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류마티스 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 RA)은 주로 관절에 침범하지만, 전신의 모든 장기를 침범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질환입니다. 폐는 RA에서 가장 흔하게 침범되는 extra-articular organ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임상적으로는 많은 경우에 간질성 폐질환 (interstitial lung disease)으로 발현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폐 실질 외에도 만성 폐쇄성 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천식 (asthma), 기관지확장증 (bronchiectasis) 와 같은 다양한 기도 질환의 위험도 또한 높이는 것이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COPD는 기도 질환에 국한되지 않고 전신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고, 이에 동반되는 자가 항원 노출 등이 RA의 pathophysiology와 연관이 있다는 선행 연구들도 발표되어 있습니다. 본 연구는 국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축한 국내 RA 환자 코호트에서 COPD 발생을 분석하였습니다. RA 환자에서 COPD 발생의 위험이 증가하고, seronegative RA 환자보다 seropositive RA 환자에서 그 위험이 더 높다는 점을 밝혔습니다. 이는 RA 에 동반되는 자가면역 및 만성 염증이 COPD 와 같은 기도 질환과 서로 상호작용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이세원 교수님 연구실은 COPD의 pathophysiology에 대하여 microbiome, particulate matter, pulmonary rehabilitation 세 가지 분야에 연구를 집중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숭실대학교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님,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님과 함께 협력하여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COPD epidemiology으로 연구 분야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지금까지 제가 수행한 연구에는 가급적 실제 임상에서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메시지를 담고자 노력해 왔습니다. 저의 작은 메시지들이 환자들에게는 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빅데이터 연구는 통계 수치로 보여지는 것을 넘어서, 그 이면에 숨겨진 뜻을 읽을 수 있을 때가 연구의 시작인 것 같습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현재 연구실에서 진행하고 있는 microbiome 및 particulate matter 관련 실험 결과를 빅데이터를 통한 epidemiology 분석 결과와 함께 매칭하여 연구하고자 합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이번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RA 환자 코호트를 구축하여 주신 김형진 교수님, 은영희 교수님, 신동욱 교수님, 통계 분석을 수행하여 주신 한경도 교수님, 정진형 박사님, 자료 분석과 해석에 도움을 주신 이현 교수님, 박준희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이번 연구를 지도해 주시고, 제가 연구자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많은 가르침을 주신 이세원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지금까지 저의 연구를 지도해 주신 심태선 교수님, 조민우 교수님, 강도윤 교수님, 강영애 교수님, 김호철 교수님, 그리고 저를 호흡기내과 의사의 길로 인도하신 조준성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rheumatoid arthriti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big data
관련 링크
관련분야 논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