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연구동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생명과학관련 정보제공자를 모집합니다.
Bio리포트 학회참관기
2024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meeting - Genome organization & Nuclear function 학회 참관기
박건희(KAIST 생명과학과)
목 차
1. 서론
2. 학회 내용
2.1. Day 1 – 4D Nucleome Structure and Function
2.1.1. A genome-wide single-cell 3D genome atlas of lung cancer progression
2.2. Day 2 – Emerging Technologies
2.2.1. Spatial genomics—Cell atlas and cell-type-specific 3D genome organization of the brain
2.2.2. TRACK-IT—The next generation of high-speed, ultra-resolution live-microscopy of 3D genome motion across multiple genomic distances
2.2.3. Replication-dependent histone (Repli-Histo) labeling specifically visualizes physical properties of euchromatin/heterochromatin in living human cells
2.3. Day 2 – Nuclear locales: Structures, Bodies, Condensates
2.3.1. Super-resolution imaging of transcription in living cells
2.3.2. Nuclear condensates in genome architecture, gene regulation and disease
2.3.3. Repurposed nuclear speckle and cell cycle machinery components induce CTCF clustering to sustain the senescence splicing program
2.3.4. Linker histone H1 serves as liquid-like “glue” of the chromatin domain
2.4. Day 3 – Epigenetics and Chromatin
2.4.1. Compartmentalizing the genome—Multifaceted Epe1 regulation shapes heterochromatin boundaries
2.5. Day 3 - Nuclear Genome During Development, Physiological Transitions, Disease
2.5.1. Enhancers on the loose—Unveiling the determinants of susceptibility to disruption of chromatin structure
2.6. Day 4 – Genome Topology and Chromosome Folding
2.6.1. Super-enhancer interactomes from single cells link clustering and transcription
2.7. Day 5 – Nuclear Genome and RNA Biology
2.7.1. Genome organization in and around the nucleolus
2.7.2. Fasting shapes chromatin architecture via an mTOR/RNA Pol I axis
2.7.3. Dynamic reorganization of the nucleolus—Material properties and biological implications
2.7.4.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multiphase nuclear speckle integrity in nuclear interchromatin trafficking Nuclear speckle connection dynamics
2.7.5. Regulatory architecture of a transcriptional compartment at nanoscale resolution
2.7.6. Chromatin expansion microscopy reveals nanoscale organization of transcription and chromatin
2.7.7. 3D genome organization around nuclear speckles drives mRNA splicing efficiency
3. 세미나 세션 외 활동 및 총평
1. 서론
CSHL meeting은 매년 Genome organization & Nuclear Function 뿐만 아니라, Genome engineering, Brain Body Physiology, Epigenetics & Chromatin, Biological Data Science 등 수십 개의 주제로 워크숍을 열어왔다. CSHL meeting은 ASCB와 같은 종합 학회가 아니라 ISSCR이나 Biophysical Society와 같이 특정 분야만을 다룬 학회이다. 하지만 다양한 세션장에서 동시에 강연이 진행되고 산업체에서 홍보 부스를 운영하며 포스터가 수백 개 게시되는 커다란 학회가 아니라 하나의 세션장에서 약 100-200여 명의 참여자들이 모여 더 조밀하게 교류하는 워크숍 성격으로 진행된다.
Genome organization & Nuclear Function 워크숍에서는 ▲4D Nucleome Structure and Function ▲Emerging Technologies ▲Nuclear Locales: Structures, Bodies, Condensates ▲Epigenetics and Chromatin ▲Nuclear Genome During Development, Physiological Transitions, Disease ▲Dynamics and Mechanics of Nuclear processes ▲Genome Topology and Chromosome Folding ▲Nuclear Genome and RNA Biology 총 8개의 세션이 순서대로 진행되었다. 또한, 각 날짜 저녁에는 Poster session이 진행되어 본인은 이곳에서 포스터를 발표하였다. 이번 참관기에서는 모든 세션의 내용을 담기보단 각 세션의 일부 주요 발표 내용 위주로 정리하였다.
