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연 교수
We study how cells manage lipid storage, mobilization, and distribution for cellular metabolism in both health and disease, with a particular focus on how brain cells utilize neutral lipids to support neuronal functions.
2025.01.13
윤제현 교수
Lab of RNA Metabolism의 큰 연구 주제는 "RNP 코드", 즉 coding RNA 및 noncoding RNA에 결합하는 RNA-binding protein의 composition/function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저희는 리보핵단백질(RNP) particle의 assembly, composition 및 function, ubiquitin-mediated 단백질 분해, glucose metabolism에서 long noncoding RNA의 역할, 세포 내 lncRNA localization를 결정하는 mechanisms 을 연구해 왔습니다. 그리고RNA-containing functional complex 를 assembly 하는 규칙, RNP를 조절하는 신호전달 pathway, gene expression regulation에 대한 특정 RBP 및 noncoding RNA의 역할을 탐구하는 데 관심이 있습니다. 특히 proliferation, survival, senescence, aging, cancer 와 같은 aging-associated human disease 에서 RNP의 기능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2025.01.06
김정 교수
The Jung Kim lab focuses on this fundamental question, "How do tumors actually kill their hosts?". Using simple and powerful Drosophila cancer models,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tumor-induced systemic stress on host morbidity and mortality.
2024.12.30
김호성 교수
The Neuroimaging and Deep Learning Lab (NIDLL) is dedicated to advancing research in neuroimaging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oor sleep quality and faster brain aging in adults. Our primary goal is to predict long-term outcomes for neurodegenerative disorders. Using multi-contrast MRI data collected over time, we analyze and quantify brain structural and functional variability.
2024.12.16
최승원 교수
Ascending somatosensory circuitry that shapes the perception of touch and pain. We study the development, function and dysfunction of ascending somatosensory pathways
2024.12.09
이경태 교수
전북대학교 진균시스템생물학 연구실은 곰팡이, 효모 형태 등을 나타내는 진균 병원체의 유전학적 통찰력을 바탕으로 숙주-병원체 상호 작용의 원리를 이해함으로써 진균 병원체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을 발견하는 연구를 진행합니다.
2024.12.02
이주영 교수
본 실험실에서는 선천면역을 연구하여 우리 몸의 생체 방어 및 염증 조절 기전을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박테리아, 바이러스 감염을 처음으로 인식하는 패턴 인식 수용체의 활성화 기전, 조절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며, 관련된 대표적인 Toll-like receptor는 2011년노벨상 수상의 대상 연구이기도 하며,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주제이기도 합니다.
2024.11.25
박승열 교수
우리 연구실은 세포에서 가장 복잡하고 미스테리한 소기관인 골지체(Golgi Complex)의 다이나믹스와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암, 노화, 신경질환을 이해하고자 합니다. 또한 단백질의 PTM(Glycosylation)을 이용하여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2024.11.18
김경화 교수
The Kyung lab is interested in how metabolism regulate mammalian aging and longevity at the organismal level. They have a strong interest in developing novel molecules that may slow or even reverse main aspects of aging as well as prevent or treat a wide array of age-related diseases. The lab employs both wet molecular techniques and dry computational approaches to understand mechanistic insight for biological processes to extend healthspan.
2024.11.04
문민호 교수
본 연구실은 (1)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타깃을 찾고, (2) 이를 조절하는 다양한 치료 물질 및 방법을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치매과학연구소 및 알츠하이머병 비임상 효능시험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연구소, 기관 및 제약/바이오 회사와 협업을 하며 알츠하이머병의 치료제 및 진단방법을 개발하며, 매년 5~10편의 논문을 출판하고 있습니다.
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