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췌장암은 초기 진단이 어렵고 효과적인 치료 기법이 없어 치사율이 매우 높은 암 종류 중 하나입니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유전적 변화와 후성유전학적 변화를 복합적으로 연구하여 췌장암 발병 과정을 더 잘 이해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multi-omics analyses를 바탕으로 췌장암 발병 과정에서의 후성유전학적 조절인자로서 PRMT1을 발굴하고, 암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기전을 규명하였습니다. 인체 유래 췌장암 세포 주에서 PRMT1을 억제했을 때 Histone H4의 메틸화(H4R3me2a)를 감소시키고, 이는 염색질 접근성의 감소로 이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전사와 염색질 접근성 변화를 통합 분석한 결과, PRMT1를 억제하면 해당과정(glycolysis)의 주요 유전자에서 변화가 크게 나타났고, 이러한 변화는 실제 세포 내 대사를 변화시키고, 암세포 생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췌장암 환자에게 자주 처방되는 항암제(Gemcitabine)에 대한 저항성은 해당과정(glycolysis) 유전자 발현과 관련이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PRMT1억제제와 Gemcitabine의 병용 치료 효과를 조사하였고, 단일 약물 처리와 비교했을 때 PRMT1억제제와 Gemcitabine을 병용 처리 했을 때 훨씬 큰 항암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PRMT1이 췌장암 발병 과정과 항암제 저항성을 획득하는 데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PRMT1을 타깃으로 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것, 특히 gemcitabine과의 병용 치료가 새로운 췌장암 치료기법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이 연구는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교수님이시자 세포 가소성 연구단 및 줄기세포센터 소장님이신 임대식 교수님의 지도 하에 진행되었습니다. 저희 연구단은 세포가 다양한 외부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세포 특성의 변화를 핵 내 염색질 수준부터 마우스 수준까지 복합적으로 연구하는 연구실입니다. 임대식 교수님은 개개인의 학생이 독립적인 연구를 주도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지도해주시고, 또 실제 연구 수행 시 필요한 지원과 도움을 아낌없이 주시는 분입니다. 우리 연구실은 두 분의 연구 교수님과 10명 내외의 학생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연구실 사이트(https://dlim.kaist.ac.kr/contents)를 방문하시면 보다 많은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연구는 현재 저희 연구실에서 많이 다루지 않는 췌장암 치료와 관련한 전 임상적 의미를 연구했기 때문에, 다양한 연구실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전남대학교 의과대학의 최 찬 교수님, 노명균 교수님 (현 아주대학교 병리과), 국립암센터의 최원영 박사님, 공선영 교수님, 김윤희 교수님께서 큰 도움을 주셨습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생명과학은 정해진 답이 없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인 것 같습니다. 한줄기 빛도 없는 곳에서 손으로 바닥을 짚으며 바늘을 찾는 것 같은 과정이 어렵긴 하지만, 수많은 연구 결과 속에서 나만의 데이터로 새로운 관점과 의미를 찾아내는 과정에 대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또, 저의 연구 결과가 실제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었는데, 이에 가까운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서 큰 행운이었고, 매 순간 너무 즐겁게 임할 수 있었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저도 아직 배워야 하는 부분이 많아 조언을 하기에 조심스럽지만 주변 선후배 및 동료들과 나누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조언을 하고자 합니다. 연구는 외롭지만, 함께하는 연구자들이 있어서 늘 도움을 받고 힘을 얻게 되는 것 같습니다. 또, 연구주제에 대해 늘 고민하고, 부지런히 배우다 보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박사학위 과정 동안 가졌던 불안함을 이겨낼 수 있었던 원동력은 제가 하는 일에 대한 즐거움을 잃지 않았던 것, 그리고 주변 친구들, 선후배들의 응원이었습니다. 하나의 논문이 최종 게재되는 데에는 주 저자의 수 없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공저자의 도움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미국으로 postdoc진학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후에는 암, 대사 질환을 비롯한 다양한 인간 질병을 치료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연구를 하고싶습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연구를 수행하면서 감사한 분들이 너무 많습니다. 저를 다방면으로 성장 시켜주신 임대식 교수님, 교수님께 지도를 받을 수 있어서 너무 영광이었습니다. 늘 응원을 아끼지 않은 연구실 선배이자, 남자친구, 이제는 남편이 된 황대희 박사님, 저의 영원한 사수님이자 늘 따뜻한 말과 마음으로 도움을 주시는 최원영 박사님, 힘들었던 기간 동안 서로 위로하고 함께해준 김우현, 오효선, 조희진, 이성주, 긴 연구실 생활을 함께해준 선배님과 후배님들, 그리고 많은 실험적인 도움과 조언을 주신 강주경 박사님, 최성우 박사님께 감사인사를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를 함께 수행한 가장 소중한 친구이자 선배님인 다비드 박사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췌장암
# 병용치료
# 약물저항성
관련 링크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