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연구동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생명과학관련 정보제공자를 모집합니다.
Bio리포트 학회참관기
Excite, Engage, Enable: GYSS 2025 참관기
장연우(중앙대학교 융합공학과)
목 차
1. 서론
1.1. GYSS 2025 개요
1.2. 학회 참관 준비
2. 본론
2.1. NUS 시설 탐방
2.2. 주요 강연 및 세션
2.2.1. Nitric Oxide Is Not Just a Gas Blowin' in the Wind
2.2.2. The Path to the Nobel Prize
2.2.3. Evolution of Environmental Virology
2.2.4. How to Overcome a Supposed Scientific Barrier... and What to Make of It
2.2.5. Switches, Latches and Thermostats: Biochemical Control Circuits I’ve Met in My Time
2.2.6. The Challenges in Biomedicine and Agriculture
2.2.7. Compressing Proofs Using Cryptography
2.2.8. When Research Goes on Trial
2.3. 패널 토론 및 네트워킹 기회
2.3.1. Fireside Chat
2.3.2. Poster Session
2.3.3. Networking Dinner
2.3.4. Closing Event at Sentosa
3. 총평
4. 참고문헌
1. 서론
1.1. GYSS 2025 개요
제13회 Global Young Scientists Summit (GYSS) 2025는 2025년 1월 6일부터 2025년 1월 10일까지 총 5일간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국제 학술 행사로 전 세계의 신진 과학자들과 저명한 학자 및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다양한 분야의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학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돕는 자리였다. GYSS 2025에는 30개국 이상에서 선발된 학부생, 석/박사 대학원생, 박사후연구원 및 초기 연구 경력을 가진 교수진이 참석하였으며, 참석자들은 각국 연구재단(National Research Foundations)에서 선발되었다. 대한민국 역시 한국연구재단(NRF)을 통해 GYSS 2025에 참석할 대표 연구자들을 선발하여 참여를 지원했다.
이번 GYSS 2025는 싱가포르 국립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NUS)에서 개최되었으며, "Excite, Engage, Enable"이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과학 및 기술이 인류가 현재 직면한 주요 도전 과제를 해결하는 데 어떻게 이바지할 수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탐구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GYSS 2025는 싱가포르 연구재단(NRF Singapore)이 주최하였으며, 바이오, 공학, 수학,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등 다양한 분야의 여러 연구자가 참석하여 저명한 연구자의 연설과 깊이 있는 토론을 주고받으면서 학문적 교류를 촉진하였다.
GYSS 2025는 단순한 연구 발표를 위한 학술 대회를 넘어 신진 연구자들에게 과학적 통찰을 확장할 수 있도록 돕고,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 참가자들은 노벨상(Nobel Prize), 필즈상(Fields Medal), 튜링상(Turing Award), 밀레니엄 기술상(Millennium Technology Prize) 등을 수상한 세계적으로 저명한 학자 및 연구원들과 직접 교류하며 자신의 연구 방향을 모색할 수 있었다. 과학이 사회·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논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참가자들이 다양한 학문적 접근 방식을 탐색할 수 있도록 장려하였으며, 연구자들 간의 협력 기회를 극대화하여 국제 공동 연구 및 학제 간 융합 연구의 가능성 확대를 도모하였다. 이번 GYSS 2025는 다양한 강연 및 네트워킹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으며, 참가자들이 다양한 분야의 연구 동향을 접하고 세계적인 연구자들과 교류할 수 있도록 기조 강연, 패널 토론, 포스터 발표 세션, Fireside Chats, Networking Sessions, Closing Event at Sentosa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번 GYSS 2025는 기존 학술대회와 차별화된 방식으로 참가자들이 단순히 강연을 듣는 것이 아니라 직접 질문하고 토론하며 적극적으로 연구 커뮤니티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다.
