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위암은 전 세계적으로 5번째로 발병률이 높은 질병이며, 4번째로 높은 암 사망 원인입니다. 현재 여러 치료법의 개발로 인해 위암 환자의 생존율이 높아지고 있지만,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조기 발견과 수술적 절제를 통한 치료가 최선입니다. 종양 관련 대식세포(TAM)은 암세포의 전이 및 증식을 촉진하며 여러 암 유형에서 발견되는데, TAM에서는 암 면역 치료의 표적인 PD-L1이 높게 발현됩니다. 이러한 PD-L1의 높은 발현은 독성 림프구의 기능적 활성을 억제하여 종양의 면역 회피를 돕습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면역 세포의 기능을 조절한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고, 최근 Anti PD-1, Anti PD-L1과 같은 면역관문억제제 치료 반응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에 마이크로바이옴이 암에서도 중요할 것이라 생각하였고, 위암 환자의 혈액 내 면역 세포와 종양 조직에서의 면역세포 아형 분석을 통해 면역 저하 상황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러한 면역 저하 상황이 환자의 마이크로바이옴과 그 대사체와 연관성이 있는지를 조사하였습니다. Early gastric cancer (EGC) 환자 대비 Advanced gastric cancer (AGC) 환자들의 혈액 내 면역 세포와 종양 조직에서 PD-L1과 IL-10의 발현이 높음을 확인했고, 위암 환자들의 마이크로바이옴에서 Butyrate를 생산하는 균주들로 잘 알려진 Faecalibacterium, Collinsella, Bifidobacterium 의 감소를 확인하였습니다. 이들의 대표적 대사산물인 Butyrate를 위암 환자의 면역 세포에 처리하여 PD-L1과 IL-10의 감소를 확인하였고, 위암 환자의 면역세포를 이식한 인간화 마우스 위암 모델에서 Butyrate의 면역 억제 마커 PD-L1, IL-10등의 조절을 통한 항 종양 효과를 확인하였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현재 가톨릭 대학교 류마티스 연구센터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가톨릭 대학교 류마티스 연구센터는 현재 20여명의 대학원생 및 연구원이 함께 하고 있으며, 면역세포 항상성, 세포사멸연구, 미토콘드리아 이식, 마이크로바이옴 조절 등의 연구를 함께하고 있습니다. 기초와 임상중개연구를 바탕으로 자가면역 질환 연구부터 암 연구까지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가톨릭대학 류마티스 연구센터 홈페이지: rhrc.co.kr)
3. 감사의 말
우선, 지도 교수님으로서 이 연구의 시작을 지지해 주시고 논문이라는 열매를 맺기까지 암과 자가면역 질환이라는 상반된 개념이 뒤죽박죽 섞이지 않고 잘 나아갈 수 있도록 조언과 격려를 아낌없이 해주신 조미라 교수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또한 위암이라는 주제를 접하게 해주시고, 원활한 실험 진행과 질 좋은 데이터 도출을 위한 환자분들의 샘플을 아낌없이 제공해 주신 송교영 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저와 많은 과제를 수행하며, 항상 많은 도움을 주시는 전주연 박사님, 우진석 박사님과 팀 후배인 건희, 세경, 상희를 비롯한 모든 실험실 구성원분들께도 감사드립니다. 중간에 포기하려 할 때 잡아주신 모든 실험실 선생님들께 감사드리며, 즐거운 실험실 생활을 할 수 있게 해주신 현식 샘, 근형 샘, 아람 샘, 승천 샘 모두 감사드립니다. 암 모델 세팅에도 도움을 주신 근형 샘 이 기회를 통해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남들보다 길었던 석사과정 동안, 언제나 저를 믿어주시고, 끝없는 지지와 응원을 해주신 사랑하는 부모님, 가족분들께 감사하고 사랑한다는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학위 기간 동안 응원해 준 친구들, 형, 누나, 동생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많은 분들의 도움 덕분에 포기하지 않고 일어서서 앞으로 나아갈 원동력을 얻었고, 어둠 가득한 동굴 속을 걷는 것 같은 학위 기간을 지나 졸업논문의 통과와 한빛사 인터뷰라는 기쁨을 찾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