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연구동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생명과학관련 정보제공자를 모집합니다.
Bio리포트 학회참관기
Gordon Research Conference: Natural Products and Bioactive Compounds 학회 참관기
이석현(POSTECH)
목 차
1. 날짜별 발표 내용 요약
1.1. 7월 30일
1.1.1. Keynote Session: Chemical Biology of Natural Products and Bioactive Compounds
1.2. 7월 31일
1.2.1. Target Oriented Synthesis of Bioactive Compounds
1.2.2. Strategies and Tactics for Complex Natural Product Total Synthesis
1.3. 8월 1일
1.3.1. Synthetic Biology and Biosynthesis of Natural Products
1.3.2. Paradigm Shifting Technology
1.4. 8월 2일
1.2.1. Discovery of Natural Products and Their Signaling Pathways
1.2.2. Medicinal Chemistry of Natural Products and Bioactive Compounds2.3. Early life influences on aging trajectories of stem cells and metabolism
1.5. 8월 3일
1.2.1. Novel Synthetic Strategies and Methodologies
1.2.2. Keynote Session: Total Synthesis of Complex Natural Products
2. 총평
3. 참고문헌
1. 날짜별 발표 내용 요약
제70회 Gordon Research Conference – Natural Products and Bioactive Compounds는 “Natural Products: Inspiring Innovation in Chemistry, Biology and the Discovery of New Medicines”를 주제로 하여 Andover의 Proctor academy에서 진행되었다. 본래 해당 학회는 유기합성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물질 분리, 구조 동정, 생합성, 의약화학을 포함하여 천연물화학을 광범위하게 다루는 학회로 변모하고 있다. 이번 학회에서도 천연물화학의 다양한 분야가 다루어졌으며, 학회 발표 역시 학계와 산업계를 아우르는 연사로 구성되었다. 학회 참석 인원은 대략 180명 정도였다.
1.1. 7월 30일
1.1.1. Keynote Session: Chemical Biology of Natural Products and Bioactive Compounds
Activity-Based Proteomics – Protein and Ligand Discovery on A Global Scale (Benjamin Cravatt,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Activity-Based Protein Profiling (ABPP)는 protein의 small molecule ligand를 찾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이를 통해 druggable 한 protein space의 확장이 가능하다. 이에 대한 예시로 cysteine에 reactive한 small molecule 기반의 정량적인 fragment-based ligand discovery를 진행하여 700개 이상의 cysteine에 covalent 한 ligand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 extrinsic apoptosis pathway 경로를 규명하는 연구를 소개하였다 [1]. 특히, small molecule로 natural product를 사용할 경우, natural product의 ligandability의 mapping이 가능하다. Primary T cell에서 진행한 electrophile-cysteine interaction에서 natural product인 triptolide가 면역을 억제하는 cysteine의 ligand로서 기능함을 발표하였다 [2]. 마지막으로, 최근에 ligandable 한 cysteine coverage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입체 화학적인 stereoprobes를 이용하여 상호보완적으로 cysteine-directed ABPP와 protein-directed ABPP를 동시에 사용하여 더욱 정확한 ligandable proteome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
The Rise of Molecular Glues and Bifunctional Compounds (Stuart Schreiber, Harvard University & Broad Institute)
Molecular glue와 bifunctional compound를 통해 화학적으로 protein 간의 proximity 조절이 가능하며, 이는 cell signaling, chromatin remodeling, immune response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해당 발표에서는 이러한 chemical inducers of proximity (CIPs)의 개발 연구 과정을 연대기적으로 소개하였다. 이 과정에서 cyclosporin과 rapamycin 등 다양한 천연물들이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을 매개할 수 있음을 발표하였다. 또한, 복잡한 천연물뿐만이 아니라 synstab A, discodermolide 등과 같은 간단하거나 복잡한 synthetic molecular glue의 개발 과정 역시 소개하였다 [3]. 이러한 CIPs를 통해 기존 activity-based drug discovery에서 더 나아가 precision medicine으로 발전이 가능하다고 언급하였다. CIPs 개발 과정에서 cooperative 한 molecular glue를 찾기 위해 DNA-barcoded compound를 이용하여 binding-based screen을 진행한 연구 또한 소개하였다.
