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이번에 영광스럽게도 한빛사논문으로 소개된 논문은 SPECT/CT가 갑상선암 환자의 치료 계획 및 확증적 판독 증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SPECT/CT는 핵의학 분야에서 이미 널리 쓰이고 있는 장비로서 핵의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특히 정확한 진단 및 치료 계획 수립에 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그동안 출판된 논문들의 연구방법과 대상이 다양하여 메타분석 시 논문들을 걸러내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습니다만 연구 과정 중 다양한 기관의 연구자들과 협력하면서 결국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었습니다. 갑상선암에서 SPECT/CT의 효용성에 대한 확고한 근거를 추가로 확보할 수 있었던 점에서 매우 의미있는 성과입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본 연구는 대한갑상선학회 진료지침제정위원회의 갑상선암 진료 권고안 개정 작업에서 핵의학 부문을 담당한 국내 여러 대학의 핵의학 교수들로 구성된 팀의 구성원으로서 진행하였습니다. 이 팀은, 갑상선암 진료의 최신 지침을 마련하는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병행하여, 핵의학분야의 각 주제들을 나눠 맡아 각자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경북대학교 이상우 교수님이 교신저자를 맡아주셨고, 세종충남대병원의 서영덕교수가 저와 공동 1저자를 하였습니다. 서울대 보라매 병원의 오소원 교수님과 많은 상의를 하였고, 분당 차병원 방지인 교수님, 국립암센터 박소현 교수님, 부산대 김근영 교수님, 경북대 홍재문 교수님 그리고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최미영 박사님이 공동 저자로 많은 도움을 주셨습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혼자 진행하는 연구도 재미있지만, 이번 연구처럼 다른 연구자들과 함께 협업하는 과정은 참 즐거운 경험이었습니다. 코로나 시즌에 겹쳐 진행했던 내용이라 주로 온라인 회의로 진행하였으며 주제를 나눠 각자 맡은 분야의 연구가 각각 완성 되가는 것이 서로에게 좋은 자극이 되었으며 뿌듯하였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핵의학은 끊임없이 발전하는 분야이므로, 지속적인 학습과 연구에 대한 열정이 중요합니다. 갑상선분야 이외 치매연구, 암 연구등의 매우 다양한 분야가 있으며 늘 새로운 시각의 연구, 검사, 치료들이 대두되므로 항상 흥미롭습니다. 다학제적 접근과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넓은 시야를 가지고 도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국 후배들이 들어오면 늘 해주는 말이 있는데 “다른 것은 몰라도, 재미는 보장한다”입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핵의학과는 대부분 각 병원마다 연구자들은 적으나, 참여해야 하는 분야들은 다양합니다. 저도 갑상선연구 이외에, 치매 연구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여러 어려움이 있지만, 성실하게 진행하고자 합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한빛사로 선정되어 매우 영광스럽습니다. 부끄럽습니다만 더욱 열심히 하도록 마음을 다잡는 계기를 주신 것으로 알겠습니다. 그리고 항상 믿고 응원해주는 가족들에게 사랑과 감사를 전합니다.
#Nuclear medicine
# SPECT/CT
# thyroid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