1.2. 학회 참관 준비
GYSS 2025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한국연구재단(NRF)이 주관하는 "양자 연구 교류 지원사업"을 통해 선발되어야 한다. 양자 연구 교류 지원사업의 선발 기준은 지원자의 연구 계획 및 연구 역량뿐만 아니라 전공 분야 외 타 학문 분야에 대한 흥미와 과학기술의 사회적 영향에 관한 관심이다. GYSS 2025는 국제 학회이기 때문에 지원자는 영어로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음을 증명해야 하며 글로벌 연구 커뮤니티 내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음을 어필해야 한다. GYSS 2025는 다양한 분야의 신진 연구자들과의 학문적 교류를 통해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학제 간 협력을 모색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므로 참가자는 GYSS 2025의 모든 프로그램에 적극적인 태도로 참여할 것임을 보여야 한다. 지원자가 작성한 지원서와 증빙서류는 한국연구재단(NRF)의 전문가 평가에서 검토된 후 참석자를 선발한 후에 싱가포르 연구재단(NRF Singapore)에서 최종 승인을 거쳐 최종 선발을 확정한다. 선발 과정은 상당히 까다롭고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나 선정된 참가자들은 행사 기간 필요한 체재비와 항공권을 지원받기 때문에 연구 발표 및 학술 교류 활동에만 전념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받게 된다. GYSS 2025는 전 세계 신진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과학적 도전 과제를 논의하는 자리이므로, 참가자들은 자신의 연구를 효과적으로 발표하고, 글로벌 연구자들과 협력할 기회를 극대화할 수 있기에 본 프로그램에 선발되는 것은 신진 연구자들에게 국제 학술 교류를 경험하고 학문적 역량을 키우는 중요한 기회가 된다.
2. 본론
2.1. NUS 시설 탐방
GYSS 2025의 첫 번째 프로그램은 참가자들이 싱가포르의 주요 연구 기관과 대학을 방문할 수 있는 "Site Visits to Local Research Institutions"이었다. 사전에 이메일을 통해 NUS의 다양한 연구 시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데 본인의 경우 바이오메디컬 분야와 관련이 깊어 보이는 Track A 코스인 "CNRS/PHARM"을 선택하여 NUS 탐방에 참여했다. NUS 내 첨단 연구 시설을 직접 견학하며 각 연구실에서 진행 중인 주요 연구 프로젝트를 살펴볼 수 있었다. 각 랩에서는 진행 중인 연구 주제를 설명하는 포스터 세션을 마련하여 참가자들이 NUS의 연구 성과와 실험 기법에 대해 간략히 들을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실제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실을 방문해 어떤 실험 기기를 이용하고 있는지 볼 수 있었다. 그 이후에는 NUS의 박사후연구원과 교수님들이 본인의 연구실에서 진행 중인 프로젝트와 연구의 비전을 소개하며 어떤 면에 강점이 있는지 설명하면서 학교 및 연구 시설의 우수성을 강조했다. 학교의 역사와 연구 성과를 소개하는 시간도 마련되어 NUS의 전반적인 학문적 입지를 이해할 수 있었다. 싱가포르는 아시아 최고의 연구 허브 중 하나로 정부가 과학 기술 연구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실제로 바이오메디컬, 인공지능, 지속 가능성 연구에 대한 지원이 두드러지는 것을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직접적,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본인이 방문한 CNRS/PHARM 연구소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약물 개발 프로젝트를 설명해 주었고 최신 실험 장비를 직접 볼 수 있었다. 연구자들은 신약 개발 과정에서 AI 기반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는 등 최신 기술을 접목하고 있는 점이 새로웠다.
2.2. 주요 강연 및 세션론
2.2.1. Nitric Oxide Is Not Just a Gas Blowin' in the Wind
1998년 노벨 생리의학상(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수상자인 Louis Ignarro 교수의 기조연설로 본격적인 GYSS 2025가 시작되었다. Louis Ignarro 교수는 이번 기조연설을 통하여 신진 과학자들이 연구에 대한 영감을 고무시키는 것을 희망한다고 말하며 강연의 포문을 열었다. 그는 자신이 해당 분야에 관련된 질문을 떠올린 계기를 시작으로, 그 질문에 관한 답을 찾는 여정을 설명하고자 했으며 과학자로서 동기를 유지하는 방법은 무엇인지에 초점을 맞춰 강연을 진행했다.