1.2. 7월 31일
1.2.1. Target Oriented Synthesis of Bioactive Compounds
Process Development of a Suzuki Reaction Used in the Manufacture of Lenacapavir (Anna Wagner, Gilead Science)
Gilead에서 HIV 치료제로 개발한 Lenacapavir의 중간체 합성 과정에서 실제 plant에서 어떻게 대량 합성하였는지 process chemistry 관점에서 발표하였다. 해당 화합물은 Suzuki coupling 반응으로 중간체를 합성하는 과정이 있는데 이 과정에서 Pd 촉매가 사용됨에 따라 중간체 purification 과정에 문제가 있었음을 공유하였다. 남아있는 Pd 촉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NAC (N-acetyl-L-cysteine)으로 work-up 하였으며 Pd 촉매의 리간드를 조절함에 따라 work-up 과정에서 emulsion 발생 여부를 조절할 수 있었다. 또한, Suzuki 반응을 진행할 때 산소 농도를 최소화함으로써 β-elimination 부반응을 억제할 수 있었음을 발표하였다.
COVID Therapies: Process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Cheryl Hayward, Pfizer)
Pfizer에서 COVID-19 치료제로 판매하고 있는 Paxlovid(성분명: Nirmatrelvir)의 개발 과정에 대해 발표하였다. 보통 10년 이상 소요되는 신약 개발 과정에도 불구하고 전례 없는 전염병의 창궐로 빠른 시간 안에 효과적이며 안전한 COVID-19 치료제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 과정에서 process chemistry가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발표하였다. 첫 개발단계에서 Burgess 시약을 사용하거나 CH-2Cl2 용매를 사용하는 등 반응 환경이 대량 합성에 적합하지 못하였으나 지속적인 개발로 PMI (Process mass intensity)를 20 미만 수준으로 낮추는 과정을 소개하였다. 또한, PMI를 넘어 GWP (Global Warming Potential)를 최소화하려는 Pfizer의 최근 노력을 발표하였다.
Biocatalysis and Complex Molecule Synthesis (Alison Narayan, University of Michigan)
Enzyme을 사용하여 기존 small molecule method로 진행하기 힘들었던 반응을 성공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chemoenzymatic synthesis 방법을 발표하였다. Engineered AzaH, AfoD, TropB, SorbC 등을 사용하여 oxidative dearomatization을 진행하여 tropolone 유사체를 합성하거나 P450을 활용하여 biaryl bond를 cross-coupling 반응을 통해 형성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해당 합성 방법들은 biosynthetic pathway 기반으로 protein engineering을 거치고, 경우에 따라서 enzyme family-wide activity profiling을 거쳐 촉매를 선별한다고 하였다 [4]. 현재는 computation chemistry 방법을 사용하여 원하는 transformation에 적합한 enzyme을 찾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소개하였다.
1.2.2. Strategies and Tactics for Complex Natural Product Total Synthesis
Empowering Organic Synthesis: From Unique Methods to Complex Natural Products (David Sarlah,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최근에 전합성을 완료한 ribostamycin과 darobactin A의 합성 연구를 발표하였다. 먼저, ribostamycin의 경우 benzene의 Cu-catalyzed enantioselective dearomative hydroamination을 진행하여 diene을 획득한 뒤, olefin functionalization을 거쳐 2-deoxystreptamine (2-DOS) 골격 합성을 효율적으로 진행하였다. 그 후, glycosylation 반응을 진행하여 ribostamycin의 전합성을 완료하였다 [5]. Darobactin A의 경우 bacterial insertase complex BamA에 붙어 gram-negative bacteria에 선택적인 potency를 보이며 그동안 알려진 항생제와는 전혀 다른 mode of action을 보인다고 보고된 바 있다. 해당 분자는 Garner’s aldehyde와 serine으로부터 16단계 LLS (longest linear sequence)로 합성되었으며 Larock indole synthesis를 통하여 macrocycle을 효율적으로 합성하였다 [6].
