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미세조류는 광합성이 가능한 미생물로써, 다양한 이차대사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산업적인 측면에서 가장 단가가 높은 당원을 필수로 요구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세조류 유래 대사산물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어 동물사료 뿐만 아니라 화장품 소재, 건강보조식품으로서 폭 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산업적으로 미세조류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저는 그 중에서 미세조류가 자연환경에서 박테리아와 공생관계를 이룬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들의 상호작용을 파악하고 적용함으로써 미세조류의 생산성을 제고하고자 하였습니다. 사실 미세조류 뿐만 아니라 모든 생물체는 주변의 다른 생물체와 복잡하고 다양한 상호작용을 이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미생물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비단 미세조류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미생물의 산업화에 있어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바이오매스활용연구실은 미세조류의 산업화뿐만 아니라 유해 미세조류 제어까지 다양한 범위의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윤이 교수님의 지도 하에 다양한 실험이 수행되고 있으며, 물질 생산 증대를 위한 유도 기법, 균주 개발뿐만 아니라 타겟 물질 센싱에 관한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윤이 교수님께서 최대한 많은 기회를 주시려고 다방면으로 도와주시기 때문에, 다른 연구팀과의 교류도 활발히 이루어지는 편입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교수님의 전폭적인 지지 덕분에 하고 싶은 연구를 다방면으로 시도해 볼 수 있었습니다. 사실, 학위 과정 동안 처음 시도하는 다양한 새로운 실험을 다수 시도하였습니다. 실패의 여지가 있음에도 믿고 지지해 주신 교수님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 올립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사실 학위과정의 시작부터 끝까지 평탄한 길만 있다는 말은 거짓말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든 실험이 한 번에 성공하면 좋겠지만 현실에서는 실패가 더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모두들 실패에 좌절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주변 사람을 믿고 소통을 최대한 많이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라는 속담이 있듯이 많은 소통 과정이 있어야 더욱 올바른 길을 빠르게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미세조류와 관련된 다방면의 실험을 계획 중입니다. Symbiosis를 새롭게 구축하고자 하는 microbiome이 하나 있어 현재 시도 중에 있습니다. 또한 아직까지는 미세조류의 산업화에 많은 제한들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균주 개발도 진행 예정입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이렇게 좋은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또한, 논문 출판에 큰 도움을 주신 최윤이 교수님, 그리고 대학원 동료들에게 감사의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다들 멋진 연구자가 되어 사회에서 다시 재회하면 좋겠습니다.
#Microalgae
# Secondary metabolite
# Symbiosis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연구자 ID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