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바이오 관련 동향 뉴스를 신속하게 제공합니다.
뉴스 생명과학
도파민과 유사한 DA-HA의 ‘저독성’ 확인해
Bio통신원(안전성평가연구소)
안전성평가연구소(KIT, 소장 허정두)는 글로벌바이오의약연구단의 우동호 박사와 김예지 UST 박사과정이 새로운 도파민 유사체 DA-HA(Dopamine-modified hyaluronic acid)의 기능 및 독성기전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이창준 단장, 김선필 박사후 연구원)과의 공동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팀은 도파민과 히알루론산을 결합한 DA-HA를 화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도파민과 유사한 활성도를 보였으며 기능적으로 동일함을 확인했다. 또한 기존의 도파민은 체내 오랜시간 잔류시 세포독성을 일으키는 반면, DA-HA의 경우 자가산화 정도가 적어 세포독성이 적게 나타났다. *자가산화 : 세포의 작용없이 물질 자체가 스스로 산화 되는 현상, 세포에 흡수되지 못한 도파민은 자가산화 되어 독성을 띄게 된다.
그림1. DA-HA의 특성을 나타낸 모식도 <사진=안전성평가연구소>
특히, 마우스 모델 실험에서 DA-HA가 파킨슨병의 행동 이상을 완화 시키는 것을 보였으며, 현재 파킨슨병 치료제인 L-DOPA에 비해 독성과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성평가연구소 글로벌바이오의약연구단 우동호 책임연구원은 “현재는 뇌에 직접 투여하는 단계이지만 도파민 유사체 DA-HA를 활용해 경구용 파킨슨 치료제로 상용화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해당 연구는 화학 및 생물학 분야의 국제학술지 ‘Redox biology(IF 10.7)’에 게재 되었다.
- 제 1저자 : 김선필(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김예지(UST-KIT, 글로벌바이오의약연구단)
- 교신저자 : 이창준(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우동호 (UST-KIT, 글로벌바이오의약연구단)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오류 신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