재생 효과보다는 단기적인 보습, 항산화, 진정 효과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필요하다. 항산화 효과 확인을 위한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피부 재생 관련 인자인 EGF, TGF-β, VEGF, FGF-2, FGF-18 등의 함유 여부 평가, 엑소좀의 피부 흡수력 및 전달 효율성 평가 등이 필요하다.
엑소좀 기반 화장품의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임상 연구를 통한 제품의 안전성과 효능 입증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연구는 피부 탄력 증가, 보습 개선, 색소 침착 완화 등의 객관적 지표를 포함해야 하며, 이를 위해 Global Aesthetic Improvement Scale (GAIS) 등의 임상 평가 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소비자 신뢰 확보를 위해 기업은 제품의 과학적 근거를 지속적으로 축적하고, 학술 논문 및 특허 출원을 통해 기술력을 입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식물 엑소좀의 화장품 산업을 위한 향후 연구 방향
식물 엑소좀 기반 화장품은 피부 개선을 위한 혁신적인 성분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지만, 이를 위해서는 규제 준수, 품질 표준화, 과학적 근거 확보가 필수적이다. 또한, 대량 생산을 위한 효율적인 분리 및 정제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상온에서 유통되는 화장품에 적용하기 위해 엑소좀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기 보존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다.
현재 식물 엑소좀은 기존 일반 화장품의 기능성 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피부과 및 에스테틱 분야에서 스킨 부스터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 맞춤형 솔루션뿐만 아니라 염증 완화 및 피부 재생에 특화된 피부 타입별 엑소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스킨 부스터 시장에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단기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 시 피부 개선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추가적으로, 지속 가능한 원료 공급망 확보 및 친환경적 제조 공정 도입도 필수적이다. 화장품 시장 및 소비자의 요구에 맞춘 연구와 기술 개발이 지속된다면, 식물 엑소좀은 차세대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자리 잡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더욱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
==>첨부파일(PDF) 참조
본 게시물의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하며, 일부 내용 인용시 출처를 밝혀야 합니다.
자료열람안내
본 내용은 BRIC에서 추가적인 검증과정을 거친 정보가 아님을 밝힙니다.
내용 중 잘못된 사실 전달 또는 오역 등이 있을 시 BRIC으로 연락(view@ibric.org)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