2. 학회 내용
2.1. Day 1 – 4D Nucleome Structure and Function
2.1.1. A genome-wide single-cell 3D genome atlas of lung cancer progression
Presenter: Siyuan Wang
Multiplexed imaging of nucleome architectures (MINA)는 single cell의 chromatin structure를 시각화할 수 있는 이미징 기법이다. Wang 교수 연구팀은 Cancer cell과 normal cell 사이의 3D genome architecture가 얼마나 다른지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lung cancer의 progression을 들여다볼 수 있는 MADM cancer model을 활용해 이를 연구했다. 19개 autosome의 500개 genome loci를 targeting 해서 chromatin tracing을 해본 결과, cancer progression 동안의 heterogeneity과 variation을 추적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 cancer progression이 진행될수록 초반에는 heterogeneity score가 감소하다가 invasive state에 돌입하면 이 경향이 뒤집히는 결과를 얻어냈다. Chromatin structure도 초반에는 compaction 되다가 invasive state에서는 decompaction 되는 bottle-neck stage가 존재하는 것을 밝혀냈다.
2.2 Day2 – Emerging Technologies
2.2.1. Spatial genomics—Cell atlas and cell-type-specific 3D genome organization of the brain
Presenter: Xiaowei Zhuang (Havard University)
Multiplexed error-robust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MERFISH)는 single cell의 transcripts들을 형광으로 표지하여 spatial-transcriptomics를 분석할 수 있는 이미징 기법이다.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MERFISH는 histone marker의 antibody에 transposase를 tagging 하여 주변 DNA를 자른 뒤 specific sequence를 삽입하여 FISH를 통해 epigenome을 동시에 시각화할 수 있다.
Xiaowei Zhuang 연구팀은 이 기술을 통해 mouse의 brain의 24개 slices의 1000만여 개의 세포에서 1,100여 개의 유전자에 대해 분석하여 cell type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5,000여 개의 cell cluster로 구성된 338개의 subclass를 얻어낼 수 있었다. Spatial transcriptomics를 들여다보는 것은 일반적인 single cell RNA-seq과는 달리, 조직 안에서 각 cell type의 위치정보와 함께 그 cell의 특성을 알아낼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정보를 얻어낼 수 있다.
2.2.2. TRACK-IT—The next generation of high-speed, ultra-resolution live-microscopy of 3D genome motion across multiple genomic distances
Presenter: Joo Lee (Stanford University)
이 발표는 기존의 살아있는 세포에서 chromatin을 형광으로 표지 하는 기법들의 단점을 보완하여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한 연구에 대한 내용이었다. Transposon Acccelerated chromatin kinetic imaging technology (TRACK-IT)라는 이 기술은 transposase가 우리가 원하는 construct를 랜덤한 위치에 insertion 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chromatin의 한 지점과 랜덤 한 다른 지점을 서로 다른 형광으로 표지 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다른 표지 기법들은 긴 반복 서열을 chromatin에 삽입하고 이에 결합하는 형광단백질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center position을 정의하기 부정확하였고, 형광단백질의 bleaching 때문에 오랜 기간 빠른 속도로 이미징을 수행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TRACK-IT 기법에서는 짧은 반복서열을 이용하고 mStayGold라는 높은 광안정성을 지닌 형광단백질을 차용하였기 때문에 high-throughput screening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2.2.3. Replication-dependent histone (Repli-Histo) labeling specifically visualizes physical properties of euchromatin/heterochromatin in living human cells
Presenter: Kazuhiro Maeshima (National Institute of Genetics)
