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확장성 심근병증(Dilated Cardiomyopathy)은 심부전의 원인 중 하나로, 심장 근육이 약해지거나 늘어나 펌프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유전자, 바이러스, 과도한 음주 등의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주요 증상으로는 숨가쁨과 피로감이 있습니다. 현재 알려진 치료법으로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i)와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ARB) 등의 약물이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심근 발달 표지자인 라트로필린-2(Latrophilin-2)라는 G-단백질 결합 수용체(GPCR)가 결손 시, 확장성 심근병증의 원인이 됨을 새롭게 규명하였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 심혈관연구단은 이전 연구를 통해 심근 발달 표지자를 규명한 바(Lee et al, Circulation, 2019) 있으며, Lphn2(+) 세포가 심근 재생에 기여함을 마우스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모델에서 입증한 바(Lee et al, Stem Cells Translational Medicine, 2022)도 있습니다. 또한, 라트로필린-2의 하위 Pathway도 확인한 바 있습니다(Lee et al, Stem Cell Report, 2021). 이번 연구는 성인 쥐 심장에서 라트로필린-2의 기능을 알기 위해 타목시펜 유도 심근세포 특이적 라트로필린-2 조건부 녹아웃 마우스 모델(Tamoxifen-Induced, Latrophilin-2 Conditional Knockout Mouse Model)을 확립하여 형질을 분석하였습니다.
라트로필린-2결손 마우스(Knockout Mouse)는 발달 단계에서 배아치사(Embryonic Lethal)에 이르기 때문입니다. 라트로필린-2심근세포 녹아웃시, 세포 접합(Adherens junction, Desmosome, Connexin)이 파괴되고 미토콘드리아가 비정상적으로 변하면서 심부전으로 이어졌습니다. 또, 하위 경로 인자를 투여했을 때 회복 가능한 심근병증임을 확인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라트로필린-2 유전자 서열은 마우스와 인간 사이에 유사성이 상당히 높아, 인간 심장에서도 심부전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UK Biobank와 gnomAD를 활용하였습니다. 그 결과, 라트로필린-2 결손과 심부전과의 연관성이 있음을 도출해냈습니다.
연구 과정 중 기억에 남는 큰 에피소드는 리뷰어로부터 3회의 리비전을 받으면서 다양한 관점에서 논문을 바라볼 수 있었고, 데이터의 양과 질이 모두 개선된 경험이었습니다. Circulation Research 저널 정책상 메이저 리비전(Major Revisio)n은 특별한 사유 없이는 90일까지만 인정되기 때문에, 동물실험이 실패할까 봐 노심초사하며 밤새 실험했던 경험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서울대학교병원 심혈관연구단은 김효수 교수님의 지휘 아래 조현재 교수님 외 4명의 교수와 2명의 연구교수, 20여 명의 대학원생이 심혈관 질환, 염증성 질환, 암 치료를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단은 기초 의학의 창의적 발견을 임상 연구와 효과적으로 연계하여 난치성 질환 극복을 위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시다면 아래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연구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분들과 대학원 과정을 희망하는 학생들의 연락을 환영합니다. 이메일로 문의해 주시면 성심껏 답변드리겠습니다. (연구실 홈페이지 주소: https://cardiolabacting.wixsite.com/cvstemcell)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연구자로서 가장 큰 자부심을 느끼는 순간은 처음 설정한 연구 비전을 끝까지 지켜내어 학문적 성과를 달성하는 것입니다. 수많은 시행착오와 도전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일관된 비전은 연구의 진정성을 보여주는 나침반이 되어주기도 합니다. 연구 현장에서는 때로 예상치 못한 결과나 새로운 도전 과제가 끊임없이 등장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순간마다 초심으로 돌아가 우리가 추구하는 본질적 가치를 되새기며, 이를 더 나은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기회로 삼아왔습니다. 확고한 신념과 끊임없는 도전 정신을 바탕으로 할 때, 우리의 연구는 단순한 학문적 성과를 넘어 실질적인 가치 창출로 이어질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단순한 호기심이나 일시적인 열정만으로는 견디기 힘든 긴 여정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기초 연구와 임상 연구를 아우르는 이 분야는 끊임없는 시행착오와 실패를 마주하게 되며, 때로는 수년간의 노력이 하루아침에 무너지는 경험을 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도전과 어려움을 충분히 인지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길을 선택할 확고한 의지가 있는 분들이라면, 그 진정성과 열정이 값진 결실로 이어질 것입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저희 연구팀의 궁극적인 목표는 라트로필린-2를 활용한 혁신적인 심근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입니다.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추가적으로 치료제 개발에 도전하여 심장 질환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이 될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기초 연구에서 얻은 통찰력을 바탕으로 임상 적용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탐구하며, 궁극적으로는 실제 환자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치료제 개발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이 자리를 빌어 저의 학문적 여정에서 가장 큰 가르침을 주신 김효수 교수님과 조현재 교수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 두 분 교수님의 학문에 대한 열정과 통찰력 있는 지도는 제가 연구자로서 성장하는 데 있어 가장 큰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특히 어려운 순간마다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해 주신 덕분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두 분 교수님께서 보여주신 학문적 열정과 가르침을 이어받아 의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연구를 계속 이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저자이신 최무림 교수님과 이정하 연구원님께도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연구실에서 늘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시고 제게 연구 방법을 가르쳐주신 이춘수 박사님께 특별히 감사드립니다. 박사님의 세심한 지도와 조언은 연구의 질적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힘든 연구 과정에서 함께 고민하고 서로 의지가 되어준 손현주 학생과 이재원 팀장님에게도 진심으로 고마움을 느낍니다.
또, 학위 과정 동안 큰 도움이 되어준 신다솜 박사님, 채정환 박사님, 해나누나, 이진우 박사님, 서현주, 문도담 박사님, 최건, 아름누나, 김지수에게도 깊은 감사를 표합니다.
마지막으로, 멀리서 저를 응원해주는 가족들에게도 진정한 감사를 전합니다.
2024년 김효수교수님 사은회 기념 연구실 단체사진.
#확장성 심근병증
# 라트로필린-2
# 심근 줄기세포 치료제
관련 링크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