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체세포의 세포주기는 G1, S, G2, M기로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이 중 M기는 핵분열과 세포질분열이 일어나는 유사분열기(mitosis)와 세포질분열기(cytokinesis)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비정상적으로 진행되면 unaligned chromosome, lagging chromosome, chromatin bridge 등에 의하여 micronucleation, multinucleation 등을 생성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염색체 불안정성(chromosomal instability)을 초래하게 됩니다. 염색체 불안정성의 축적되면 발달지연, 신경퇴화, 암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전부터 유사분열기를 타겟으로 하는 약물이 개발되어왔고 이를 통해 암 치료 등에 적용하려고 노력을 하지만 수많은 체세포분열기의 진행과 관련된 조절 기전이 완벽하게 파악되지 못하였기에 많은 연구가 더 필요합니다.
최근, 환경오염 중 미세입자(particulate matter, PM)에 의한 대기오염은 큰 사회적 이슈로 부상되고 있습니다. 미세입자의 흡입으로 폐질환은 물론이고, 초미세입자의 경우 심혈관계, 신경계, 비뇨생식기계 등 신체 여러 조직에 흡수되어 질병 발생을 초래하므로 이로 인한 의료적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미세입자는 세포에 다양한 유해성을 초래하는데 뿐만 아니라 유전자 손상을 통하여 암 형성에 기여한다고 알려졌습니다. 유전체 손상과 수복 차원에서는 그 기전이 많이 연구되어 왔지만, 염색체 수준에서의 손상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비하였고 특히 세포주기 중 염색체 분리가 일어나는 유사분열기에 미세입자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미비합니다.
따라서, 미세먼지에 의해 체세포분열기 영향을 연구하게 되었고 해당 논문을 통하여 유사분열기에 중요한 단백질인 Aurora kinase B의 활성이 유사분열기동안 정상적이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염색체 불안정성을 일으켜 최종적으로 암과 같은 질환을 유발시킨다는 내용을 제시하였고 이는 미세먼지에 의한 질병유발에 유사분열과정에서의 새로운 기전 규명 및 질환 치료 접근법 제시할 수 있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해당 논문에 관한 연구는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김자은 교수님의 분자암생물학연구실(https://sites.google.com/khu.ac.kr/labmcb/home?authuser=0)에서 진행하였습니다. 이 연구실에선 세포주기 혹은 유사분열과정 동안의 신호전달 기전 규명, 암 및 노화 조절에서의 번역 후 변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의 역할, 그리고 다양한 세포내 스트레스에 따른 번역 후 변형 규명 등의 큰 주제를 가지고 소속된 학생들이 각자 독립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교수님의 열정적인 지도하에 모두가 열심히 자신의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교수님께선 학생에게 많은 것을 알려주기 위해 노력하시고,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학생들과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서로의 아이디어를 정돈하여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도움을 주고 계십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암세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 중 하나인 무분별한 증식과 유전적 불안정성을 억제해주기 위하여 세포주기 특히, 유사분열기에 기전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학위과정에서부터 진행해오던 유사분열기 관련 기전 연구가 차후 암의 발병 및 치료 연구를 이해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으로 자부심과 보람을 느낍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실험 및 연구를 진행하면서 본인이 예상한대로 진행이 안될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저 역시 많은 어려움이 있었는데 그때마다 일희일비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그리고 성실하게 연구를 하신다면 각자가 생각한 목표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학위과정부터 현재까지 배우고 익혔던 지식을 가지고 세포주기 및 유사분열기 관련 연구와 더불어 더 다양한 분야에서의 도전을 통해 수많은 암 및 질병을 연구 및 치료하는데 있어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는 연구자가 되고 싶습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먼저 학위과정동안 늘 부족했던 저에게 많은 격려와 조언을 주셨던 김자은 교수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또한, 연구를 수행해 오는 긴 시간동안 함께 생활을 했던 실험실 선후배님들 그리고 연구하는데 도움을 주셨던 여러 교수님들 및 선생님들께도 감사의 말 전하고 싶습니다. 끝으로 제 결정을 지지해주시고 아낌없이 지원해 주셨던 사랑하는 부모님, 형, 형수님, 3명의 조카들 그리고 친구들까지 모두에게 감사함을 전하고 싶습니다.
#Cancer biology
# Mitosis
# Particulate matter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연구자 ID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