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HMGCR (HMG CoA 환원효소)는 콜레스테롤을 체내에서 합성합니다. 매일 전세계에서 2억명 이상이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기 위해 복용하는 스타틴 (Statin)은 바로 HMGCR의 기능을 억제하는 약들을 일컫는 말입니다. 스타틴 영향 아래에서 이 효소 기능은 억제되지만 단백질은 오히려 안정화되고 세포에 쌓이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것은 스타틴 약물에 대한 저항이라기보다는, 콜레스테롤이 줄어든 상황을 세포가 만회하려는 피드백 반응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HMGCR 은 유전자 발현, 단백질 합성, 안정성 등 여러 단계에서 피드백 조절을 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스타틴을 오랫동안 복용하면, 세포 안에 쌓여가는 HMGCR로 인해 기존의 스타틴 복용량으로 더 이상 억제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용량을 무작정 늘리는 것은, 특히 지용성 스타틴의 경우, 근육독성 (Myopathy)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 연구는 리보세라닙 (Rivoceranib)이 스타틴을 보조하는 약물(Statin adjuvant)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UBIAD1은 비타민 K2를 만드는 효소로, 세포 안에서 소포체와 골지체 사이를 오가며 HMGCR의 안정성을 조절합니다. 리보세라닙은 UBIAD1과 직접 결합하여 UBIAD1의 위치를 소포체에서 골지체로 옮겨줍니다. UBIAD1과 분리되어 소포체에 남은 HMGCR은 비로소 온전한 분해과정을 겪게 됩니다. 이 결과는 리보세라닙이 스타틴과 함께 사용될 때 콜레스테롤을 더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또한, UBIAD1을 표적으로 한 약물들이 콜레스테롤을 낮출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시사합니다.
슈나이더 각막이영양증 (SCD, Schnyder Corneal Dystrophy)은 UBIAD1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겨 각막에 콜레스테롤이 축적되고 시력이 손상되는 희귀 유전 질환입니다. 지금까지 26개의 돌연변이들이 보고되었는데 이들의 공통점은 이 돌연변이들이 소포체와 골지체를 오가는 대신 소포체에만 위치해 HMGCR를 분해과정을 억제한다는 점입니다. 이로 인해 과도하게 축적된 HMGCR은 각막의 콜레스테롤 합성을 증가시켜 슈나이더 각막병변을 일으키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는 리보세라닙이 UBIAD1 돌연변이들의 세포내 위치를 소포체에서 골지체로 회복시키는 기전으로 콜레스테롤을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습니다. 즉, 슈나이더 각막이영양증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치료 전략을 제시합니다.
현재 리보세라닙은 암 주변의 혈관 신생을 억제하는 항암제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연구는 여기에 더해, 리보세라닙이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는 새로운 기능이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면 암 성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결과는 스타틴 연구를 통해 뒷받침되어 왔습니다. 실제로, 여러 대규모 메타분석에 따르면 스타틴은 간암의 발생 위험과 암 사망률을 줄이고, 전립선암, 삼중음성 유방암 등의 진행을 늦추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따라서 리보세라닙이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여 항암 기능에 일부 기여할 수 있다는 점도 암시합니다.
HMGCR (HMG-CoA reductase) is the enzyme responsible for cholesterol synthesis in the body. Statins, which are taken daily by over 200 million people worldwide to lower blood cholesterol levels, work by inhibiting the function of HMGCR. While statins effectively suppress the enzymatic activity of HMGCR, they paradoxically stabilize the HMGCR protein itself, leading to its accumulation within cells. This phenomenon is not a sign of drug resistance, but rather a feedback response by the cell attempting to compensate for reduced cholesterol levels. Indeed, HMGCR is regulated at multiple levels—including transcription, translation, and protein stability—through multivalent feedback mechanisms. As a result, with long-term statin use, the increasing intracellular accumulation of HMGCR may eventually reduce the drug’s efficacy at conventional doses. However, simply increasing the statin dosage-especially for lipophilic statins like simvastatin and atorvastatin—can lead to adverse effects such as statin-induced myopathy.
This study proposes that rivoceranib may serve as a statin adjuvant, enhancing the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statins. UBIAD1 is a vitamin K2 biosynthetic enzyme that shuttles between the endoplasmic reticulum (ER) and the Golgi apparatus, where it modulates the stability of HMGCR. Rivoceranib directly binds to UBIAD1 and promotes its translocation from the ER to the Golgi. Consequently, HMGCR that is separated from UBIAD1 and retained in the ER is subjected to full proteasomal degrad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ivoceranib, when combined with statins, may more effectively reduce cholesterol levels. Furthermore, this study indicates that UBIAD1-targeting drugs could provide a novel therapeutic strategy for lowering cholesterol.
