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뉴스
-
뉴스
-
연재
-
연재 [혼자 떠난 해외 포닥, 한국인은 나뿐이라고?] (3) D-6개월, 출국 준비 시작
비행기만큼 급한 것은 환전이었다. 비행기 티켓이야 그렇다 쳐도, 환전은 타이밍 잘 봐서 빨리해 두어야 아파트 계약할 때라도 쓸 수 있을 테니까 말이다. 캘리포니아에서 1년간 살다 온 선배로부터 조언을 들었다. 자기는 미국 내 신분 증빙 수단이나 신용이 없어서 1년 치 rent 비를 다 내야 했다며, 달러를 많이 준비해 가라고 알려주셨다. 그렇게 갑자기 그렇게 당장이라도 환전을 해야 할 것 같았고, 있는 돈 없는 돈 끌어모아 환전을 준비했다. 근데 경험이 없다 보니 여기서 우여곡절이 참 많았다. 혼자 떠난 해외 포닥, 한국인은 나뿐이라고? -
연재 [포닥의 삶] 미국 대학에 있는 신기한 로테이션 시스템
안녕하세요 김포닥파닥입니다. 오늘은 제가 속해 있는 미국의 한 대학 학부에 있는 특이한 시스템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저는 새로 부임한 교수님의 연구실에 2번째로 합류한 포닥입니다. 저희 연구실에는 당시에 교수, 2명의 포닥, 이렇게 총 3명밖에 없는 소규모의 랩이었습니다. 초반에 아무것도 없는 실험실을 세팅하기위해서 저희 3명은 아주 많은 고생을 하였습니다. 그렇게 조금씩 연구실이 안정이 되던 참에 어느 날 PI는 제게 새로운 미션을 주었습니다. 포닥의 삶 – 진로 선택, 연구 주제 선정, 전반적인 생활 및 고민
-
연구성과
-
연구성과 국내 최초 블루투스 기반 인체이식형 전자약 통신 기술 개발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임춘택 교수 연구팀이 오션스바이오㈜와 공동으로 인체이식형 의료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기반의 동적 빔포밍 안테나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Bio통신원 |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Informatics -
연구성과 운동이 분비시키는 단백질, 노화로 약해진 근육과 뼈 되살린다
“운동이 건강에 좋다”는 말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우리 몸에 무엇이 어떻게 좋은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노화융합연구단 양용열 박사 연구팀과 전남대학교 김낙성 교수 연구팀은 운동의 효과를 뒷받침하는 특별한 단백질인 CLCF1(cardiotrophin-like cytokine factor 1)을 발견하였으며, 이 단백질이 운동 중에 근육에서 분비되어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만들어 근골격 노화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Bio통신원 | Nature Communicatio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