Lessons From Total Synthesis of Hybrid Natural Products (Keisuke Suzuki,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Safflower에서 추출되는 전통 염료 carthamin의 전합성 연구를 발표하였다. 해당 화합물은 2개의 C-glucosyl quinochalcone이 single carbon에 연결되어 있는 pseudo-dimer 형태를 띠고 있다. Aryl-C-glycoside 부분의 quaternary center의 원하는 입체화학을 도입하기 위하여 desymmetrization을 진행한 뒤, oxidative dearomatization을 진행하여 원하는 monomer 골격을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적절한 Boc 보호기 도입이 요구되었다. 마지막 [2+1] 합성의 경우, orthoester를 single carbon source로 활용하고 lithium enolate를 도입함으로써 최종 화합물을 성공적으로 합성할 수 있었음을 발표하였다 [7].
Choose Your Own Adventure in Metal-Hydride Catalysis (Vy Dong,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Vy Dong group에서는 olefin의 hydrofunctionalization 반응을 이용하여 간단한 분자로부터 복잡한 분자를 합성하는 연구를 주로 진행하고 있다. 이번 발표에서는 Rh, Pd, Ni 촉매를 통한 diene의 hydrofunctionalization 반응 개발 과정을 소개하였다. 해당 금속 촉매 반응을 통하여 다양한 C, S, O, P nucleophile이 diene에 첨가될 수 있었고, 특히 몇몇 경우는 ligand나 사용한 non-coordinating counterion에 따라 regioselectivity에 변화를 줄 수도 있었다.
1.3. 8월 1일
1.3.1. Synthetic Biology and Biosynthesis of Natural Products
Development of an Alternative Bacterial Host For Natural Product Discovery (Alessandra Eustaquio, University of Illinois Chicago)
Burkholderia FERM BP-3421을 통해 lasso peptide capistruin을 heterologous production 한 내용을 발표하였다. Heterologous expression 방법을 통하여 주로 이용되는 E. coli host보다 65배에서 580배 이상의 lasso peptide를 생성하였음을 소개하였다. 이는 사용한 BGC source와 host 간의 가까운 phylogenetic relationship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통해 FERM BP-3421이 Burkholderia natural product의 발현에 유망한 host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요약하였다 [8].
Discovery of New Biocatalysts for Selective C-F Bond Formation and Application Toward The Synthesis of Halogenated Natural Products (Michelle Chang,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Type II HpcH aldolase에 의해 fluoropyruvate가 aldehyde에 첨가되어 높은 입체선택성을 가지는 organofluorine을 합성할 수 있음을 발표하였다 [9]. 해당 aldol 화합물은 추후 반응을 거쳐 fluorinated sugar, amino acid 등에 합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fluorine-selective trans-acyltransferase에 의해 fluorinated polyketide 6dEB를 위치 선택적으로 in vitro 합성할 수 있음을 발표하였다 [10]. 적절한 위치에 cis-AT를 비활성화하고 trans-AT를 배치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선택성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fluorinated polyketide 합성이 E. coli에서 in vivo로 역시 합성이 가능함을 소개하였다. 이 경우, fluoromalonyl-CoA가 세포포 내에 도달할 수 있도록 transporter와 activator system이 추가로 요구되었다.
Harnessing Natural Product Pathways (Sarah O'Connor, Max Planck Institute for Chemical Ecology)
Single-cell multi-omics 방법을 통하여 monoterpene indole alkaloid (MIA) biosynthetic pathway를 규명함을 발표하였다. Cell type에 따라 specific gene expression을 보이므로 해당 방법을 통해 효율적으로 생합성 경로를 규명할 수 있었다 [11]. 또한, strychnine의 생합성 경로를 처음으로 규명한 연구를 발표하였다. 해당 분자의 전합성을 통해 1900년대 중반 유기화학의 발전이 이루어졌으나 발표한 연구 이전에는 생합성 경로는 밝혀지지 않은 상태였다. Strychnine과 그 유사체인 brucine, diaboline의 생합성 경로를 소개하였으며 engineered 된 Nicotiana benthamiana에 중간체를 넣어줌으로써 strychnine, brucine, diaboline의 생합성이 가능함을 증명하였다 [12].
