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피부의 IL-17-producing T-cell (Th17 cell or T17 cell)은 피부를 Candida 등의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과도한 경우 건선 (psoriasis)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피부의 Th17 cell은 이로운 것인지 해로운 것인지, 피부의 모든 Th17 cell이 같은 특성을 가지는 것인지 의문이 생깁니다. 그러나, 기존의 Th17 cell 연구는 대부분 mouse 등 animal model을 기반으로 진행한 연구여서 human skin Th17 cell을 subset level에서 분석하는 것은 한계가 있었습니다. 본 연구는 사람의 건선 피부에서 Th17 cell이 IL-23 versus IL-17을 타겟으로 한 치료제에 반응하여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single-cell RNA sequencing을 이용하여 pathogenic versus protective Th17 subset level에서 고찰한 논문입니다. 현재 NIH/NIAMS K23AR080043로 진행 중인 임상 연구 (ClinicalTrials.gov NCT04630652)의 전반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이번이 세번째 한빛사 이메일 인터뷰인데 두번째 인터뷰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2022년 뉴욕 록펠러대학에서 캘리포니아 UC Davis 피부과로 이직하였고 VA Northern California Health Care System (보훈 병원)에 겸직하고 있습니다. 건선과 화농성한선염을 주제로 환자 진료, clinical trial 진행, clinical trial에 얻은 피부 조직 분석을 위한 laboratory 운영을 함께 하고 있습니다. 같은 연구진이 동일한 주제로 계속해서 연구하고 있어서 한빛사에 소개된 저의 모든 논문의 일저자, 이저자, 마지막 저자가 동일합니다.
3.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뉴욕에서 함께 지냈던 연구자 분들이 이제는 대부분 한국에서 교수님이 되셔서 왕성하게 연구를 하고 계십니다. 한빛사 인터뷰 덕분에 이렇게 저의 소식을 국내 연구자분들께 전할 수 있어서 감사합니다. 저와 논문의 2저자이신 이종미 박사님은 캘리포니아 새크라멘토에서 계속해서 하고 싶은 연구 하면서 잘 지내고 있습니다. 다만 근처에 생선회를 먹을 곳이 없어서 조금 힘듭니다. 국내 연구진과의 협업도 의욕적으로 진행 중입니다. 국내 연구진과의 교류에 도움을 주셔서 한빛사에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중개연구
# 피부과
# 건선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