Louis Ignarro 교수는 질소산화물(Nitric Oxide, NO)의 발견과 연구 배경을 설명하면서 질소산화물의 다양한 생리학적 기능을 밝혀낸 연구를 소개했다. 과거에는 단순한 대기 오염 물질로만 여겨졌던 질소산화물이 포유류에서 광범위한 신호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분자임이 밝혀졌다. 여러 생물학적 기능 중 혈관 확장과 순환계 조절에서 질소산화물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설명했다. 이러한 연구는 단순한 학문적 발견에 그치지 않고 비아그라(Viagra)의 개발로 이어졌으며 이후 다양한 심혈관계 및 신경계 질환 치료제로도 활용되었다.
Louis Ignarro 교수는 질소산화물 연구가 현대 생리학과 약리학에 미친 영향이 지대하며 심혈관계, 신경계, 면역학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질소산화물이 단순한 가스가 아니라 생체 내에서 중요한 조절자임을 입증한 것에 그치지 않고 이를 의학 및 약학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응용했다는 점이 인상 깊었다.
2.2.2. The Path to the Nobel Prize
GYSS 2025의 두 번째 기조연설은 1993년 노벨 생리의학상(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수상자인 Sir Richard Roberts 교수가 맡아 진행하였다. Sir Richard Roberts 교수는 본인이 과학자로서 걸어왔던 길을 설명하며 노벨상 수상 연구에 관해 이야기하였다. 이 일련의 설명을 통해 그는 신진 과학자들에게 연구를 진행하며 느낀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했다.
Sir Richard Roberts 교수는 처음에는 화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준비하였다. 화학자로의 길을 걷고 있던 그에게 John Kendrew의 저서인 「The Thread of Life」는 새로운 길을 제공하게 된다. 이 책을 통해 생물학에 매료된 그는 화학자가 아닌 분자생물학자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다. 이후 연구 과정에서 유전자 발현의 핵심적인 메커니즘인 RNA splicing의 존재를 발견하여 199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Sir Richard Roberts 교수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신진 과학자는 항상 과학적 호기심을 유지하고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 두어야 함을 강조했다. 때때로 예상치 못한 경험이나 계기가 인생을 바꿀 수 있으므로 우연한 기회를 놓치지 말라고 조언했으며 전공과 진로를 유연하게 탐색하는 자세를 통하여 도전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찾을 것을 당부했다.
2.2.3. Evolution of Environmental Virology
2016년 스톡홀름 워터 프라이즈(Stockholm Water Prize) 수상자인 Joan Rose 교수는 바이러스의 기본적인 정의와 특징을 설명하며 강연을 시작했다. Joan Rose 교수는 환경 바이러스학(Environmental Virology)의 발전 과정을 소개하며 수중 환경 내 바이러스 모니터링과 새롭게 대두되는 여러 문제를 제시했다.
여러 환경 내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종류, 이동 경로 및 생존 여부, 그리고 질병 전파 위험성까지 연구하는 환경 바이러스학은 최근 분자 생물학적 도구(molecular tools), 고속 유전체 분석(high-throughput sequencing), 메타유전체학(metagenomics)의 발전과 함께 정밀하게 발전하고 있는 현황이다. 현재는 다양한 도구를 통하여 환경 내 바이러스를 더욱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정밀 바이러스 분석은 공중보건 개선의 기반이 되는 인간 감염 바이러스(human viral pathogens)의 신속한 식별을 가능하게 하였다.
Joan Rose 교수는 동시에 지역 사회의 건강 상태를 감시하는 효과적인 방법인 하수 감시(Wastewater Surveillance)를 소개했다. 이 하수 검사 시스템은 전 세계 백신 접종 프로그램의 시행 및 평가에도 활용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Joan Rose 교수는 환경 바이러스학이 공중보건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과학과 기술의 발전을 통해 더욱 정밀한 감시와 예방이 가능해지고 있음을 강조했다. 하수 감시 시스템을 활용한 지역 사회 건강 모니터링은 감염병 예방 및 백신 프로그램 최적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는 지속적으로 발전해야 할 분야라고 전망했다.
2.2.4. How to Overcome a Supposed Scientific Barrier... and What to Make of It
2014년 노벨 화학상(Nobel Prize in Chemistry) 수상자인 Stefan Hell 교수는 흔히 과학에서 '한계'라고 여겨졌던 것들이 어떻게 극복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깊이 있게 강연을 진행했다. 그는 광학 현미경의 해상도 한계 문제를 예시로 들며 과학적 장벽을 허무는 과정을 설명했다.