A Naturally Occurring LyTAC (Chaitan Khosla, Stanford University)
셀리악병의 발병 원인인 gluten peptide가 세포 내에서 어떻게 처리되어 염증반응을 일으키는지에 대한 상세한 메커니즘 연구를 발표하였다. Gluten peptide가 먼저 TG-2에 달라붙고, α¬2M과 ternary structure를 형성하여 LRP-1 mediated endocytosis에 의해 endosome에 gluten peptide가 전달이 된다. 그 후, endosome에서 gluten peptide의 deamidation이 일어난 뒤, MHC-II에 presentation이 된다. 해당 연구를 통해 TG-2가 protein의 lysosomal clearance에 관여함을 보일 수 있었다 [13].
1.3.2. Paradigm Shifting Technology
Unlocking Natural Product-Based Drug Discovery with Metabolomics and Machine Learning: Natural Intelligence Meets It's Artificial Counterpart (Bryan Norman, Enveda Biosciences)
천연물 기반의 신약을 개발할 때 1) 구조 규명, 2) 생리 활성 규명, 3) 충분한 물질량 확보가 가장 큰 어려움이라고 언급하였다. 그러면서 Enveda Bioscience에서는 앞선 두 가지 어려움을 machine learning 방법으로 극복하고자 한다고 발표하였다. 자체 개발한 ‘MS2Mol’ 방법을 통하여 LC-MS data를 통해 분자 구조를 예측하고, ‘MS2Prop’을 통해 분자 구조의 물리화학적 변수를 계산할 수 있다고 소개하였다. 해당 방법들을 통하여 예측한 구조와 실제 구조가 일치한 사례를 소개하였으며 신약 개발 과정에서의 machine learning 방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Correlative Metabologenomics of 110 Fungi Reveals Metabolite/Gene Cluster Pairs (Neil Kelleher, Northwestern University)
기존 bacteria의 genomics와 metabolomics의 연관 연구를 통해 다양한 metabolite 구조와 생합성 경로 발견에 도움을 주었으나 fungi에서 관련 연구는 더딘 편이었다. 발표한 연구에서는 110개의 Ascomycete의 metabologenomics 분석을 진행하여 GCF network와 fungal natural product 간의 연관성을 조사했음을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pestalamide B의 생합성 경로를 규명할 수 있었고, 연관 점수가 높은 천연물 – GCF 쌍을 200개 이상 찾아낼 수 있음을 발표하였다 [14].
1.4. 8월 2일
1.4.1. Discovery of Natural Products and Their Signaling Pathways
Natural Products as Signaling Molecules in Complex Microbiome Systems (Marcy Balunas, University of Michigan)
Trichoderma가 생성하는 peptailbol metabolite가 Trachymyrmex septentrionalis ant의 weeding behavior를 야기함을 발표하였다. 해당 균이 생성하는 천연물이 개미로 하여금 fungus garden의 감염을 인지하고 방어적인 행동을 취하게 만든다고 소개하였다. 화합물에 의한 pathogen infection의 감염 인지와 방어 메커니즘이 다른 공생관계에서도 보일 수 있을 것이라 전망하였다 [15]. 또한, 최근에 개발한 Metabolomics Peak Analysis Computational Tool (MPACT) 분석법을 적용하여 microbial natural product discovery에 응용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16].
Natural Products Inhibit and Promote Bacteriophage Infectivity (J. P. Gerdt, Indiana University)
Enterobacteria가 생성하는 linear enterobactin (LinEnt)가 vibriophage의 증식을 억제한다는 연구를 발표하였다. 해당 억제 효과는 iron sequestration에 의한 것으로 해당 화합물 조건에서 V. Cholerae를 죽이는 phage의 activity를 줄인다고 소개하였다. 해당 연구를 통해 주변 화합물 조성이 phage의 감염성을 조절하는데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고 발표하였다 [17].
Bioactive Natural Products From High Desert Bacteria and Termite Associated Fungi (Sandra Loesgen, University of Florida, the Whitney Lab)
Streptomyces sp. (CL12-4)로부터 bicyclic diterpenoid benditerpenoic acid를 isolation 한 연구를 발표하였다. 또한, genome sequencing, mining을 통해 해당 천연물 합성에 필요한 BGCs를 확인하였고 독특한 fused ring을 생성하는 terpene synthases (TSs)를 확인하였다고 소개하였다. 구조의 absolute configuration은 Mosher’s analysis, NMR analysis, computation을 통해 확정 지었다. 해당 화합물은 gram-positive bacteria에 antibacterial activity를 보였으며 용액상에서 ring flip이 일어나는 dynamic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확인되었다. 해당 화합물은 eunicellane-type diterpenoid의 드문 예시 중 하나이며 본 연구를 통해 eunicellane 골격의 BGCs와 TSs를 처음으로 규명하였다고 소개하였다 [18].