Euchromatin과 heterochromatin을 구성하는 histone 단백질들은 세포 분열 이후에도 여전히 euchromatin과 heterochromatin을 구성할지 여부는 아직 확인된 바가 없었다. Maeshima 교수 연구팀은 H3.2 히스톤 단백질에 HaloTag를 tagging 한 뒤, non-fluorescence blocker를 붙인 다음에 새롭게 합성되는 H3.2만 organic dye로 염색했다. DNA가 replication 될 때, euchromatin이 heterochromatin보다 먼저 복제되기 때문에 Early S phase에 염색하면 euchromatin의 H3.2를 특이적으로 염색할 수 있고, late S phase에 염색하면 heterochromatin의 H3.2를 특이적으로 염색할 수 있다. 이후 세포분열이 끝나고 다시 G1 phase에 들어온 뒤의 각각 histone들을 관찰한 결과, euchromatin과 heterochromatin의 histone들은 세포분열 이후에도 같은 곳의 염색질을 구성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3. Day2 – Nuclear locales: Structures, Bodies, Condensates
2.3.1. Super-resolution imaging of transcription in living cells
Presenter: Ibrahim Cisse (Max Planck Institute of Immunobiology and Epigenetics)
RNA의 전사를 담당하는 RNA Polymerase II는 세포핵 안에서 상분리집합체를 이루고 있는데, 실제로 이것이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는지에 대한 물리적 메커니즘은 미지수였다. Cisse 연구팀에서는 초고해상도 현미경을 이용하여 mouse embryonic stem cell의 대표적인 super-enhancer control gene인 Sox2의 enhancer와 promoter를 형광표지하여 실시간으로 Pol II 집합체와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Pol II 집합체가 물리적으로 이들과 가까워질수록 (low proximity) mRNA의 발현양이 높아진다는 것을 살아있는 세포에서 관찰하였다.
2.3.2. Nuclear condensates in genome architecture, gene regulation and disease
Presenter: Richard Young (MIT)
전사인자들은 세포핵 안에서 집합체를 이루고 있는데, 이 전사인자에 의해 발현이 조절되는 유전자들이 물리적으로 그곳에 모여 cluster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었다. Young 교수 연구팀에서는 Ronin이라는 전사인자가 기존에 다른 전사인자 집합체들이 super-enhancer 유전자들의 cluster를 조절하던 것과는 달리, house-keeping gene에 enrich 되어 있는 것에 주목하여 Ronin-bound gene이 모여 house-keeping gene의 cluster를 형성하는데 기여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2.3.3. Repurposed nuclear speckle and cell cycle machinery components induce CTCF clustering to sustain the senescence splicing program
Presenter: Argyris Papantonis (University Medical Center Goettingen)
CTCF는 Loop extrusion 과정을 통해 DNA loop을 형성하고 chromatin의 hierarchical structure를 형성하는 단백질이다. Papantonis 교수팀은 노화가 진행된 senescent cell에서 CTCF를 관찰했을 때 clustering을 형성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SICC(Senescence induced CTCF clustering)이라 명명하였다. ICM을 처리하여 senescence를 유도하게 되면 SICC가 늘어나지만 CTCF의 발현량 자체는 줄어든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메커니즘을 알아내기 위해 다양한 loss-of-function study를 진행한 결과, BANF1이라는 단백질이 SICC의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님을 알아냈으며, SRRM은 필요충분조건임을 알아냈다. SRRM은 splicing에 중요한 단백질이기 때문에 senescence cell에서의 splicing landscape를 확인한 결과 수많은 alternative splicing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3.4. Linker histone H1 serves as liquid-like “glue” of the chromatin domain
Presenter: Masa Shimazoe (National Institute of Genetics)
