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인공 방조제는 강과 바다로 이어지는 생태계의 자연적인 연결을 파괴하고 방조제 내측 수환경의 부영양화를 야기시킵니다. 이는 녹조나 적조와 같은 환경문제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세계 최장의 새만금 방조제 내측에서는 부영양화로 인한 수질 악화 문제가 지속적으로 보도되고 있습니다. 또한 방조제 외측 갯벌 생태계는 배수 갑문을 통한 내측(부영양화) 방류수 영향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인위적인 환경 변화에 따른 갯벌 생태계 기능 변화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4년 동안 내측 부영양화 된 담수호로부터 외측 해양환경으로 유출되는 방류수로 인한 해양생태계 먹이망 변화를 추적했습니다.
연구 결과, 수층영양염 농도의 상관분석을 통해 방류수의 외측 갯벌 환경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영양염 농도의 증가는 방조제 수문 근처 저서미세조류 생물량을 증가시켰고, 이로 인해 상위 영양단계 생물들이 저서미세조류를 주요한 먹이원으로 활용했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여과섭식자에서 가장 두드러지며, 생물의 섭식 방법에 따라 환경 변화에 대한 반응이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결과는 향후 새만금 생태계 관리를 위해 내측과 외측을 동시에 고려하는 통합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본 연구는 새만금 방조제 공사 이후 새만금 내측과 외측을 대상으로 연구한 최초의 장기 연구입니다. 또한, 해양생태계 먹이망과 먹이원 관점에서 새만금 생태계 기능 영향을 최초로 밝힌 연구로, 향후 생태계 기반 관리 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구축했다는 데 큰 의미를 가집니다.
[A, 해당 연구 논문; B, 새만금 연구지역; C, 여과 및 퇴적물 섭식자의 먹이원 활용]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해양저서생태학 연구실에서 제 박사과정 중 하나의 주제로 수행되었습니다. 이 연구실은 해양생태계 구조와 기능, 그리고 해양생태계서비스(해양생태계가 인간에게 제공하는 사회경제적 가치)에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해양생태계 구조연구는 해양 생물종이 어디서, 얼마나 많이, 그리고 어느 정도로 다양하게 서식하는지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해양생태계 기능 연구에서는 일차생산자의 생산량과 생산성을 중심으로 시작하여, 이렇게 생성된 에너지가 해양 먹이사슬 내에서 어떻게 전달되는지를 연구합니다. 마지막으로, 환경변화에 대한 해양생태계의 반응과 그 견딜 수 있는 정도를 조사하는 해양생태계 건강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서울대학교 해양저서생태학 연구실
★ 서울대 자연대 대학원 유튜브 채널 ‘연구뭐하지?’ 인터뷰영상
: https://youtu.be/3MLMFNN0ShM
[서울대학교 해양저서생태학 연구실 구성]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저는 운이 좋게도 학위 과정 동안 다양한 연안 생태계(한국 갯벌, 중국 맹그로브 숲, 남극 연안)를 연구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습니다. 해양생태학을 공부하는 분이라도 이렇게 넓은 공간 규모의 연구를 하신 분은 많이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양한 연안 서식지에서 환경 차이는 생태계 먹이망의 기능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각 지역의 환경 특성을 공부하는 데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만 했습니다. 학위 과정 동안에는 “생태계 특성 공부 환경 자료 수집 먹이망 내 에너지 흐름 변화와 연관성 찾기” 일련의 과정이 굉장히 어렵게 느껴졌습니다. 그러나, 여러 번의 경험을 통해 해석하기 어려운 데이터의 경향성을 찾아내고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해 냈습니다. 해양생태학을 전공으로 연구하면 여러 가지로 힘든 점들이 많습니다. 이렇게 지나온 모든 경험들이 저에게 자부심을 느끼게 하는 것 같습니다. 또한, 얻은 연구 결과들이 해양생태계의 관리와 보존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더 큰 보람으로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중국 맹그로브 숲에서의 현장 조사]
어려움을 겪고 좌절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얼른 툭툭 털고 일어나서 나아가세요. 그 길 끝에서는 멋지게 성장한 나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겁니다. 박사학위는 마라톤입니다. 강인한 체력과 정신력으로 박사학위 마라톤을 무사히 완주하시길 기도하겠습니다.
4.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학위 과정 동안에는 주로 현장 자료를 기반으로 한 연안 생태계 연구에 집중했습니다. 연안 생태계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 변화의 경향성을 파악하기 적합하였지만, 특정 요인이 생태계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평가하기 어려운 점들이 있었습니다. 박사후 연구 기간에는 특정 요인에 대한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생태계 모사 시스템(Mesocosm)을 구축하여 연구할 계획입니다. 특히, 지구 온난화 상황을 모사한 시스템 내에서 여러 환경 요인의 조절 하에 연안 생태계 기능 변화를 평가하고 제시하여, 미래 연안 생태계 관리에 필요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5.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어릴 적부터 꿈꿔온 과학자가 되기 위해 긴 시간 동안 많은 어려움을 겪어왔습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박사 학위를 받을 수 있었던 것은 교수님의 지도와 격려, 그리고 많은 분들의 지지 덕분이었습니다. 저를 해양생태학자로 성장시켜 주신 지도 교수님, 선후배님들, 그리고 사랑하는 가족에게 이 자리를 빌어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든든한 지원군 나의 선생님, 동료, 그리고 가족]
#새만금 방조제
# 먹이망 영양역학
# 저서미세조류
관련 링크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