1.4.2. Medicinal Chemistry of Natural Products and Bioactive Compounds
Discovery of Glucocorticoid Receptor Modulator Payloads for Immunology Antibody-Drug Conjugates (Christopher Marvin, AbbVie, Inc.)
Glucocorticoid receptor modulators (GRM)은 면역질환 치료에 사용될 수 있지만 그동안 여러 부작용에 의해 사용이 제한되어 왔다. 본 발표에서는 immunology antibody-drug conjugate (iADC)을 통해 GRM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효과를 증대시키려는 연구를 발표하였다. α-TNF-GRM ADC 개발을 위해 다양한 payload와 linker를 각각 준비한 뒤 수렴적 합성을 진행하여 SAR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최적화된 ADC를 찾아 ABBV-3373으로 명명하고 임상시험에 돌입하였다고 발표하였다 [19].
Exploring Biological Systems with a Collection of Complex and Diverse Small Molecules (Paul Hergenrother,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복잡한 천연물로부터 다양한 천연물 유사체를 확보하여 이를 lead compound에 적용하는 연구를 발표하였다. 기존 HTS 방법을 통해서는 대게 planar 한 분자들이 얻어지기 때문에 원하는 수준으로 다양화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복잡한 구조의 천연물을 기반으로 다양화를 진행할 경우, 얻어지는 유사체들의 chemical property (ClogP, # of stereogenic center, H-bond donor/acceptor 등)가 훨씬 다양하다는 장점이 있다. Ring cleavage, expansion, fusion, rearrangement 반응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천연물로부터 복잡한 유사체 library를 형성할 수 있었음을 소개하였다 [20].
Bridging Unknown Unknowns. An Unpredicted Journey From Natural Products to Unmet Needs in Neuroscience (Stephen Marti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σ2R ligand로서 SAS-0132가 neuroprotective 한 효과를 보임을 발표하였다. 해당 분자는 human SK-N-SH neuroblastoma cell의 Ca2+ level을 조절하는 효과를 보였고 AD/healthy Thy-1-hAPPLond/Swe+ transgenic mouse model의 인지능력을 향상시켰다. 또한, SAS-0132보다 affinity와 selectivity가 향상된 유사체 DKR-1677의 경우 traumatic brain injury를 경험한 mice model에서 neuroprotective 효과를 보임을 발표하였다. 해당 연구들을 통해 σ2R가 neuroprotection과 neurocognitive disorder와 관련된 promising therapeutic target임을 보였다 [21].
1.5. 8월 3일
1.5.1. Novel Synthetic Strategies and Methodologies
Opportunities in Stereocontrolled Syntheses of Complex Amines (Jennifer Schomaker,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Sulfamoyl allene으로부터 oxidative allene amination 반응을 진행하여 amine을 포함하는 연속적인 3개의 stereogenic center를 가지는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는 반응을 발표하였다. 해당 반응을 이용하여 다양한 stereotriad 골격합성이 가능함을 강조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jogyamycin의 aminocyclitol core 합성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22]. 또한, Overman rearrangement와 Ichikawa rearrangement 반응을 통해서도 비슷한 core 골격 합성이 가능하였음을 발표하였다.
Harnessing Radicals and Carbenes To Enable Unconventional Reactivity (David Nagib, The Ohio State University)
Radical 반응을 이용함으로써 기존 반응물의 polarity를 다르게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새로운 반응 개발이 가능함을 발표하였다. 계산화학을 이용함으로써 radical의 안정도를 계산함으로써 radical 반응을 위한 적절한 치환기를 예상할 수 있음을 소개하였다. 또한, aldehyde로부터 온화한 조건에서(non-stabilized) carbene을 합성하는 방법을 발표하였다 [23]. Carbene의 전구체로 diazoalkane과 gem-dihalide가 알려져 있지만 폭발 가능성과 불안정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반응을 통하여 전자적으로 다양한 성질을 지니는 carbene을 합성하였고, 이를 다양한 반응에 적용이 가능함을 소개하였다.
