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일본 교토대 야마나카 신야 교수는 성체 세포를 역분화시켜 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는 유도만능줄기세포 iPSC를 만드는 데로 발전하며 신야 교수는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지금은 생명과학계 전반에 혁명적인 전환점으로 평...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의 교수 롭 나이트(Rob Knight)와 과학 저널리스트 브렌던 불러(Brendan Buhler)는 그들의 저서 ‘Follow Your Gut: The Enormous Impact of Tiny Microbes’에서 ‘인간은 DNA라는 측면에서 주변 사람들과 99.99%의 동일한 DN...
유전자 변형 마우스(Genetically Engineered Mouse, GEM)는 특정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변형하거나 제거한 실험용 마우스로, 당뇨병이나 알츠하이머와 같은 특정한 질환을 앓는 연구용 모델 마우스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그리고 유전자가 변형되어서 질병에 걸린 마우스...
유전자 편집 연구는 1세대 ZFN(Zinc Finger Nuclease, 아연-손가락 핵산분해효소), 2세대 TALEN(탈렌)을 거쳐 3세대인 CRISPR(크리스퍼)를 통해 전환기를 맞았다. 크리스퍼는 세균의 항바이러스 면역체계를 응용한 기술로 세균이 바이러스의 DNA를 기억해 Cas9 효소로 ...
2024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마이크로 RNA(micro Ribonucleic acid, miRNA)를 발견하고 그 기능을 규명한 두 명의 학자에게 돌아갔다. miRNA는 길이가 22개 안팎의 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짧은 RNA 분자로, 생체 내에서 특정 유전자의 발현 여부를 조절하는 핵심적 역할...
세계 최대이자 다자간 연구 혁신 프로그램인 호라이즌 유럽(Horizon Europe), 그중에서 서로 다른 베이스를 가진 연구자들이 함께 연구하며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도출하길 기대하는 프로젝트 ERC(European Research Council) 시너지 그랜트. 이곳에 IBS 유전체 교정연...
[바이오 JOB다]는 생물학의 지평을 넓히고 있는 분들을 만나는 브만사 인터뷰의 새로운 기획입니다. 23년 Nature Microbiology 誌에는 ‘Human microbiome myths and misconceptions’란 제목의 논문이 게재됐다. 최근 20년간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잘못...
‘우리가 게놈을 발견하기 전에는 모든 세포의 중심에 그 내용을 전혀 알 수 없는 30억 개의 문자로 된 문서가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이제 그 책의 일부를 읽게 됨으로써 우리는 새로운 무수한 의문들을 가지게 되었다’ (생명의 설계도 게놈 中, 매트 리들리 저)...
유럽연합(EU)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C3S)가 올 6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6월부터 지난달인 5월까지 지구는 12개월 연속 역대 가장 더운 달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고 한다. 세계기상기구(WMO), UN 등의 국제기구의 기후 경고도 계속 이어진다. 지구 온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