Schnyder corneal dystrophy (SCD) is a rare genetic disorder caused by mutations in the UBIAD1 gene, which lead to cholesterol accumulation in the cornea and progressive vision loss. To date, 26 pathogeni UBIAD1 mutations have been reported. A shared feature among these variants is that they are retained in the ER rather than shuttling between the ER and Golgi, thereby inhibiting the degradation of HMGCR. As a result, HMGCR becomes excessively stabilized, promoting aberrant cholesterol synthesis in the cornea and contributing to SCD pathology.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at rivoceranib can normalize the intracellular localization of mutant UBIAD1 proteins, restoring their trafficking to the Golgi and reducing cholesterol accumulation. Thus, rivoceranib offers a potential therapeutic strategy that addresses the underlying molecular defect of SCD.
Currently, rivoceranib is known as an anti-cancer agent that inhibits VEGFR2 expressed in tumor-associated endothelial cells, thereby suppressing angiogenesis. This study reveals an additional function of rivoceranib—namely, its ability to enhance ER-associated degradation (ERAD) of HMGCR via UBIAD1, leading to decreased cholesterol synthesis. Notably, cholesterol biosynthesis inhibition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 mechanism of cancer suppression, supported by statin research. Several large-scale meta-analyses have shown that statin use significantly reduces the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 cancer-specific mortality, and disease progression in prostate cancer and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herefore, our findings also suggest that rivoceranib may partly exert its anti-tumor effects by modulating cholesterol metabolism.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UT Southwestern Medical Center에는 6명의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외에도 26명의 미국 국립 과학원 회원, 24명의 미국 국립의학원 회원과 14명의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HHMI) 연구원이 있는 세계적인 연구 기관입니다. 그 중에서도 제가 15년간 몸담았던 Molecular Genetics Department 계신 Micheal S. Brown 과 Joseph L. Goldstein 박사님들의 연구는 콜레스테롤 분야에 큰 획을 그은 성과로 회자됩니다. 1970년대부터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의 원인이 LDL 수용체 이상에 있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 콜레스테롤 연구의 본격적인 서막을 열게 되었습니다. 이 이후의 연구는 콜레스테롤 항상성을 조절하는 유전자들에게 초점이 맞춰지고 INSIG, SCAP, SREBP와 같은 획기적인 유전자들의 발견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분들은 1972부터 콜레스테롤 공동 연구를 시작해서 1985년 40대 중반의 나이에 노벨 생리 의학상을 공동 수상한 이후에도 지금까지 50년이 넘게 이 분야에 많은 이정표를 남긴 분들입니다. 저는 1995년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이라는 교과서로 생화학을 배우면서 이분들의 연구를 처음 접했습니다. LDL (Low Density Lipoprotein)이 그려져 있는 칠판 앞에서 악수하며 찍은 사진은 노벨상 수상 소식을 갑작스럽게 접하고 찍은 사진으로 이분들의 평생의 공동연구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DNA 구조를 밝혀낸 왓슨과 크릭 박사님들이 2년 남짓 공동연구 후 결별한 것을 감안하면 두 과학자가 노벨상 수상 이후로도 변함없이 53년 이상 공동 연구하는 모습은 과학계에서는 보기 드문 파트너십을 보여줍니다.
UT Southwestern Medical Center is a world-renowned research institution, home to six Nobel Laureates in Physiology or Medicine, 25 member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NAS), 24 members of the National Academy of Medicine (NAM), and 14 investigators of the 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HHMI).
Among its many distinguished scientists, I had the privilege of working for 15 years in the Department of Molecular Genetics, where Drs. Michael S. Brown and Joseph L. Goldstein have made historic contributions to the field of cholesterol metabolism. Their pioneering work is widely regarded as a cornerstone in cholesterol research.
In the 1970s, they discovered that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FH) is caused by defects in the LDL receptor, a finding that marked the beginning of a new era in cholesterol biology. Their subsequent research shifted attention toward the genetic regulation of cholesterol homeostasis, leading to the discovery of groundbreaking molecular regulators such as INSIG, SCAP, and SREBP.
