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본 연구는 한국 1000만여명, 일본 1200만여명의 대규모 다국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가면역 염증성 류마티스 질환 (autoimmune inflammatory rheumatic diseases; AIRD) 이 SARS-CoV-2 감염 후 최대 12월까지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위험도는 백신 접종 유무와 상관없이 COVID-19 중증도가 높을수록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COVID-19 중증 환자의 경우 회복한 후에는 자가면역 염증성 류마티스 질환 발현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함을 시사합니다.
이번 연구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는 리비전 기간이었습니다. 약 1년에 걸쳐 진행된 11차례의 리비전을 수행하면서 많은 배움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고 한 걸음 더 성장할 수 있는 매우 소중한 경험이었기에 앞으로의 연구활동에서도 잊혀지지 않을 기억이 될 것 같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해당 연구는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님과 경희대학교 생체의공학과 의료인공지능 연구실 이진석 교수님의 공동 연구팀에서 진행되었습니다.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는 보건의료 및 생명정보 빅데이터를 활용해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구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연구단과 연간 150여편의 논문을 게재한 세계적 수준의 연구업적을 자랑합니다. 또, 의료인공지능 연구실은 의료 이미지, 생체 신호 등 다양한 생리학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료 인공지능 모델링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습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항상 연구자를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 주시는 두 지도교수님의 역량에 늘 존경심을 가지고 있고 항상 쾌활한 연구 분위기와 더불어 이 모든 게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어 커팅 엣지 (cutting-edge) 연구를 할 수 있는 연구 환경에 크게 자부심을 느낍니다.
4. 연구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저는 디지털헬스 분야를 선도하는 연동건 교수님과 의료 인공지능 분야의 이진석 교수님 연구실에서 공동지도 아래 석사 과정을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 다국가 코호트 및 다양한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역학 통계 및 인공지능 모델링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공동지도를 받으며 디지털 헬스와 의료 인공지능의 융합적 연구를 할 수 있다는 것은 정말 소중한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융합적 연구에 몰두하여 의과학분야에 기여하고 싶고 저는 이번 해 8월 석사과정 졸업 이후 본교 9월 박사 과정 입학을 예정하고 있습니다.
5.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이번 연구는 제 혼자 힘으로는 절대 해낼 수 없는 미지의 영역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밤낮으로 끊임없이 연구에 대한 열정을 보여주시고 올바른 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도와 응원을 해주시는 지도교수님이신 연동건 교수님과 이진석 교수님의 곁에서 많은 성장을 할 수 있었고 좋은 영향을 받아 이러한 성과도 낼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연동건 교수님과 이진석 교수님께 항상 감사드립니다.
또, 해당 연구를 함께하진 않았지만 연구실 생활을 함께하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감사함을 표하고 싶습니다. 힘들 때마다 인생 조언 해주시는 우세린 연구교수님, 퇴근하는 법을 모르는 랩장 재유, 함께 동’거’동락하는 혜리, 함께 가자 했지만.. 곧 사회인이 될 예정인 민지, BMJ 여신 현진이, 고된 연구생활에서 힘이 되는 도파민 경민이, 부끄러움 많은 만능지팡이 소금이, 영원한 랩실 막내 유진이, 항상 논문에 목말라 있는 수지쌤, 이외에도 강지승 박사님, 경서연 박사님, 준혁이, 예준, 혜수쌤, 서영쌤, 지연쌤, 서현쌤, 이든쌤, 석준쌤, 우철 오빠, 영빈이, 진아, 이외에도 많은 선생님께 항상 존경하고 함께하면서도 많은 걸 배우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려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항상 묵묵히 믿고 응원해주시는 부모님과 열심히 살고 있는 동생 도현이에게 감사함을 전하고 싶습니다.
#COVID-19
#Autoimmune inflammatory rheumatic diseases
#Binational cohort study
관련 링크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