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Lab
POSTECH 의과학전공/생명과학과 신경면역학 및 뇌신경장벽 연구실 Neuroimmunology and CNS barriers Lab
김종신 교수
연구실 소개
연구실 홈페이지*중추신경계를 보호하고 감시하는 면역 및 혈관 시스템의 작동 기전 규명 및 조절 지식 확보*
POSTECH 신경면역학 및 뇌신경장벽 연구실은 2022년 가을 문을 열었습니다. 본 연구실은 중추신경계의 발달, 항상성, 병리, 노화에서 중추신경계 (뇌, 망막) 및 그 경계조직 (뇌수막, 맥락막총, 맥락막, 혈뇌/망막장벽) 내 존재하는 면역 및 혈관세포의 역할 및 신경계와의 상호작용을 연구함으로써 중추신경계 고유의 신경-면역-혈관 네트워크 (Neuro-Immuno-Vascular Interactome)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중추신경계 면역 및 염증 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중추신경계 (뇌, 망막) 및 그 경계조직 (뇌수막, 맥락막총, 맥락막, 혈뇌/망막장벽 등)
김종신 (Kim, Jongshin), MD, PhD
Assistant Professor - 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Program, Department of IT Engineering, Department of Life Sciences, POSTECH, Korea
Employment
2022 - current Assistant Professor, 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program, Department of IT Engineering, Department of Life Sciences, POSTECH, Korea
2019 - 2022 Postdoctoral Associate, Department of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s,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 St. Louis, US
2017 - 2019 Clinical Fellow, Vitreoretinal Surgery, Department of Ophthalm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Korea
2015 – 2017 Research Fellow, Center for Vascular Biology, Institute for Basic Science (IBS), Korea
2007 – 2011 Resident, Department of Ophthalm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Korea
2006 – 2007 Inter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Korea
Education
2011 - 2015 Ph.D. in Cell Biology, Graduate School of 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KAIST, Korea
2002 - 2006 M.D.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00 - 2002 Pre-Med College of Natur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연구분야
그 동안 중추신경계는 면역계와 완전히 분리된 면역특권 (immune privilege) 장기로 알려져 왔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뇌는 뇌수막, 맥락막총, 혈관주위공간 등 주변 경계 조직 내 존재하는 중추신경계 고유의 면역시스템에 의해 상시 모니터링 되고 있고, 뇌를 순환하는 뇌척수액 등 노폐물은 뇌수막 내 림프관을 통해 경부 림프절로 배출됩니다. 이처럼 신경계와 면역계는 물리적으로 그리고 생물학적으로 긴밀하게 상호작용하고 있고 이는 중추신경계의 발달, 항상성 유지, 병리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중추신경계 주변 면역 니쉬. (A) 뇌수막/두개골, (B) 맥락막총, (C) 뇌척수액, (D) 면역세포
본 연구실은 뇌와 망막 등 중추신경계의 정상, 발달, 염증, 감염 등에서 면역 및 혈관 시스템의 역할 그리고 신경계와의 상호작용을 연구합니다. 주요 연구 기법으로 최신 유전자변형마우스, 고해상도 현미경, 유세포분석, 다중 오믹스분석 등을 이용합니다.
우리 연구실이 풀고자 하는 핵심 질문은 1) 중추신경계 면역관용 및 특권의 세포 분자 기전은 무엇인가? 2) 중추신경계 염증 및 감염에서 면역 및 혈관 시스템의 역할 및 신경과의 상호작용은 무엇인가? 3) 중추신경계 항상성 및 염증에서 중추신경계 주변 면역 니쉬의 기능과 역할은 무엇인가? 입니다.
중추신경계 염증 병리에서 면역 및 혈관 시스템의 역할 연구
현재 진행 중인 연구로는 1) Hippo/MST 신호전달에 의한 망막 미세아교세포 활성 조절 및 안 염증 제어 기전 연구, 2) 포도막염에서 안구 내 조직 상재 대식세포와 단핵구 유래 대식세포 간 표현형, 기능, 운명 비교 연구, 3) 안구 내 Lyve1hi 경계연관 대식세포의 기원 및 특성 규명 연구, 4) 각막 내 조직 상재 면역세포와 각막 신경과의 상호작용 연구 등이 있고 유수의 국제 및 국내 기관과의 교류와 협력을 통해 신경면역학, 혈관생물학 관련 연구 주제를 열심히 발굴해 나가고 있습니다.
신경면역학 및 뇌신경장벽 연구실 핵심 질문 및 주요 연구 기법
연구성과
2015~ 현재까지
in reverse chronological order; first author(*), corresponding author(†)
Cook ME*, Bradstreet TA, Webber AM, Kim J, Santeford A, ..., Edelson BT†. The ZFP36 family of RNA-binding proteins regulates homeostatic and autoreactive T cell responses. Sci Immunol. 2022 Oct 28;7(76):eabo0981.
Kim J*, Jung S*, Park KH, Woo SJ†, Jung C†. Cerebral angiographic features of central retinal artery occlusion patients treated with intra-arterial thrombolysis. J Neurointerv Surg. 2022;14(8):772-778.
Kim J*, Park KH†. Temporal changes of parafoveal microvasculature after epiretinal membrane surgery: a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study. Retina. 2021;41(9):1839-1850.
Kim J*, Byun SJ*, Woo SJ, Park KH, Park SJ†. Assessment of trends in the incidence rates of central retinal artery occlusion in Korea from 2002 to 2015. JAMA Ophthalmol. 2021;139(4):399-405.
Kim J*, Kim YH*, Kim J, Park DY, Bae H, ..., Lim DS†, Koh GY†. YAP/TAZ regulates sprouting angiogenesis and vascular barrier maturation. J Clin Invest. 2017;127(9):3441-3461.
[Recommended in ‘Faculty Opinions(F1000Prime)’ as being of special significance in its field & Selected for BRIC Top5 Research in Medical Science in 2017]
Kim MH*, Kim J, Hong H, Lee SH, Lee JK, ..., Kim J†. Actin remodeling confers BRAF inhibitor resistance to melanoma cells through YAP/TAZ activation. EMBO J. 2016;35(5):462-478.
Hong H*, Kim J, Kim J†. Myosin heavy chain 10 (MYH10) is required for centriole migration during the biogenesis of primary cilia.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15;461(1):180-185.
Kim J*, Jo H, Hong H, Kim MH, Kim JM, ..., Kim J†. Actin remodelling factors control ciliogenesis by regulating YAP/TAZ activity and vesicle trafficking. Nat Commun. 2015;6:6781.
연구실 구성원
지도교수 : 김종신
(2023년 현재)
Graduate Student : 이재, 윤수현, 백지민
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Internship: 조유경, 조예린, 이경택
Contact : jskim81@postech.ac.kr
Homepage : https://neuroimm.postech.ac.kr
하고싶은 이야기
본 정보는 해당 기관에서 제공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된 내용으로, BRIC에서 자체 생산한 정보가 아님을 밝혀드립니다.
소개된 내용에서 중요하게 판단되는 부분은 해당 기관에 추가적으로 사실 확인 작업을 하시길 부탁드립니다.
내용의 업데이트 또는 변경을 원하시면 관리자(interview@ibric.org)에게 연락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