H1 histone 단백질은 histone octamer를 이루는 H2A, H2B, H3, H4와 달리 linker histone으로서 nucleosome들을 연결해 주는 chromatin 결합 단백질이라고 여겨졌었다. 하지만 해당 연구에서 H1 단백질을 살아있는 세포에서 single-particle tracking을 해본 결과, 단단하게 chromatin에 결합해 있기보단 매우 역동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때문에 H1의 작동방식에 대해 새로운 모델을 제기할 필요가 생겼고, HaloTag로 형광표지하여 이미징 한 결과 liquid-like behaviour를 나타내는 H1이 절반 이상임을 확인했다. H2B 단백질을 초고해상도 형광이미징으로 촬영하여 H1의 single-particle tracking과 동시에 진행한 결과, liquid-like H1 단백질은 chromatin domain의 내부에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H1을 제거했을 때 chromatin domain의 decompaction이 발생함을 확인함으로써, H1은 chromatin domain을 응축시켜 주는 glue와 같은 작동 기작을 가진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2.4. Day 3 – Epigenetics and Chromatin
2.4.1. Compartmentalizing the genome—Multifaceted Epe1 regulation shapes heterochromatin boundaries
Presenter: Sigurd Braun (Univeristy of Giessen)
Chromatin은 응축되어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어 있는 heterochromatin, 풀어져 유전자들이 활발히 발현되는 euchromatin으로 나뉘어 있다. Heterochromatin은 histone modification을 일으키는 HMT (histone methyl transferase)라는 writer와 이곳에 결합하여 응축 상태를 유지하는 HP1이라는 reader 단백질에 의해 형성되는데, heterochromatin의 전개를 조절하여 heterochromatin과 euchromatin의 경계를 결정하는 메커니즘은 묘연했다. Braun 교수 연구팀은 heterochromatin과 euchromatin의 경계에 Epe1이라고 하는 histone demethylase가 다량 결합해 있는 것을 발견하고 Epe1이 ubiquitylation 되고 Bdf2에 의해 이것이 억제되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2.5. Day3 - Nuclear Genome During Development, Physiological Transitions, Disease
2.5.1. Enhancers on the loose—Unveiling the determinants of susceptibility to disruption of chromatin structure
Presenter: Shreeta Chakraborty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Fgf4/5/15는 모두 같은 TAD (Topological associated domain)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발생 과정에서 각각 다른 조직으로 분화하는데 필요한 유전자들이다. Chakraborty 교수 연구팀은 이들 사이의 CTCF binding site를 제거했을 때 유전자들의 발현 패턴이 어떻게 변하는지 양상을 관찰하였다. Fgf3의 upstream의 CTCF binding site를 제거했을 때는 heterozygosity에서도 lethal인 결과가 나왔다. Chromatin의 contact 양상을 분석해본 결과, CTCF binding site를 제거하면 TAD의 boundary가 사라지고, distal enhancer와의 contact가 증가하여 유전자 발현이 달라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2.6. Day4 – Genome Topology and Chromosome Folding
2.6.1. Super-enhancer interactomes from single cells link clustering and transcription
Presenter: Alistair Boettiger (Stanford University)
Enhancer들이 cluster를 이뤄 hub를 형성한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이 enhancer hub가 형성되는 빈도라던가 얼마나 많은 hub가 한 번에 형성되는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 Boettiger 교수 연구팀은 Global super enhancer들을 multiflexed FISH를 통해 3D enhancerome을 분석했다. 5,000여 개의 세포에서 20억 개의 Super-enhancer (SE)들 간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super enhancer들을 2-5%만이 hub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SE community를 형성하는데 기여하는 molecular mechanism을 찾아내기 위해 핵 내 다양한 단백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았는데, H3K27ac, RNA Pol II, Nuclear speckle과는 positive correlation을 보였지만, Sox2, LAD와는 negative correlation을 보였다. 또한, SE community의 size가 클수록 유전자의 발현양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유전자의 높은 발현을 위한 필요조건이나 충분조건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마지막으로 Enhancer-Promoter communication은 private channel이나 group chat과 같은 양상보다는 마치 칵테일파티에서 수 명의 사람들이 모였다가 흩어지기를 반복하는 모습과 닮았다는 모델을 제시하며 발표를 마쳤다.
