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 PLC-β3의 기능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는 PLC-β는 AngII 수용체에 의해 활성화 되어 AngII에 의해 조절되는 다양한 생리 또는 병리학적 기전을 매개하는 핵심조절인자라는 것을 지지해 왔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수십 년 전부터 AngII에 의해 PLC-β가 활성화 된다는 사실로부터 유추된 것일 뿐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PLC-β는 AngII에 의해 조절되는 기능 중 평활근세포의 증식/이동 등 병리적 기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혈관의 수축 조절을 통해 혈압을 조절하는 쪽으로는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 혈관질환의 새로운 치료표적으로 PLC-β3 제시 -
본 연구에서는 만성적인 AngII의 형성은 고혈압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이동을 촉진함으로써 neointima형성을 유도해 다양한 심혈관질환을 촉진함을 확인하였습니다. 혈관평활근세포에는 PLC-β3만 존재하고, AngII에 의한 혈관의 수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neointima형성만을 조절하기 때문에 PLC-β3의 특이적 억제제는 심혈관질환 중 neointima 형성과 관련되어 있는 다양한 질환 (Atherosclerosis, arteriosclerosis, vascular hyperplasia) 들을 치료에 적용가능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배순식 교수님의 대사성심혈관질환 연구실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2009년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 교실에서 처음 시작한 연구실로 화학/분자생물학/신호전달학을 기반으로 대사질환과 연계하여 심혈관질환의 발병기전 및 예방/치료법 개발을 목표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세포주 모델뿐만 아니라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심혈관 질환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임상의들과 공동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연구의 질적 향상도 도모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구성원들은 열정, 자기주도, 성실, 목표의식, 창의성이라는 덕목을 바탕으로 심혈관질환의 발병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연구는 단순히 지식을 축척하는 과정을 넘어 지속적인 성장과 자기 발전의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마주하는 어려움과 도전을 극복하고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때의 성취감은 연구자로서의 동기부여와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 같습니다. 저의 연구 결과가 후속 연구자들이 참고 할만한 선행 연구가 되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생명과학은 끊임 없이 발전하고 변화하는 분야이므로, 항상 호기심을 가지고 무엇이든 궁금해 하고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고 탐구하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그리고 연구를 위해서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실패를 하고도 흔들리지 않는 건강한 멘탈과 열정을 가지고 도전하시길 바랍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지금까지 연구를 통해 정립한 기술과 인프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질환의 발병기전 및 치료를 위한 신규 타겟 발굴을 위해 폭넓은 연구를 계속 진행 할 예정입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늘 부족한 저이지만 항상 좋은 기회를 주시고 자유로운 연구를 할 수 있는 환경과 함께 세심하고 열정적인 지도를 해주신 배순식 교수님께 감사하다는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10년이 넘는 기간동안 어려움이 닥칠때마다 삶에서 그리고 연구실에서 다방면으로 길잡이가 되어준 하정민 박사님께 정말 감사합니다. 매일을 함께 하며 동고동락하는 소중한 우리 실험실 식구들에게도 고맙다는 말을 전합니다. 언제나 버팀목이 되어주는 가족들에게도 감사한 마음을 전합니다.
#Vascular Disease
# Phospholipase C
# Reactive oxygen species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연구자 ID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