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본 논문은 수술이 불가하거나, 전이가 있는 담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liposomal irinotecan을 사용 여부에 대해서 효과 및 이상반응을 연구한 임상연구입니다. 총 178명의 환자가 국내 5개 대학병원에서 참여한 연구로, 이 연구 결과의 1차 분석은 2년전 Lancet Oncology에서 발표가 되었습니다. 이번 JAMA Oncology에서 발표된 분석은 기존 발표에서 1년 4개월을 추가로 경과관찰을 하여 분석을 한 것입니다. Novelty자체는 떨어지는 부분이 있습니다만, 현재 이 약제가 국제 표준 치료 중 하나로 제안이 되고 있는 만큼, 더 긴 추적관찰을 통한 데이터가 환자 치료에 신뢰성을 가져다 줄 수 있음을 인정받았습니다. 몇년 전 까지만 하더라도 담도암은 희귀암에 아시아에서 흔한 암이라는 선입견이 강하여 신약 연구가 그리 많은 분야는 아니었으나, 기술을 발전으로 인한 여러 타겟 발굴로, 현재 소화기 암중 신약개발에 가장 핫한 분야가 되고 있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제가 근무하고 있는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간담췌암팀은 훌륭한 임상 진료 실적을 기반으로 신약 임상연구 및 중개 연구에서 국내 및 국외에서 benchmark로 고려되는 기관입니다. 환자 시료를 통한 새로운 타겟 확인 및 치료 예측 인자를 찾는 것에 집중을 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환자를 직접 진찰하고 치료하는 임상의사로서, 이러한 연구활동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환자들에게 도움을 드릴 수 있다는 것이 큰 보람입니다. 저희가 임상연구를 할 때, 환자 분들께 이 연구 참여 자체로서 직접적으로 도움을 받으실 수 있지만, 이후에 진단 받고 치료를 받으시는 환자분들께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말씀을 많이 드리곤 합니다. 실제로 이번 연구를 통하여 효과가 확립된 liposomal irinotecan은 NCCN과 같은 국제 가이드라인에도 치료 옵션 중 하나로 등재가 되어 있고, 국내에서도 사전신청요법으로 식약처 허가를 받아서, 치료 옵션이 제한적인 국내 담도암 환자분들께도 쓰이고 있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이 인터뷰가 주로 기초 실험실에서 근무하시는 분들에게 소개가 될 것 같아서 그에 맞춰서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저도 이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기가 조심스럽긴 합니다만, 최근 중개 연구의 경우에는 좋은 임상 데이터에 기반한 실험 연구가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 같습니다. 공동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 임상의사와 실험실 선생님들의 communication이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을 느끼고 있습니다. 따라서 중개 연구 쪽으로 진로를 잡으시려는 분들의 경우 임상의사들과의 미팅의 기회가 있다면 최대한 많이 발표 그리고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가져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현재 연구년으로 UCLA의 Translational Oncology Research Laboratory에서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선진 신약 개발 과정을 경험해보고 있습니다. 이 경험을 한국에 가져가고 싶습니다.
#간암
#췌담도암
#신약개발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