Since initiating their collaboration in 1972, Brown and Goldstein have shared a remarkable scientific journey. In 1985, at the age of just over 40, they were jointly awarded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More remarkably, their partnership has endured for over five decades, producing milestone discoveries that continue to shape the field today.
I first encountered their research in 1995 while studying from the textbook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A photograph of the two scientists shaking hands in front of a chalkboard drawing of LDL (Low-Density Lipoprotein)—taken at the moment they received the surprise announcement of their Nobel Prize—has since become a symbol of their lifelong collaboration.
In contrast to Drs. James Watson and Francis Crick—who famously ended their scientific partnership within two years of discovering the DNA double helix—Brown and Goldstein's 53-year collaboration stands as an extraordinary example of enduring scientific partnership, rarely seen in the history of modern science.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2009년 UT Southwestern Medical Center에 박사후 과정으로 연구를 시작했을 때 처음 시작했던 일은 초파리 유전체 RNAi library를 이용해 유전자 기능을 찾아내는 고속 대량 스크리닝 (HTS, High Throughput Screening)이었습니다. HMG CoA Reductase (HMGCR) 단백질 안정성을 조절하는 유전자를 찾는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기대감에 부풀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초파리에서 유전자들을 찾아낸 후 이에 상응하는 인간의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실험하면서 그 기대감은 오래가지 않았습니다. 초파리 세포에서는 어느 정도 유의미했던 유전자들이 사람의 세포에서는 기대했던 역할을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건질게 하나 없었던 낭비에 가까운 결과였습니다. 악재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HMGCR 단백질의 ERAD 를 유도하는 물질을 찾고자 약물 스크리닝을 준비하던 중 내 의지와 상관없이 프로젝트를 접어야 하는 일이 발생하였습니다. PCSK9을 이용한 획기적인 콜레스테롤 치료제가 나왔으니 당분간 이 일을 진행시키는 것이 무의미하다고 판단한 것이었습니다. 박사후 과정 중반까지 어떤 의미있는 연구 결과없이 원투 펀치를 맞고나니 큰 좌절이 밀려왔습니다.
어느날, 지도 교수님으로부터 연구비를 올해까지 다 사용해야하니 주문할 것 있으면 미리 주문하라는 통보를 받게 되었습니다. 이 시기에 저는 슈나이더 각막이영양증을 일으키는 UBIAD1 돌연변이들을 분석하던 중 약물을 가지고 다시 스크리닝을 해봐야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왜냐하면 이 질병의 원인이 하나의 주요 현상으로 귀결되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이 돌연변이들의 위치를 소포체에서 골지체로 옮길 수 있다면 이 질병은 해결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하지만 약물이 어떻게 돌연변이 단백질의 세포 내 행동을 교정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있었습니다. 지도교수님 역시 유전자 치료가 아닌 약물로 돌연변이 단백질의 기능을 정상화하려는 아이디어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셨습니다. 고민 끝에 이번엔 건초더미에서 바늘 찾는 식의 HTS 스크리닝 대신 FDA를 통해 안정성이 확보된 약물들을 재목적화하는 전략 (Drug Repurposing)을 택했습니다. 의구심 속에서 진행한 실험에서 놀랍게도 몇 개의 기존 약물들이 돌연변이의 행동을 완전하게 교정하는 결과를 얻게 되면서 연구는 탄력을 얻게 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리보세라닙은 탁월한 안전성과 효능을 보였습니다. 결과를 보여준 다음날 아침 지도교수님이 저를 찾아와 어제 밤에 그 결과 이미지를 보고 흥분이 되어 잠이 오지 않았다며 이 프로젝트에 신뢰를 보여 주었고 지원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찾아낸 약물들을 특허 출원한 이후 이번에 PNAS에 논문을 발표하기까지 “찾으면 찾아지더라”는 확신 하나를 배웠습니다. 무엇보다 시작보다 끝이 좋아 감사했습니다.
When I began my postdoctoral research at UT Southwestern Medical Center in 2009, my very first project involved high-throughput screening (HTS) using a Drosophila genome-wide RNAi library to identify genes regulating protein function. I was particularly excited to search for genes that regulate the stability of HMG-CoA reductase (HMGCR), a central enzyme in cholesterol biosynthesis. However, the excitement was short-lived. After identifying promising candidate genes in Drosophila cells, I cloned their human orthologs for validation studies in mammalian systems-but most of them failed to show the expected functional effects. It was not just a mild setback. It felt like a complete waste of time and resources. Unfortunately, the challenges didn’t end there. As I prepared to conduct a second screening—this time to identify compounds that promote ER-associated degradation (ERAD) of HMGCR—I was unexpectedly forced to terminate the project. A new class of cholesterol-lowering drugs targeting PCSK9 had emerged, and the consensus was that further efforts in this direction were no longer relevant. By the midpoint of my postdoctoral training, I had been hit with a one-two punch, and I found myself deeply discouraged, with nothing meaningful to show for my efforts.