Stefan Hell 교수는 해상도가 200nm 이하로 향상될 수 없다고 가정되었던 광학 현미경의 한계를 뒤엎고 형광 현미경의 해상도를 획기적으로 향상했다. 최근 개발된 MINFLUX 및 MINSTED 현미경 기술은 1-3nm 수준의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는데 이는 기존 광학 현미경보다 100배 더 뛰어난 해상도를 제공하며 분자 수준의 동적 과정(molecular dynamics)까지 분석할 수 있다.
Stefan Hell 교수는 과학적 ‘한계’라고 여겨졌던 것들이 실제로는 극복할 수 있는 도전 과제일 수 있음을 강조했다. 그는 기존의 틀을 깨고 혁신적인 접근법을 시도하는 것이 새로운 발견을 가능하게 한다고 조언하며 신진 과학자들은 항상 기존의 가정을 의심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할 것을 당부했다.
2.2.5. Switches, Latches and Thermostats: Biochemical Control Circuits I’ve Met in My Time
2001년 노벨 생리의학상(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수상자인 Sir Tim Hunt 교수는 생화학적 조절 회로(biochemical control circuits)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Sir Tim Hunt 교수는 자신의 연구 여정을 소개한 동시에 연구 환경과 동료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Sir Tim Hunt 교수는 단백질 합성 연구에서 세포 분열 연구로 전환하면서 세포 주기(cell cycle)를 조절하는 핵심 단백질인 사이클린(cyclins)을 발견했다. 이 발견은 세포 주기의 조절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이바지를 했으며 그 공로를 인정받아 2001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으로 이어졌다.
Sir Tim Hunt 교수는 멘토들의 역할과 함께 연구했던 동료들과의 협업 경험을 강조했다. 그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과 함께 일하며 서로의 연구 분야에 관해 토론하는 것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고 창의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데 핵심적이라고 밝혔으며 좋은 동료들과 함께하는 연구 과정에서 얻는 즐거움과 배움의 가치를 강조했다.
Sir Tim Hunt 교수는 자신의 연구 경험을 통해 과학적 발견은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열린 마음과 협력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이 열릴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으며 젊은 과학자들에게 연구 공동체와 긴밀한 교류를 유지하면서 다른 분야의 연구자들과도 활발하게 소통할 것을 당부했다.
2.2.6. The Challenges in Biomedicine and Agriculture
1988년 노벨 화학상(Nobel Prize in Chemistry) 수상자인 Hartmut Michel 교수는 생의학과 농업에서 해결해야 할 주요 도전 과제가 무엇인지를 설명하며 강연을 진행했다. Hartmut Michel 교수는 뇌의 작동 원리를 완전히 이해하는 것이 과학 연구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유전체학(genomics)이 의약품 설계 및 질병 관리에 이바지할 방법과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광합성의 효율성을 향상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했다.
Hartmut Michel 교수는 맞춤형 질병 관리, 예방, 치료, 그리고 신약 개발의 발전을 위해 인간 유전체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뇌의 작동 방식을 완전히 이해하는 것은 신경퇴행성 질환(예: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치료에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유전체 연구는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의 기반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환자 맞춤형 치료법은 기존에 흔히 사용되는 치료법에 비해 더욱 정밀하고 효과적인 의료 기술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Hartmut Michel 교수는 식량 생산의 지속 가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합성 과정의 비효율성을 극복하는 방법을 탐색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하였다. 광합성 과정의 효율을 향상함으로써 농업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지속 가능한 농업 발전을 위해 광합성 최적화 기술을 활용하여 적은 자원으로 보다 많은 식량을 생산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Hartmut Michel 교수는 생의학과 농업 분야의 주요 도전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미래 사회의 지속 가능성과 직결된다고 강조하며 젊은 과학자들이 다양한 연구 분야를 융합하고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시도할 것을 당부하며 강연을 마무리했다.
2.2.7. Compressing Proofs Using Cryptography
2022년 ACM Prize in Computing 수상자인 Yael Kalai 교수는 증명 과정을 압축하기 위한 암호학 활용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Yael Kalai 교수는 "증명을 훨씬 더 짧게 만들 수 있다면?"이라는 질문을 던지면서 흥미를 끌었고, 증명 압축을 암호학적 기법을 통해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지를 설명했다.
