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Microbiome에 관한 연구는 최근 수년간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 중 저희는 피부의 microbiome과 host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피부의 표피는 구조적으로 환경과 맞닿아 있어 많은 공생 세균이 서식하고 있어 microbiome-host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습니다.
생후 초기에 피부 공생 세균에 의하여 피부의 면역세포가 활성이 되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어떻게 공생 세균이 생후 초기의 피부 면역체계를 조절하여 성체기까지 피부에서 Type 2 면역반응을 일으키는지에 대한 정확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았습니다.
본 연구는 무균 마우스 실험을 통해 피부의 공생 세균 중 Staphylococcus lentus가 생후 초기 시기에 피부에 서식하게 되고 이 공생 세균이 트립토판 대사체인 인돌-3-알데하이드를 생성함으로써, 피부의 각질 형성 세포의 TSLP라는 cytokine을 증가하게 하고 이로 인해 Group 2 Innate Lymphoid Cell (ILC2)의 priming이 증가하여 성체기까지 유지되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규명하였습니다.
해당 연구는 생후 초기의 공생 세균에 대한 노출이 ILC2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것을 규명하였고, 생후 초기의 공생 세균에 대한 노출을 조절하여 성체기의 ILC2을 조절할 가능성을 시사하였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과학부 유지환 교수님께 박사학위과정을 수학하였고 2월 학위수여를 예정하고 있습니다. 저희 교수님께서는 학생들이 하고 싶은 연구를 최대한 지지해주시고 그에 따른 지지를 전적으로 보내주시기 때문에 이번 연구를 무사히 마칠 수 있었습니다. 저희 기관은 세브란스 병원과 연동되어 여러 임상 교수님들과 다양한 분야의 기초교수님들이 계시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공동연구가 용이합니다. 또한 저희 기관은 Germ-Free mouse 시설을 보유하고있으며 여러 Gene transgenic mouse와 SPF mouse도 자유자재로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동물실험을 하는데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면역세포를 연구하기에 용이한 최신 FACS 기계도 보유하고 있어서 연구자들의 자유로운 연구가 가능합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저희 교수님께서 항상 강조하시는 말씀이 한가지 데이터를 가지고 일희일비하지 말라는 말씀이 있었습니다. 항상 명심하려 하지만 쉽지않았고 특히 Revision 기간동안에는 몇가지 실험이 예상과 다르게 나왔을 때 심장이 바닥까지 떨어지는 것을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정말 이 실험이 가능할지 의심한 실험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결과가 가설과 맞아 떨어질 때는 신체의 피로함을 다 잊을 정도로 강한 희열을 느끼기도 하였습니다. 모든 학위생분들께서 학위 내내 고생 하시는데 저도 학위과정 내내 고생하고 방대한 Revision을 받았을 때 걱정도 되고 Revision 기간 내내 정말 고생했지만, accept 메일을 받았을 때는 그동안 고생한 것에 대한 보상을 받은 것 같아서 정말 기뻤고, 학위과정을 시작했을 때보다는 물론 Submission 하였을 때 보다도 제가 한층 성장한 것을 느껴서 감사했습니다. 다음연구에서도 학위과정동안 배운 것으로 열심히 해보고자 합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제가 감히 무언가를 조언을 드릴 수는 있을 지 모르겠지만, 학위 기간 내내 정말 자신의 모든 것을 쏟아 붓는다면 고생에 따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니 힘들어도 포기하지말고 끝까지 노력하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또한 연구에 몰입하다 보면 정신적으로 피폐해지는데, 저는 운동을 빼먹지 않으려 노력하였고 운동시간에는 적어도 연구 생각을 하지않으려고 노력하여 그때마다 refresh 하였습니다. 자신이 너무 피폐해질 때는 적절한 휴식도 취해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저는 당분간 해당 연구실에서 microbiome과 skin immune system에 관한 연구를 이어서 진행하고자 합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먼저 제가 이 전공을 선택하고 연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싶습니다. 저는 선척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을 가지고 태어나서 어릴 때부터 생명과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대학교 때부터 막연히 피부 연구를 하고 싶었습니다. 감사하게도 저희 지도 교수님이신 유지환 교수님을 만나게 되었고 교수님께서는 제가 하고싶은 연구를 할 수 있도록 끝없는 지지를 보내주셨습니다. 교수님이 아니었다면 피부 연구는 시작도 하지 못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연구의 방향을 잘 잡아 주셨고 저의 능력을 이끌어 내주셔서 제가 무사히 이번 연구를 마칠 수 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고민까지도 잘 들어주시고 조언 해주셔서 학위과정동안 마음을 잘 잡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연구하여 저희 교수님께 보답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저와 이번 연구에 공동 1저자이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 김태균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지난 수년간 잘 이끌어주시고, 피부에 대한 지식이 전무했던 저에게 실험부터 사소한 배경지식까지 알려주시며 늘 칭찬해주시고 제 사기를 북돋아 주셔서 연구를 잘 마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저는 정말 많은 분들의 도움을 받아 이번 연구를 무사히 수행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특히, 박테리아 16s-seq과 유전체 분석을 도와주신 한양대학교 노미나 교수님께도 정말 감사드린다고 전하고 싶습니다.
또한 저희 실험실의 정연욱 연구교수님과 성민, 승한, 다은, 태현, 경은, 우성이에게 지난 수년간 함께 동고동락하고 좋은 조언 주시고 도와주셔서 정말 감사하다는 말씀을 전달 드리고 싶고 저도 여러분께 도움을 드리고 싶습니다. 또한 제 사수이신 김민지 박사님께 제 학위 생활의 기초를 잡아주시고 모범을 보여주셔서 감사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저를 무조건 지지해주고 사랑해준 할머니 할아버지, 엄마 아빠 동생, 남편, 시부모님께 감사하고 사랑한다고 전하고 싶습니다. 또한 저를 지지해주고 응원해준 제 친구들 인화, 울, 혜원, 신영, 은빈, 지은에게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Allergic skin inflammation
# Early postnatal life
# Group 2 innate lymphoid cell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연구자 ID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