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바이오 관련 동향 뉴스를 신속하게 제공합니다.
뉴스 의학약학
체지방을 줄여주는 다이어트 보조제의 새로운 작동원리를 찾았다
Bio통신원(우석대학교)
우석대학교(총장 박노준) 한주희(약학과) 교수 연구팀이 체지방을 줄여주는 다이어트 보조제 ‘하이드록시시트릭산(hydroxycitric acid 이하 HCA)’의 새로운 조절기전을 규명했다.
우석대학교 한주희 교수본 연구결과에서 밝힌 RPS6KA1과 FoxO1 단백질은 활성화시 세포의 유사분열과 증식,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조절자들이 자극받게 되면 새로운 지방세포를 만드는 전구세포의 과도한 증식이 일어나게 되고, 비만을 유발하게 된다.
연구팀은 지방전구세포에 HCA를 처리시 RPS6KA1의 작용과 세포 증식을 위한 세포 주기 진입이 억제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RPS6KA1의 활성화 억제는 지방전구세포의 핵 내에 존재하는 FoxO1 단백질의 핵 밖으로 이동을 억제하여 세포 증식을 위한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켰다.
한주희 교수는 “우리 몸에 남아 있는 잉여의 에너지원을 저장하는 지방조직에는 지방세포뿐만 아니라 전구세포, 면역세포 등 다양한 세포들이 모여 있고 상호작용에 의해서 지방세포의 수가 증가 (hyperplasia)하거나, 크기가 비대 (hypertrophy)해져서 지방조직이 커지게 된다”라며 “이 중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 전환을 억제하는 것이 대표적 대사질환인 비만을 조절하는 새로운 전략이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또한, 고지방 식이요법으로 비만이 유도된 쥐에게 HCA를 투여시 RPS6KA1과 FoxO1의 억제에 의해 복강내 지방세포의 수가 감소하는 것을 입증했다.
한주희 교수는 “신체에 존재하는 지방세포의 수가 많을수록 더 많은 지방을 축적할 수 있기에, 지방세포 수를 조절하는 것은 효과적인 치료전략일 수 있다”면서 “체지방 감소를 위해 많이 사용되는 HCA를 이용하여 본 치료전략을 성공적으로 제시할 수 있었고 향후 비만 치료를 위한 중요한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우석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고, 서울대학교 Rajendra Karki 교수(생명과학부)와의 협업으로 이뤄졌다. 연구 결과는 통합 및 보완 의학(Intergrative&Complementary Medicine) 분야 1위 (상위 1.8%)의 세계적인 학술지인 ‘파이토메디슨(Phytomedicine, IF=7.9)’에 지난 3월 20일자로 게재됐다. (논문 제목 : Inhibition of the RPS6KA1/FoxO1 signaling axis by hydroxycitric acid attenuates HFD-induced obesity through MCE suppression)
연구 결과 [그림제공: 우석대학교 한주희 교수]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오류 신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