Yael Kalai 교수는 암호학적 방법을 활용하면 증명을 더 짧게 압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서 SNARKs (Succinct Non-Interactive Arguments of Knowledge)와 같은 검증을 효율적으로 짧아지게 할 수 있는 증명 시스템을 소개하며 이러한 기법이 어떻게 증명의 크기를 급격하게 줄일 수 있는지 설명했다. 증명을 압축하는 과정에서 "암호학적 마법(cryptographic magic)"이라고 표현하며 수학적 이론과 실제 응용이 결합하는 아름다움을 보여주었다.
Yael Kalai 교수는 증명 압축 기술은 블록체인(Blockchain), 영지식 증명(Zero-Knowledge Proofs), 데이터 무결성 검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Yael Kalai 교수는 이러한 기술이 앞으로는 암호학, 보안, 분산 시스템, 그리고 컴퓨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Yael Kalai 교수는 컴퓨터 과학과 암호학의 결합이 증명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그녀는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는 사고방식을 가질 것을 당부하며, 수학적 이론과 실용적 응용이 만나는 지점을 탐구하는 것이 혁신적인 연구로 이어질 수 있다고 조언했다.
2.2.8. When Research Goes on Trial
GYSS 2025의 마지막 기조 강연은 법의학(forensic science) 분야의 세계적 전문가이자 법정 과학 증거 분석의 권위자로 알려진 Dame Sue Black 교수가 맡아 진행하였다. Dame Sue Black 교수는 법정에서 실제로 연구 결과로 증명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흥미로운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법정에서의 연구 결과 활용을 위해서 직면하는 도전 과제에 대해 설명할 뿐만 아니라 과학적 사실을 대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Dame Sue Black 교수는 법정에서 과학적 연구가 처음 소개되는 순간을 ‘연구가 재판을 받는 순간(When Research Goes on Trial)’으로 비유했다. 법정에서 제시되는 과학적 증거는 과학적 정확성과 신뢰성뿐만 아니라 해당 과학적 연구 결과에 기본 지식이 없는 배심원(jury)들에게 어떻게 효과적으로 전달되는가에 따라 그 효력이 좌우된다고 말했다. 이러한 이유로 연구 결과를 명확하고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것이 과학자가 집중해야 할 역할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연구가 법정에서 증거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엄격한 검증 과정을 거쳐야 한다. 새로운 과학적 연구는 법적 증거로 인정받기까지 반복 실험을 통해서 신뢰성을 검증해야 하며, 재현 가능성 및 데이터의 정확성 등 높은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Dame Sue Black 교수는 법정에서의 과학적 의견이 사실에 기반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검증할 수 있고 정확하며 반복할 수 있는 데이터에 의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Dame Sue Black 교수는 단순히 연구가 법적 증거로 채택되는 것을 넘어 과학을 대중과 법적 시스템이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전달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Dame Sue Black 교수는 법정에서 연구가 채택되기 위해서는 단순한 연구 결과를 넘어야 하며 대중과 법적 시스템이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과학을 소통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그녀는 "우리는 결국 주관적인 의견(subjective opinion)으로 돌아오지만, 이는 반드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에 기반해야 한다. 데이터를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라고 언급하며 강연을 마무리했다.
이번 강연을 통해, 참가자들은 법과 과학의 접점에서 연구가 가지는 책임감과 사회적 영향력을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가질 수 있었다.
2.3. 패널 토론 및 네트워킹 기회
훌륭한 기조연설에 그치지 않고 GYSS 2025는 참가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교류하고 지식을 확장할 수 있도록 패널 토론을 마련하여 저명한 연구자들과 직접적으로 네트워킹할 기회를 마련하였다. 패널 토론에서 다양한 분야의 노벨상 수상자 및 저명한 과학자들이 모여 이야기를 나누는 것을 목격할 수 있었는데, 이때 해당 분야 전문가도 다른 분야의 사람들과 의견을 공유함으로써 새로운 관점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외에도 Fireside Chat, Poster Session, Networking Dinner, Closing Event at Sentosa가 마련되어 참가들이 서로 직접 소통하면서 본인의 연구를 공유하고 네트워킹을 구축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2.3.1. Fireside Chat
Fireside Chat 세션은 사전에 신청한 참가자만이 참석할 수 있었는데 원하는 강연자를 지정하여 소그룹으로 토론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노벨상 수상자와 연구자들이 연구 과정에서 겪었던 도전, 과학적 발견의 과정, 그리고 연구자로서의 철학을 공유했다. 이 세션은 자유로운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참가자들은 직접 질문을 던지고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환경에서 토론에 참여할 수 있었다. 노벨상 수상자 및 연구자들과 직접 소통하기 위해 다양한 질문이 나왔고, 참가자들 모두 열정이 대단했다.