One day, my advisor told me that all grant funds had to be used up by the end of the year and asked if there was anything I needed to order. At that time, I had been investigating mutations in UBIAD1 associated with Schnyder Corneal Dystrophy (SCD). I began to wonder—what if I screened drugs again? Since the disease seemed to stem from a single, consistent cellular defect, I hypothesized that correcting the subcellular localization of mutant UBIAD1 from the ER to the Golgi might be a viable therapeutic strategy. But I also had doubts. Could a small molecule truly redirect the behavior of a misfolded or mislocalized mutant protein? My advisor, too, was skeptical—he wasn't enthusiastic about the idea of pharmacologically rescuing mutant proteins without using gene therapy. So this time, instead of doing another needle-in-a-haystack HTS, I adopted a drug repurposing strategy using FDA-approved compounds with known safety profiles. Surprisingly, a few of these drugs completely corrected the mislocalization of mutant UBIAD1 proteins. I still remember the moment I saw the images—it was unexpected and astonishing. The next morning, my advisor came to see me and said he couldn’t sleep after seeing the results the night before. That was the turning point. He threw his full support behind the project. We eventually filed patents for the compounds we discovered, and this year, our findings were published in PNAS. Through this journey, I’ve come to believe one thing: “If you keep searching, you will find.” And most of all, I’m grateful that the end turned out better than the beginning.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대학원생으로 있었을 때 지금은 작고하신 고(故) 윤지원 박사님의 강의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윤박사님은 1형 당뇨병의 바이러스·자가면역 분야에 세계적인 석학이셨습니다. 석학이면서 동시에 목회자이셨던 그 분의 삶에 사람들은 매료되었습니다. 그 분이 강의 중 하신 말씀 중에 아직까지 뇌리에 깊이 남은 한마디가 있습니다. “여기서 질문을 잘 해야 합니다.“라는 말입니다. 질문을 잘못하면 부지불식간에 연구가 엉뚱한 방향으로 흘러가 버리기 십상이기에 침착하게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이었을 것입니다. 질문에도 순서와 비중이 있다는 상식이 뇌리에서 새롭게 경험되는 순간이었습니다. 지금 이 질문이 적절한지 그 질문을 검증하라는 조언을 그 때부터 맘속에 새겨두게 되었습니다. “화두”의 정의가 수행자가 집중해 파고드는 “물음의 핵심”이라고 하는데 연구도 삶도 화두가 이끄는 것임을 일관되게 경험했습니다. 시기 적절한 질문을 우선순위에 맞게 하는 능력을 훈련하시길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일주일마다 랩미팅을 했던 컨퍼런스 룸에 이런 문구가 적혀있습니다. “The harder I work, the luckier I get.” 열심히 일할수록 행운이 더 따른다는 말인데 매번 랩미팅을 끝나고 나갈 때마다 그 말을 마주하면서 점점 회의적인 생각이 짙어졌습니다. 나 자신을 포함하여 15년 동안 연구실을 스쳐간 많은 연구자들이 있었는데 모두 한결같이 열심히 일했지만 방법론이 잘못되어서 좋은 실적을 내지 못하는 경우를 경험했기 때문입니다. 좋은 발견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좋은 방법론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절실히 깨달았습니다. 약물 재목적화 스크리닝을 통해 새로운 발견을 경험한 후 그 문구를 제 방식으로 해석했습니다. “The harder I screen, the luckier I get.” 제가 만약 대학원생이나 포스트닥을 시작했던 시절로 다시 돌아간다면 남들이 하지 않은 질문들을 가지고 좀더 대담한 스크리닝 할 것 같습니다. 학창 시절 공부는 기존지식을 열심히 공부하는 모범생이면 되었습니다. 하지만 연구는 기존에 없던 지식을 발견하는 것이다 보니 새로운 시도를 하는 “모험생”에 가까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새로운 질문을 가지고 한번 넓게 펼쳐 보는(Screen) 모험이 있는 곳에 놀라운 발견이 기다리고 있다는 사실을 믿고 질문과 모험에 진심이시길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During my time as a graduate student, I had the privilege of attending a lecture by the late Dr. Ji-Won Yoon, a world-renowned expert in the field of viral and autoimmune mechanisms of type 1 diabetes. Not only was Dr. Yoon a distinguished scientist, but he was also a pastor, and those who met him were deeply moved by the integrity and harmony of his dual calling. Among the many memorable things he said during that lecture, there is one line that has stayed with me ever since: “You must ask the right questions here.”
