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뉴스
-
뉴스
-
연재
-
연재 [해외 연구실 실전편] 23. 본업이 의사인 연구실 동료들 – 아플 때도 연구할 때도 찾아오렴!
벨기에의 학위 과정에서 미국과 가장 큰 차이를 대 보라고 하면 ‘Combined MD-PhD degree program’이 없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의사 자격시험을 통과한 뒤 의대를 졸업한 경우, 벨기에에서 박사를 하고자 한다면 일반 대학에서 석사를 졸업한 사람과 동일하게 박사과정에 지원해야 한다. 박사 과정을 시작하게 되면 일반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연구실에서 프로젝트를 배정받아 풀타임으로 근무하게 된다. 대부분의 의사 출신 동료들은 1년간의 인턴 수련을 마친 뒤 박사과정을 시작하는데, 전문과에 따라 최소 3년에서 최대 6년간 진행하는 레지던트 수련은 박사과정 이후로 미뤄두게 된다. 영롱한 빨간 맛이 딸기 사탕 맛이 아니었을 때 – 해외 연구실 실전편
-
연구성과
-
연구성과 세포 하나 늙었을 뿐인데, 왜 몸 전체가 늙을까? 혈액 내 HMGB1 단백질을 통해 노화가 전이된다
국내 연구진이 노화된 세포가 몸 전체로 전이되는 이유를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또한, 이 과정을 막을 수 있는 새로운 제어 전략도 함께 제시해 주목받고 있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융합의학교실 전옥희 교수 연구팀은 ‘HMGB1(High Mobility Group Box 1)’ 단백질이 세포 노화를 전신으로 확산하는데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Bio통신원 | Metabolism-Clinical and Experimen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