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여러 외부요인에 반응하는 면역체계를 Innate Immune System이라고 하는데 저는 그 system중 가운데 Inflammasome이라고 하는 Multi protein complex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Inflammasome은 여러 종류가 밝혀져 있지만 결과적으로 Interleukin 1 (IL-1)이라고 하는 cytokine을 만들어 내게 됩니다. 이 IL-1은 염증반응에 Key가 되는 cytokine으로 우리 몸을 방어하는 좋은 수단이지만 과도하게 발현이 되면 오히려 여러 질병을 일으키게 됩니다. 따라서 이를 만들어내는 Inflammasome을 연구하는 것이 관련된 질병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Inflammasome중 많이 연구되고 있는 NLRP3 inflammasome의 경우 Parkinson’s disease, Type 2 diabetes 등 많은 질환에 관련되어 있어 NLRP3 inflammasome이 어떻게 질환을 일으키게 되는지, 어떤 기작으로 inhibition되는지 연구하는 것이 다양한 질병을 이해하는데 중요합니다.
천식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알레르기 질환입니다. 유전적 요인과 더불어 여러 천식 유발 인자들이 면역체계를 혼란스럽게 하면서 생깁니다. 그 중 Neutrophilic Asthma(NA)의 경우 neutrophil의 infiltration이 특징이며 높은 IL-1β를 발현하게 됩니다. NA는 증상이 심하며 천식 치료에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약물에 저항성이 있어 치료하기 까다로운 천식 중 하나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낮아진 OTU deubiquitinase with linear linkage specificity(Otulin)이 NLRP3 inflammasome를 지속적으로 활성화시켜 NA에서의 높아진 IL-1β 생성에 관여한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이를 통해 NA를 치료하는데 있어 새로운 표지자를 찾아내게 되었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현재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과학과 미생물학교실에 소속된 면역연구실에서 석박사통합과정으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박용환 교수님 지도하에 현재까지 3년동안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실에서는 Innate immune system에서의 Inflammasome의 역할과 이를 억제할 수 있는 여러 물질들을 찾기도 하고 Inflammasome의 다양한 mechanism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총 6명의 대학원생과 연구강사님이 있으며 모두 재밌고 열정적으로 연구에 임하고 있습니다.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면역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ajou.ac.kr/microbiology-immunology-lab/홈?authuser=0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연구하면서 가장 자부심을 느끼는 순간은 당연히 실험 결과를 성공적으로 얻었을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제가 연구한 성과를 한 논문으로서 세상에 발표하는 것도 큰 보람이라고 생각하지만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새로 새운 가설들과 그 가설을 위한 새로운 실험들을 통해 얻게 되는 경험, 성취감이 저에게 가장 큰 보람이라고 생각합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학위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꾸준함과 용기가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많은 일들이 있겠지만 꾸준히 자기 자신을 위해 노력한다면 그 시간들이 모여서 단단하고 멋진 연구원으로 만들어줄 것이라고 믿습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교수님들과 다른 대학원생들과의 소통이 연구에 있어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 본인이 생각한 성공적인 결과가 아니더라도 모두와 논의해보고 어떤 문제점이었는지 생각해본다면 마지막엔 좋은 결과가 나올 것 입니다. 집단 지성의 힘을 믿어보세요!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NLRP3 inflammasome의 mechanism연구를 통해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pathway를 깊이 이해하고, 이를 다양한 질병 모델에 적용해 새로운 치료 방법에 한 발짝 다가갈 수 있게 하는 연구 성과를 낼 계획입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저의 노력을 통해 좋은 연구 성과를 이룰 수 있어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이런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 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우선 연구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많은 기회와 끊임없는 가르침을 주시는 지도교수님, 박용환 교수님 감사합니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 아낌없는 지원과 격려를 보내주셨던 박해심 교수님에게도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저와 같이 연구하고 있는 많은 의생명과학과 친구들, 부족한 저를 항상 묵묵히 응원해주는 친구들과 가족들에게 감사하고 사랑한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NLRP3 inflammasome
#Neutrophilic asthma
#Otulin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