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줄기세포는 모든 종류의 기능 세포로 분화가 가능하여, 스스로 자기와 동일한 형태 및 능력을 가진 세포로 복제가 가능하며, 정맥 내 투여 시 손상된 부위를 스스로 찾아갈 수 있습니다. 줄기세포 치료제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암치료를 비롯한 대사질환, 퇴행성 질환 및 염증 질환 등 다양한 질환의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포 치료제에서 줄기세포 치료 분야 활성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많은 연구와 관심이 증가되고 있습니다.
줄기세포는 저산소 환경, 열,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물학적 자극과 같은 다양한 외부 자극에 노출 시 활성화되면서 다양한 측분비인자를 분비하게 되며, 줄기세포에 부여되는 자극의 종류나 세기에 따라 분비되는 측분비 인자는 달라지게 됩니다. 여러 외부 자극 중, 활성산소는 줄기세포의 증식, 분화, 생존, 사멸 등과 같이 줄기세포의 운명에 관여하는 필수요소로 활성산소에 의해 활성화된 줄기세포는 사이토카인, 성장인자 및 엑소좀과 같은 다양한 측분비인자를 발현하게 됩니다. 하지만, 활성산소는 40ns 미만의 매우 짧은 반감기를 지니고 20nm 이하의 거리에서만 화학적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제한점으로 인해 활성산소에 의한 줄기세포 활성화 연구가 부족한 실정입니다.
활성산소를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해 외부 자극의 파장, 세기 및 노출시간을 조절하여 시공간적으로 활성산소를 정밀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가톨릭대학교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의 생체의료용 나노소재연구실에서 나건 교수님의 지도 하에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약물전달학을 기반으로 하여 질병치료를 위해 바이오의약품, 세포 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항체 치료제 등의 다양한 방면의 폭넓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10년 넘게 광역학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암치료에 국한되지 않고 당뇨, 바이러스, 헬리코박터 등 연구범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저희 실험실은 입자 및 고분자 합성부터 세포 실험, 그리고 동물실험까지 전 과정을 수행하는 연구 특성을 지닙니다. 실험을 설계하고 진행하면서 결과를 얻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지만, 습득한 이론을 가지고 실험을 수행하면서 효과를 볼 때마다 뿌듯함과 보람을 느꼈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조언을 하기에 저도 많이 부족한 위치에 있어 조심스럽지만, 생명공학에 꿈을 가지고 있다면 그 마음 그대로 정진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주제를 잡고 실험을 처음부터 끝까지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힘든 날들이 있었지만, 이번 논문을 마무리하면서 이를 이겨내고 다시 실험대에 앉는 방법들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연구를 수행하면서 스트레스나 슬럼프가 오는 순간들이 있겠지만, 각자에 맞는 방법을 찾아 그 순간을 극복하고 목표를 향해 나아간다면 좋은 결과로 보상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활성산소를 통한 줄기세포 활성화 매커니즘을 분석하고, 이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 치료제 플랫폼 기술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좋은 연구자가 될 수 있도록 지도해주시는 나건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열심히 공부해서 자랑스러운 제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논문의 처음부터 마무리까지 많은 도움을 주신 김경섭 박사님, 부족한 저를 이끌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언제나 나를 믿고 응원해주는 든든한 정신적 지주 우리 엄마, 힘들고 슬플 때마다 옆에 있어주는 듬직한 우리 아빠. 그리고 해피 바이러스 하나뿐인 내 동생 규리 모두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Stem cell
# Cancer immunotherapy
# Photodynamic therapy
관련 링크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