I now understand that he was emphasizing how easily research can go astray when the initial question is flawed. One misstep in framing a problem can cause the entire trajectory of a project to veer off course—often without our realizing it. His words impressed upon me the critical importance of calm, thoughtful analysis before diving into experimentation. That day, I came to a new appreciation: that even questions have their own logic, hierarchy, and weight. From then on, I began internalizing his deeper message—to always examine whether the question I’m asking is truly the right one. In Zen practice, the term “hwadu” refers to a central, burning question that a practitioner meditates on with full attention. In much the same way, I’ve come to believe that both science and life are led by the questions we choose to pursue. I would encourage anyone in research to develop the ability to ask timely, prioritized questions—and never to underestimate the power of a well-framed inquiry.
On the wall of our weekly lab meeting room, there’s a quote that reads: “The harder I work, the luckier I get.” It’s a nice saying, but over time, I began to feel some skepticism. During my 15 years in the lab, I saw many researchers—including myself—work with genuine passion and diligence. Yet despite that, many of them didn’t achieve meaningful results—not because of a lack of effort, but because their methodology was flawed.
From this, I came to learn that while hard work is essential, good discovery ultimately depends on sound methods. After experiencing a breakthrough using drug repurposing screening, I rewrote that quote in my own way: “The harder I screen, the luckier I get.” If I could return to my early days as a graduate student or postdoc, I would begin again—not by following conventional questions, but by asking the kinds of questions others haven’t dared to ask. And then, I would screen boldly. In school, success comes from mastering existing knowledge. But in research, success means discovering something no one else has seen. So rather than being a model student, I believe researchers must become adventurous explorers—pioneers who take intellectual risks. I’ve come to believe that remarkable discoveries often await where we dare to explore widely—with new questions in hand. I simply hope you will stay sincere in both your questions and your journey of exploration.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저는 2024년 6월에 UT Southwestern Medical Center를 떠나 Dallas Baptist University (DBU)에서 부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DBU는 기독교적 철학과 세계관을 중심으로 학문과 인재 교육을 실천해 온, 127년 전통의 기독교 사립 대학입니다. 택사스주 달라스 지역에 Mountain Creek Lake 이 내려다보는 언덕 위에 자리잡고 있어,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운 환경을 자랑합니다. 학생들에게 과학을 가르치며 제 자신도 사고의 폭을 넓혀갈 계획입니다. 현재는 해부 생리학, 일반 생물학 등을 가르치고 있고 앞으로 신경생물학, 인간생식학, 과학과 신앙과 같은 다양한 커리큘럼을 만들어 갈 예정입니다. 15년 이상 콜레스테롤 연구를 하다 보니 콜레스테롤 연구 역사에 많은 흥미로운 사실들을 알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책을 통해 대중에게 소개하는 일도 할 예정입니다.
Since June 2024, I have been serving as an Associate Professor at Dallas Baptist University (DBU) after leaving at UT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BU is a Christian university with a 127-year tradition, founded on a biblical worldview and Christ-centered philosophy of education. The campus is located on a scenic hill overlooking Mountain Creek Lake in Dallas, Texas, offering a beautiful and peaceful environment where learning and nature coexist in harmony. As I teach science to students, I also hope to broaden my own thinking and perspectives. Currently, I am teaching Human Anatomy & Physiology and General Biology, and I plan to develop additional courses such as Neurobiology, Human Reproductive Biology, and Science and Faith in the near future. Having conducted research on cholesterol metabolism for over 15 years, I have developed a deep interest in the history of cholesterol research as well. One of my future goals is to share these stories with a broader audience through writing.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2009년, UT Southwestern에서 박사후 연구과정의 기회를 주신 노벨상 수상자 Micheal S. Brown 과 Joseph L. Goldstein 박사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연구의 모든 여정을 지원해 주시고, 함께 고민하며 길을 열어 주신 NAS 회원 Russell DeBose-Boyd 박사님께 특별한 감사를 드립니다. 곁에서 과학자인지 성자인지 구분이 안 될 만큼 진심 어린 우정을 나눈 Marc Schumacher 박사님, 연구실에서 가장 성실하고 유능한 동료이자 연구 파트너였던 조영아 박사님, 수많은 실험에 큰 도움을 도와준 랩 메니저 Kristi Garland, 세 아들을 키우며 연구까지 완벽히 해내는 슈퍼맘 Rebecca Fau lkner 박사님, 지금은 고향 이집트로 돌아가 행복한 가정을 꾸리고 있을 Rania Elsabrouty 박사님, UT Southwestern에서 늘 든든한 동료로 함께해 준 한성원 박사님, 그리고 깊은 고민이 있을 때마다 아낌없는 조언을 나눠 주신 또 한 분의 NAS 회원 David Russell 박사님, 신앙 안에서 멘토가 되어주신 Jonathan Terman 박사님께도 마음 깊이 감사드립니다.