2.3.2. Poster Session
Poster Session에서는 다양한 연구 주제를 다루는 젊은 연구자들이 자신들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기회를 가졌다. 다양한 연구 분야의 참가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학제 간 연구의 가능성을 탐색하니 다각도에서 본인의 연구를 바라볼 수 있었다.
2.3.3. Networking Dinner
Networking Dinner는 공식적인 강연과 패널 토론에서 벗어나 더욱 격식 없는 분위기에서 연구자들 간의 네트워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되었다. 참가자들은 학문적 배경과 연구 주제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소통하며, 공동 연구 가능성 및 협업의 기회를 모색할 수 있었다.
2.3.4. Closing Event at Sentosa
GYSS 2025의 공식 일정은 Sentosa에서 진행된 Closing Event at Sentosa로 마무리되었다. 이 행사는 Sentosa에 있는 한 식당 전체를 빌려 모든 학회 참석자가 식사하며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학회에서의 주요 하이라이트를 되돌아보고 참가자들이 새롭게 형성한 네트워크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3. 총평
GYSS 2025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연구자들과 신진 과학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과학의 발전과 혁신적인 연구에 대해 논의하는 학술 교류의 공간이었다.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의 강연과 패널 토론을 통해 학문적 지식을 넓힐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연구자로서의 성장과 연구 공동체와의 협력의 중요성을 다시금 깨닫게 되는 시간이었다. 각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심도 있는 토론을 진행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이들의 토론은 단순한 연구 발표를 넘어 해당 분야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획기적인 관점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패널 토론에서는 참가자들의 질문이 그치지 않았고, 노벨상 수상자들과 직접 학문적 대화를 나눌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GYSS 2025는 단순한 강연 청취를 넘어, 참가자들이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토론하며 사고의 폭을 확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했다.
이번 학회를 통해 다른 분야의 연구자들과 소통할 기회도 가질 수 있었다. 포스터 세션에서 다양한 연구자들과 직접 대화하고 의견을 공유할 수 있어 유익했다. 연구 내용을 발표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연구를 전달할 것인지 고민하게 되었고 연구와 강의를 모두 훌륭하게 수행하는 저명한 연구자들의 발표를 보며 발표 역량을 향상할 수 있는 기회도 얻었다.
GYSS 2025는 과학적 지식을 습득하는 것뿐만 아니라 과학자로서의 여정을 고민할 기회를 제공했다. 단순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것을 넘어 새로운 발견을 위한 호기심의 중요성, 연구 공동체와의 협력, 그리고 과학자로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태도 등에 대한 강연이 포함되어 있어 더욱 의미 있는 경험이었다. 특히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다시금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앞으로도 국제 학회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여 보다 넓은 시각으로 연구를 바라봐야 함을 느꼈다.
전반적으로 GYSS 2025는 단순한 학회 이상의 가치를 지닌 행사였다. 학문적 성과를 공유하는 것을 넘어 연구자로서 자세와 학문적 교류의 중요성을 직접 경험할 수 있었던 뜻깊은 시간이었다. 앞으로도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더 넓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학문적 성장과 새로운 발견을 위한 도전을 지속해 나가야겠다고 다짐하게 된 행사였다.
본 보고서는 참가자의 경험과 자료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일부 정보 확인을 위해 AI 기반 검색 도구를 참고하였음을 밝힙니다.
4. 참고문헌
==>첨부파일(PDF) 참조
본 게시물의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하며, 일부 내용 인용시 출처를 밝혀야 합니다.
자료열람안내
본 내용은 BRIC에서 추가적인 검증과정을 거친 정보가 아님을 밝힙니다.
내용 중 잘못된 사실 전달 또는 오역 등이 있을 시 BRIC으로 연락(view@ibric.org)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