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뉴스
-
뉴스
-
연재
-
연재 [연구의 고비, 심리적 슬럼프를 이겨내는 법] 3. 반복적인 실패로 인한 좌절감
석사과정을 시작하고 처음으로 나만의 주제를 가지고 실험을 시작했을 때의 일이다. 가장 먼저 수행해야 했던 실험은, 이미 여러 논문에서 효과가 검증된 약물을 사용해 특정 반응을 유도하는 매우 단순한 것이었다. 간단한 실험이었기 때문에 한 번에 성공할 줄 알았지만 이상하게 예상했던 결과가 계속 나오지 않았다. 주말까지 연구실에 나와 실험을 반복했지만 기대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간단한 실험조차 해내지 못하는 상황에 스스로에 대한 의심이 꼬리를 물었고, 그때 느꼈던 무력감은 지금도 선명하다. 연구의 고비, 심리적 슬럼프를 이겨내는 법 -
연재 [교수 재직 중 결혼과 출산, 육아를 경험한 여성 과학자의 진로] 나만 분홍색
퇴근 직전, 스마트폰 알람이 울렸다. 유치원 소식을 전달받는 애플리케이션인 ‘토모링’의 알림이었다. 앱에 접속해 사진첩을 열자, 오늘 있었던 체험활동 단체 사진이 올라와 있었다. 사진 속, 파란색 옷을 입은 아이들 사이로 유독 눈에 띄는 분홍색 옷의 여자아이가 있었다. 내 딸이었다. 체험학습이 있는 날엔 유치원에서 제공한 원복을 입는다. 하늘색 반팔 티셔츠에 진한 파란색 반바지가 기본이다. 대부분의 아이가 편안한 원복을 입고 운동화를 신고 있었는데, 우리 딸만 분홍 원피스에 반짝이는 은색 구두를 신고 있었다. 교수 재직 중 결혼과 출산, 육아를 경험한 여성 과학자의 진로 -
연재 [나의 실험실 이야기 시즌 2] 대학원보다는 회사가 편하던데요
2025년 6월 29일, tvN이라는 방송국에서 제작 방송하던 드라마 "미지의 서울"이 드디어 12화 최종화를 방영했습니다. 해외에 살다 보면 해외 방송만 볼 것 같지만 의외로 한국 방송을 신경 써서 보게 됩니다. 일종의 한국어 연습 시간입니다. 고국의 방송을 챙겨 보지 않게 되면, 예전 표현만 구사하게 될 수도 있고, 새로운 언어 형태와 습관, 그리고 문화에 계속해서 노출되는 것이 가끔씩 필요합니다. 또한 저처럼 오랜 시간 동안 한국을 방문하지 않는 사람들은 이런 연습을 통해서 익숙해지는 연습을 게을리하면, 나중에 한국을 방문하게 될 때, 낯선 분위기에 휩싸일 수 있습니다. 아무튼, 오늘의 제목은 드라마 배역, '김태이'(홍성원 배우)라는 사람이 한 말입니다. 극 중 '유미래'(박보영 배우)가 김태이에게 질문합니다, 나의 실험실 이야기 시즌 2
-
-
연구성과
-
연구성과 미생물 안전균주로 고효율 루테인 대량 생산 가능
노안 및 백내장 예방에 효과가 있는 대표적인 눈 건강 기능성 성분 ‘루테인’을 KAIST 연구진이 2022년 전자 채널링 기술을 적용한 대장균을 통해 세계 최초로 생산하는 데 성공한 바 있다. 이후 연구진은 기존 기술이 가진 대장균의 내독소(endotoxin) 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대량 생산이 가능한 미생물 대사공학 기반의 친환경적이고 고효율적인 루테인 생산 플랫폼을 새롭게 개발하여 실용성과 안전성 모두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데 성공했다. 향후, (주)실리코바이오(이상엽 특훈교수 교원창업기업)을 통해 기술사업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Bio통신원 | Nature Synthesis -
연구성과 포자생성 토종 프로바이오틱스의 mGWAS 기반 질소산화물(NO) 대사 경로조절을 통한 항노화 및 인지기능 개선 작용기전 규명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김영훈 교수 연구팀은 6월 12일 장내미생물 유래 질소산화물 (Nitric oxide, NO) 대사가 숙주의 노화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미생물 유전자 수준에서 규명한 연구 결과를 국제 저명 학술지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Impact Factor=12.2, Environmental sciences 분야 Q1) 에 발표했다. Bio통신원 |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