연구를 한창 진행하면서도 2018년부터 Dallas Baptist University (DBU)에서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주신 Adam Wright 총장님과, Norma Hedin 부총장님, Dion Fleitas 학장님께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DBU에서 늘 따뜻한 격려를 보내주시는 DBU 명예 총장이신 Gary Cook 박사님, 섬김의 리더십으로 우리 학과를 이끌며, 친구로서도 정말 훌륭한 Jonathan Cooper 박사님, 그리고 매주 신앙의 여정을 함께 나누며 조언을 아끼지 않으시는 김종환 목사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또한, 올해가 추모 20주년을 맞이하며 지금은 하늘나라에 계신 어머니께 특별히 감사드립니다. 응원을 아끼지 않고 기도해주신 아버지, 장인, 장모님께 이 기회를 빌려 진심 어린 감사와 사랑을 전합니다. 무엇보다도, 내 생애 최고의 선물 송란 박사, 그리고 우리 사이에 주신 세 아이들, 아림, 아단, 아운에게 한없는 사랑과 고마움을 전합니다.
I am deeply grateful to Drs. Michael S. Brown and Joseph L. Goldstein, Nobel Laureates who generously gave me the opportunity to begin my postdoctoral research at UT Southwestern Medical Center in 2009. I extend my heartfelt thanks to my advisor, Dr. Russell DeBose-Boyd, a member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NAS), who has supported every step of my research journey and helped me navigate the path forward with wisdom and care. I am also thankful to Dr. Marc Schumacher, whose kindness and sincerity often left me wondering whether he was more a saint than a scientist. To Dr. Youngah Jo, the most dedicated and capable colleague I have had the pleasure of working alongside in the lab—thank you. To our lab manager, Kristi Garland, whose steady hands and countless contributions helped make many experiments possible, and to Dr. Rebecca Faulkner, a true “supermom” raising three sons while conducting outstanding research—thank you. I also wish to thank Dr. Rania Elsabrouty, who has since returned to her home in Egypt and is now living a joyful life with her family. My gratitude extends to Dr. Sungwon Han, a steadfast colleague at UT Southwestern, and to Dr. David Russell, another esteemed NAS member who generously offered thoughtful advice whenever I faced challenges. I am especially grateful to Dr. Jonathan Terman, who has been a mentor to me not only in science but also in faith.
While actively engaged in research, I was also given the precious opportunity to begin teaching students at Dallas Baptist University (DBU) in 2018. I am sincerely grateful to President Dr. Adam Wright, Provost Dr. Norma Hedin, and Dean Dr. Dionisio Fleitas for granting me the opportunity to teach and grow at DBU. My thanks also go to Dr. Gary Cook, Chancellor of DBU, for being a constant source of encouragement, and to Dr. Jonathan Cooper, my friend and department chair, who exemplifies servant leadership. I am deeply thankful as well to Rev. Dr. Jonathan Kim, who has faithfully walked with me through weekly conversations about the journey of faith, always offering wisdom and prayer.
As this year marks the 20th anniversary of my mother's passing, I wish to express special gratitude to her in heaven. To my father, and to my parents-in-law, thank you for your unwavering support and prayers. Above all, I want to express my deepest love and gratitude to the greatest gift in my life—Dr. Ran Song, and to our three children, Arim, Adan, and Aoun, whose presence fills my life with joy and purpose.
#Drug Repurposing
#Schnyder Corneal Dystrophy
#Cholesterol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연구자 ID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