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바이오 관련 동향 뉴스를 신속하게 제공합니다.
뉴스 의학약학
성인 호산구 천식 환자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변화 연구 발표
Bio통신원(haan33)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알레르기내과 박한기 교수와 부산대학교 동물생명자원학과 김명후 교수팀이 공동으로 연구한 연구결과가 국제 저명학술지인 ‘Allergy, (IF=14.710)’에 게재되었다.
<왼쪽부터 칠곡경북대병원 알레르기내과 박한기 교수, 부산대 동물생명자원학과 김명후 교수>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우수신진연구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연구 주제는 “성인 호산구 천식환자에서 나타나는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변화 연구(Adult asthma with symptomatic eosinophilic inflammation is accompanied by alteration in gut microbiome”이다.
*논문링크: https://doi.org/10.1111/all.15691
최근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은 우리 몸의 면역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염증성 질환과 상호작용 하는 것이 밝혀지면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분야이나, 성인 천식의 염증 조절에 있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변화의 역할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히 규명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칠곡경북대학교병원을 방문한 천식환자 중 호산구 염증이 존재하고, 천식증상이 잘 조절되지 않는 환자의 분변 내 마이크로바이옴을 건강대조군 및 비호산구 만성 기침환자와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인 호산구 천식환자는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유형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차이를 보였고, 특히 Lachnospiraceae와 Oscillospiraceae의 감소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Lachnospiraceae와 Oscillospiraceae에 속하는 많은 장내세균들은 장내세균만이 생성할 수 있는 답즙산, 아미노산 산물 등과 같은 중요한 대사산물들을 생산하고, 장관 면역세포들을 자극하는 역할을 하여 우리 몸의 면역계의 균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균주의 감소로 인하여 면역계의 조절기능의 저하 및 장투과성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천식의 조절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본 연구팀은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에 대해 박한기 교수는 “천식의 중요 염증 형태인 호산구 천식환자에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변화를 규명함에 따라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조절하여 천식의 기도 염증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여 매우 뜻깊다”며, “본 공동연구팀은 이러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변화가 발생하는 기전적인 메커니즘을 밝히고,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교정하여 호산구 및 알레르기 기도염증을 조절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찾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추후 천식 조절을 위한 새로운 치료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오류 신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