2.7 Day5 – Nuclear Genome and RNA Biology
2.7.1. Genome organization in and around the nucleolus
Presenter: Raffaella Santoro (University of Zurich)
Nucleolus는 rRNA가 활발히 만들어지는 곳인데도 불구하고 Nucleuolus associated domain (NAD)라고 하는 repressive marker로 둘러 쌓여있다. NAD에 둘러 쌓여있으면서도 rRNA의 활발한 발현을 일으킬 수 있는 메커니즘을 알아내기 위해 Satoro 교수 연구팀은 Nucleolus를 정제하여 이곳에 포함되어 있는 DNA를 분석하였다. LAD는 genome의 30%가량을 커버하였으며, 일부는 Lamin associated domain (LAD)와도 겹치는 양상을 보였다. Nucleolus 안에서 rRNA가 만들어지는 것을 막았을 때는 NAD가 nucleolus에 접촉되는 빈도가 줄어들었다는 것을 통해 nucleolus의 inetegrity가 NAD 형성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7.2. Fasting shapes chromatin architecture via an mTOR/RNA Pol I axis
Presenter: Daphne Cabianca (Institute of Functional Epigenetics)
Cabianca 연구팀은 예쁜꼬마선충의 영양 상태가 genome organization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각기 다른 종류의 histone variant들을 굶기거나 밥을 먹인 상태에서 관찰했는데, 12시간 굶긴 상태에서 장 세포의 핵을 관찰한 결과 핵막 근처에 주로 존재하던 histone과 DNA가 핵 가운데 spherical 구조를 만드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구조는 다시 밥을 먹이면 회복되었는데, 이 rescue 실험을 RNA Pol I, II, III가 없는 상태에서 각각 진행해 보았다. 그 결과 Pol II와 III가 없을 때는 정상적으로 회복되었으나 Pol I이 부재한 상태에서는 rescue가 되지 않았다. 이 genome re-organization이 어떤 function을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굶겼을 때와 Pol I을 없애고 밥을 먹였을 때 유전자 발현의 변화 양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발현이 변하는 유전자들은 대부분 Pol II의 타깃 유전자들임이 밝혀졌다.
2.7.3. Dynamic reorganization of the nucleolus—Material properties and biological implications
Presenter - Yuki Hayashi (European Molecular Biology Laboratory)
Nucleolus는 FC, DFC, GC의 3겹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을 분리하고 있는 molecular mechanism이 무엇인지에 대해 의문을 품었다. Hayashi 연구팀은 Pol I의 활성을 억제하면 FC가 뭉치면서 nucleolus 바깥으로 튀어나오는 Nucleolus cap 구조가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Nucleolus cap은 평소의 FC보다 stifness와 viscosity가 증가한 특징을 가졌다. 이를 통해 각 layer를 분리하고 있는 매개체가 RNA라는 가설을 세우고 Uridine의 아날로그 물질인 Ethynyl-uridine을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 Pol I의 활성이 줄어들어있는 상태에서는 ribosome large subunit의 rRNA가 nucleolus에 누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ayashi 연구팀은 FC가 바깥으로 튀어나오는 이유를 DNA repair protein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함이라고 전망했다.
2.7.4.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multiphase nuclear speckle integrity in nuclear inter-chromatin trafficking Nuclear speckle connection dynamics
Presenter: Kim Jiah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RNA의 전사를 억제하면 nuclear speckle(NS)은 서로 합쳐져 더 큰 speckle을 형성한다. 이때 NS 사이를 서로 잇는 connected structure가 관찰되는데, 매우 연하고 반복적이며 일시적으로 형성되었다가 사라지는 양상을 보였다. NS의 구성 단백질인 SON을 single-particle tracking을 했을 때, 단백질들이 이 connected structure를 통해 NS 사이를 이동한다는 것을 관찰하였고, SON보다 NS의 더 바깥쪽에 분포한 MAGOH 단백질과 dual color 이미징을 해본 결과, SON으로 관찰할 땐 훨씬 낮은 밝기로 보이던 connected structure가 MAGOH를 통해 관찰하면 더 진하게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ATP를 제거했을 때 이 구조가 사라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connected structure가 ATP dependent 하다는 사실을 밝혔다.