Natural Products: Opportunities to Develop Synthetic Methods (Janine Cossy, ESPCI Paris)
C-glycoside는 O-glycoside에 비해 대사진행 속도가 느리므로 O-glycoside의 유사체로 신약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mannose, glucose, galactose의 α-C-glycoside 합성방법을 소개하였다. 코발트 혹은 철 촉매 조건 하에서 glycosyl bromide에 Grignard 시약을 첨가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선택성을 가지는 aryl, vinyl α-C-glycoside 합성이 가능하였으며 반응 도중 anomeric radical을 경유한다고 언급하였다 [24]. 또한, 2-iodoglycal과 2-iodoribal로부터 Ni 촉매 하에서 Grignard 시약을 첨가하여 2-C-glycal과 2-C-ribal을 합성할 수 있음을 보였고, 이로부터 deoxyglycoside, diglycoside, deoxynucleoside 합성이 가능함을 발표하였다 [25].
1.5.2. Keynote Session: Total Synthesis of Complex Natural Products
The Molecular Mystique of Nature's Poisons (Justin Du Bois, Stanford University)
Saxitoxin 유사체가 voltage-gated sodium ion channel subtype 1.7 (NaV1.7)의 선택적이고 상태 독립적인 inhibitor임을 발표하였다. NaV의 구조가 규명이 되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saxitoxin 유사체를 가지고 SAR study를 진행하고 binding energy를 계산함으로써 saxitoxin과 NaV의 binding mode를 알아내고자 하였던 연구를 먼저 소개하였다 [26]. 또한, ST-2262 유사체가 IC50 농도 72 nM 수준으로 선택적으로 NaV1.7에 결합한다고 소개하였다. Preliminary PK/PD 결과를 공개하였으며 해당 화합물의 동물 실험 결과 열 자극 민감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고 발표하였다 [27].
Necessity is the Mother of Invention: Natural Products and The Chemistry They Inspire (Sarah Reisman,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구조적으로 복잡한 terpene 천연물을 합성하기 위하여 fragment coupling 방법으로 convergent 하게 합성하는 방법이 중요하다고 언급하였다. 이에 대한 예시로 perseanol 전합성에서 aldehyde와 vinyl iodide의 fragment coupling을 진행한 뒤, Pd 하에서 annulation을 진행하여 빠르게 골격구조를 합성한 사례를 발표하였다 [28]. 또한, epoxyketone에 alkenyl lithium을 1,2-addition fragment coupling 한 뒤 semi-pinacol rearrangement 반응을 거쳐 quaternary 입체 중심을 만드는 반응 역시 소개하였다 [29]. 이를 사용하여 최근 진행하고 있는 전합성 연구 중간 결과를 발표하였다.
2. 총평
이번 70회 Gordon Research Conference – Natural Products and Bioactive Compounds는 천연물과 생리활성 물질을 다루는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참가하였다. Natural product discovery, biosynthesis, chemical biology, total synthesis (and chemical methodology)라는 큰 주제로 천연물 화학의 전반적인 최신 동향을 다룬 학회였다. 해당 학회는 casual 한 분위기 속에서 연구자들 간의 교류가 촉진되었으며 특히 2시간 내외로 진행된 포스터 세션에서는 아직 발표되지 않은 최신 연구 동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회 프로그램으로 마련된 ‘GRC Power Hour’에서 연구 외적인 진로나 사회문제 등을 토론하는 시간이 마련되었고, 정규 프로그램 이외에도 식사 시간이나 beer party에서 연구 결과와 진로에 대해 부담 없이 얘기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었다. 평상시에는 만나기 힘든 다양한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과 5일 동안 깊이 있게 토의하고 얘기하는 경험은 GRC 학회가 제공하는 가장 큰 장점이 아닐까 싶다.
3. 참고문헌
==>첨부파일(PDF) 참조
본 게시물의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하며, 일부 내용 인용시 출처를 밝혀야 합니다.
자료열람안내
본 내용은 BRIC에서 추가적인 검증과정을 거친 정보가 아님을 밝힙니다.
내용 중 잘못된 사실 전달 또는 오역 등이 있을 시 BRIC으로 연락(view@ibric.org)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