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년 고혈압 치료제 발사르탄 원료의약품에서 변이원성 발암물질인 N-nitrosodimethylamine(NDMA)이 검출된 것을 시작으로 2019년과 2020년에는 라니티딘, 니자티딘, 메트포르민 및 리팜피신 등의 의약품에서도 N-니트로사민류 불순물들이 잇달아 검출되었다. 이에 따라 의약품 중 니트로사민류 오염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을 확인하고 불순물 원인을 규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사례집은 의약품 제조과정 중 NDMA 등 니트로사민류 불순물 생성 원인 및 발생 가능성에 대하여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생성 원인을 평가하는 예시를 포함 하고 있다. 합성단계에서는 발사르탄 의약품을 대상으로 니트로사민류 불순물의 주요 생성 원인인 합성과정, 용매, 시약, 반응온도, pH 등 조건에 대해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주요 아민류 분석한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제제화단계에서는 메트 포르민 의약품을 대상으로 열, 수분, 첨가제 등 다양한 원인 중 불순물 생성의 원인을 실험설계 방법으로 규명하는 사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최근에 발표된 문헌에서 열과 수분이 도입되는 습식과립화 과정이 NDMA 발생에 중요한 단계로 연구된 바가 있었다(그림 1). 마지막 보관단계는 니자티딘 의약품을 대상으로 보관과정 중 온도, 습도에 의한 NDMA 생성 경향과 속도반응 상수로 예측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