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루게릭병은 뇌와 척수의 운동신경세포가 사멸되어 발병 2-5년만에 사망에 이르는 치명적인 신경퇴행성질환으로 국내 연간 발생 환자는 500여 명, 유병 환자는 3,000여 명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오래 전부터 신체활동량이 많은 운동선수들에서 루게릭병 발생 빈도가 높고 BMI가 낮은 환자의 예후가 더 나쁘다는 관찰연구들이 있었고, 이에 따라 많은 루게릭병 연구자들이 nutrition 및 metabolism 관련 병인기전에 흥미를 가져왔습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루게릭병 환자의 복부 CT 영상으로부터 지방과 골격근량을 정량화하고 이것을 임상 지표들과 연관지어 fat depletion이 루게릭병의 독립적인 예후인자임을 밝힌 연구입니다. 이전까지 대부분의 체성분 분석 연구들이 사용했던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또는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의 단점을 극복하고, CT 영상으로부터 조직 volume을 직접적으로 측정하여 BMI, creatinine 등 이미 잘 알려진 지표들과의 correlation을 보여주어 리뷰어와 저널 에디터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서울대병원 입원의학센터 신경과에서 입원전담의로 근무하면서, 성정준 교수님 루게릭병 연구실의 일원으로 연구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실은 루게릭병/운동신경세포병, 근이영양증, 말초신경병, 중증근무력증 등 신경근육질환(Neuromuscular Disorders) 관련 임상-중개연구들을 수행하고 있으며, 저희 연구팀은 특히 루게릭병 중개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연구활동을 하면서 루게릭병을 질환 관점에서만 접근하게 되면, 한 명의 환자가 진단 이후에 겪는 어려움과 신체적, 심리적인 고통을 간과하기 쉬운 것 같습니다. 저는 의대에 입학한 2008년부터 한국루게릭병협회(http://kalsa.org/) 활동을 하면서 국내외 최신 연구결과들을 전하고 새로운 치료제가 국내에 신속하게 도입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이것은 제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보람을 느끼는 일들 중 하나입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국내에서 루게릭병을 진료하는 의료진의 대부분은 신경근육질환을 전공한 신경과 또는 재활의학과 의사이지만, 루게릭병은 신경근육질환임과 동시에 중추신경계를 침범하는 신경퇴행성질환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루게릭병에 비해 연구가 활발한 Dementia, Oncology 분야의 연구결과들을 참고하여 새로운 연구 아이디어를 얻기도 합니다. 질환의 한 쪽 측면 만을 바라보지 않고 다양한 시각을 가지고자 노력하면 연구활동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저는 루게릭병을 연구하는 의사과학자(Physician Scientist)로서의 커리어를 이어나가고자 합니다. 임상의로서 환자를 진료하면서 경험하는 임상적 관찰을 기전적, 인과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면서, 기초의학의 실험결과를 임상 적용 가능한 신기술로 전환하는 고리 역할을 하고 싶습니다. 아직 걸음마 단계이지만 최근에는 루게릭병의 immunopathogenesis 관련 연구들을 수행하고 있고, 장기적으로는 genetic architecture에 대해 공부해보고 싶습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오래 전부터 꿈꿔오던 루게릭병 연구를 할 수 있어 너무나 행복한 시간들을 보내고 있습니다. 항상 많은 가르침을 주시고 좋은 연구들을 해나갈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해주시고 격려해주시는 스승님 성정준 교수님과 홍윤호 교수님, 김성민 교수님께 감사 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또한 이번 AI 연구를 이끌어주신 영상의학과 이종혁 교수님과 윤순호 교수님께도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무한한 사랑과 응원을 보내주시는 가족들과 제 연구활동의 버팀목이 되어주시고 연구 아이디어를 주시는 아버지(故최창남)께 감사 말씀을 올립니다.
#루게릭병
# 체성분분석
# 지방감소증
관련 링크
연구자 ID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