2.7.5. Regulatory architecture of a transcriptional compartment at nanoscale resolution
Presenter: Kalon Overholt (MIT)
Overholt 연구팀은 Micro-C 기법을 통해 HCT116 세포의 MYC 유전자와 MYC의 super-enhacner를 관찰했을 때, 이 둘 사이에 수많은 loop contact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이들 중에 20%만이 CTCF에 의해 매개되는 loop였는데, 나머지 loop를 매개하는 것이 무엇인지 의문을 품었다. MNase digestion과 Footprinting motif search를 통해 이 loop에서 발견되는 서열들은 다양한 transcription factor들이 결합하는 motif라는 것을 밝혀냈으며, 이들 모두 RNA binding protein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사를 억제하는 약물인 triptolide를 처리하였을 때 이 loop contact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RNA 분해효소를 처리한 뒤, chromatin에서 결합이 줄어든 단백질들을 분석해 보니 전사인자나 co-activator 단백질들이 그 목록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2.7.6. Chromatin expansion microscopy reveals nanoscale organization of transcription and chromatin
Presenter: Mark Pownall (UCSF)
Pownall 연구팀은 polyacrylamide gel에 세포를 embedding 한 뒤, 물을 gel에 흡수시켜 확장함으로써 세포의 크기를 키워 현미경으로 이미징 하는 expansion microscopy 기법을 개발하였다. 이 기법은 세포핵의 chromatin 구조를 관찰하는데 최적화되어 개발되어 Chrom-ExM으로 명명되었는데, Pownall 연구팀은 Zebra fish의 배아를 관찰하여 발생과정에서 생기는 전사인자와 RNA의 집합체를 관찰하였다. 특히 유전자 발현이 한참 진행 중일 때와 일시정지 되어 있을 때, super enhancer와 promoter의 물리적 관계를 관찰함으로써, 유전자 발현 조절 과정 중 전사 과정에서의 molecular mechanism을 규명하였다.
2.7.7. 3D genome organization around nuclear speckles drives mRNA splicing efficiency
Presenter: Mitchell Guttman (Caltech)
Nuclear speckle은 splicing factor들의 집합체로 알려져 있지만, 정작 splicing 과정에서 speckle의 역할과 작동 메커니즘은 규명된 바가 적다. Guttman 연구팀은 2,600여 개의 유전자에 대해 세포핵 내에서 nuclear speckle과의 물리적 상관관계를 파악한 뒤, splicing efficiency를 관찰했다. 그 결과 nuclear speckle에 가까울수록 efficiency가 높아짐을 확인하였고, splicing needed GFP와 BFP cDNA가 발현되는 reporter gene을 통해 다시 한번 nuclear speckle과의 proximity가 splicing efficiency와 강한 상관관계를 보임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nascent RNA를 MS2 tagging 시스템을 통해 nuclear speckle으로 직접 인도하였을 때 역시 splicing efficiency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3. 세미나 세션 외 활동 및 총평
본 학회에서는 연사의 세미나 발표 외에도 포스터 세션과 와인 파티, 뱅킷 등 학자들끼리 서로 교류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마련되었다. 특히 세션 중간중간에 coffee break가 있어서 발표 질의응답 시간에 질문하지 못했던 것을 직접 물어볼 수 있었고, 다른 청중과도 의견을 나눌 수 있었다. 와인 파티와 뱅킷에서는 주류나 스낵과 함께 잔디밭에서 가벼운 분위기로 다양한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는데, 본인 같은 대학원생이 논문에서나 보던 인물들을 실제로 만나 나의 견해를 전달하고 질문을 할 수 있는 아주 소중한 기회였다. 대형 학회에서는 거물급 인사가 훨씬 많이 오고 프로그램이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직접 소통할 기회가 적지만, CSHL meeting과 같은 워크숍 학회는 이러한 밀도 높은 구조가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게시물의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하며, 일부 내용 인용시 출처를 밝혀야 합니다.
자료열람안내
본 내용은 BRIC에서 추가적인 검증과정을 거친 정보가 아님을 밝힙니다.
내용 중 잘못된 사실 전달 또는 오역 등이 있을 시 BRIC으로 연락(view@ibric.org)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