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C

검색 닫기

Bio뉴스

한빛사

웨비나 참가신청

학술웨비나 Multi-omics 데이터 통합 분석을 통한 개의 후성유전체 지도 구축 [Sci. Adv.] 개는 인간의 첫 번째 가축 동물이자 가장 친근한 동반자입니다. 개의 짧은 진화 역사를 바탕으로 형성된 다양한 품종은 생물학적으로 복잡한 형태 및 행동학적 특성과 유전성 질환, 심지어 암과 같은 질병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개의 유전체 및 후성유전체를 완벽히 이해하는 것은 동물과 인간 모두를 위한 의생명 분야 발전에 매우 중요합니다. 최근 활발히 진행 중인 개 유전체 프로젝트 덕분에 고품질 유전체 참조서열이 생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후성유전체 자원 부족으로 개의 유전체 내 기능적 요소들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합니다. 우리 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의 주요 11개 조직에 대해 다양한 후성유전체 데이터의 생산 및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세계 최초로 개의 유전체에 대한 종합적인 기능 지도를 완성하였습니다. 이 지도는 유전체의 조절 코드 해석을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 세포 및 조직 특이성, 질병 발생 등에 어떻게 관여되어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인간과 동물의 건강 및 복잡한 질병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합니다.
  • 2023년 10월 12일 (목) 오후 02시
  • 손근홍 (서울대학교)
참가신청
기업웨비나 AAV 유전자 치료제 개발 전략-VectorBuilder의 AAV 토탈 솔루션 [VectorBuilder] AAV 기반 유전자 치료제 개발의 글로벌 현황을 요약하고, gene delivery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CRO+CDMO의 관점에서 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합니다. VectorBuilder가 어떻게 연구자들의 리스크를 감소시키고 AAV 치료제 파이프라인 개발을 가속화시킬 수 있는지 소개합니다. 1) AAV 벡터를 이용한 R&D 및 신약 개발을 위한 비용-효율적인 제품 2) Capsid evolution, biodistribution analysis 등 프로젝트에 따라 최적화된 CRO 서비스 3) AAV 벡터 공정개발 및 GMP 생산을 위한 CDMO 플랫폼 최근 몇 년 동안 CGT(Cell and Gene Therapy)가 치료법이 제한적이거나 불가능한 희귀 질환 및 암과 같은 많은 적응증을 다룰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고 승인되었습니다. AAV는 유전자 전달 측면에서 운송 수단으로 바람직한 후보입니다. 개량된AAV 벡터는 면역원성이 낮고 유전자 통합 가능성이 최소화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 입자인 AAV 벡터는 소분자, 항체 등 기존 약물에 비해 제조 과정이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수율도 낮습니다. 게다가 많은 연구자들이 AAV serotype의 capsid를 진화시키고 추가로 개량하여 타겟 세포와 조직에 매우 특이적인 유전자 전달을 달성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 2023년 10월 18일 (수) 오후 02시
  • Hoi Lok Cheng (VectorBuilder Inc.)
참가신청
학술웨비나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선천 면역계와 조혈 줄기세포의 후성유전학적기억 염증은 면역 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세포에서 지속적인 변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증 코로나19에 의해 유발된 전신성 염증이 조혈 줄기세포에 선천성 면역 기억을 유발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말초 혈액에서 얻은 조혈 줄기세포 및 전구 세포가 골수에서 관찰되는 다양성을 포착하였고, 코로나19 이후 발생할 수 있는 후성유전체의 변화를 조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조혈줄기세포와 선천면역세포에서 관찰된 후성유전학적 변화는 중증 코로나19에서 회복된 이후 수개월에서 1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전사인자의 활동과, 염증관련 유전자의 전사 조절 변화, 그리고 골수성 세포의 지속적인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조혈줄기세포에서 관찰된 후성유전체 변화는 분화를 통해 선천 면역 세포로 전달되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시 IL-6에 대한 초기 노출은 코로나19와 쥐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모델에서 이러한 지속적 표현형에 기여했습니다. 조혈줄기세포의 후성유전학적 변화는 감염 후 면역 기능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수백만 명의 코로나19 생존자에게 광범위하게 관련될 수 있습니다. , ,
  • 2023년 10월 20일 (금) 오전 11시
  • 정진규 (Weill Cornell Medicine)
참가신청
학술웨비나 Pillar/Perfusion Plate를 이용한 다이나믹 오가노이드 배양 및 테스트 [Adv. Healthc. Mater.] 오가노이드는 인체내 장기 세포나 구조를 모사할 수 있기 때문에 질병 모델로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신약 개발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혁신적이고 계속해서 발전되고 있는 오가노이드도 여러 가지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서 아직까지 신약 개발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오가노이드는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되기 때문에 배양 시간이 길고 복잡하며, 비교적 크기가 커서 배양중 세포의 괴사가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오가노이드를 대량 생산하거나 약물 테스트에 필요한 반복 재현성 있는 실험 결과를 얻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오가노이드를 동물 대체 실험에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툴(tool)로 사용하기 위해서 필러/퍼퓨전 플레이트 (pillar/perfusion plate)를 개발하였다. 필러/퍼퓨전 플레이트는 기존의 미세 유체 장치 (microfluidic device)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만들어졌으며, 3D 바이오프린팅 (3D bioprinting)이나 스탬핑 (stamping) 방법을 통하여 하이드로젤 안의 세포를 필러 플레이트 (pillar plate) 위에 빠르게 올릴 수 있다. 필러 위의 줄기 세포는 정적 (static) 또는 동적 (dynamic) 방법으로 딥 웰 플레이트 (deep well plate)나 퍼퓨전 플레이트 (perfusion plate) 안에서 배양이 가능하다. 또한 필러 플레이트 위의 오가노이드 분석도 기존의 장비나 현미경을 통하여 가능하기 때문에, 쉽게 오가노이드를 배양해서 실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표에서는 필러/퍼퓨전 플레이트가 가지고 있는 유니크한 특징과, 간 및 소장 오가노이드 배양 결과에 대해서 소개를 하고자 한다.
  • 2023년 10월 30일 (월) 오전 11시
  • 이무열 (University of North Texas)
참가신청

최신 웨비나

Bio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