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플라스틱은 강한 내구성과 저렴한 생산 비용으로 여러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중 Polystyrene은 컵라면 용기나 일회용 음료컵, 도시락, 바다의 부표 등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사용된 플라스틱은 강이나 바다로 버려지고 있고, 버려진 플라스틱은 자외선, 파도, 바람과 같은 자연환경 요인에 의해 2차 미세플라스틱으로 잘게 부서집니다. 이렇게 생성된 미세플라스틱은 강이나 바다의 중금속 등의 유기물질을 흡착하기 쉽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미세플라스틱은 플랑크톤과 같은 하위 생물이 먹이로 착각하여 축적되고, 결국 먹이사슬의 상위에 있는 인간까지 위협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많은 연구들이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성에 대해 보고하고 있으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자연환경에서 생성된 2차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합니다. 또한, 본 연구실에서의 선행연구에 따르면, 미세플라스틱을 마우스에게 경구투여로 노출시켰을 때, Brain-Blood-Barrier를 통과하고, 뇌의 염증세포인 microglia cell이 탐식하여 축적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은 microglia cell의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뇌의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위험인자임을 확인하였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환경에서 생성되는 2차 미세플라스틱을 실험실 수준에서 모방하여 2차 미세플라스틱 모델을 확립하였으며, 이를 인간 미세아교 세포주 및 마우스에 노출시켜, 2차미세플라스틱이 미치는 영향을 프로테오믹스 분석법을 활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습니다. 2차 미세플라스틱의 노출은 뇌의 신경변성 및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미세아교세포의 염증성 마커의 발현은 증가시키고 항염증성 마커의 발현은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2차 미세플라스틱이 뇌의 잠재적 유해인자임을 제시하였습니다.
[그림. 2차 미세플라스틱의 물리화학적 변화 및 뇌의 염증반응 변화 모식도]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현재 저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핵심단백질자원센터(Core Protein Resources Center, CPRC)에서 최성균 센터장님의 지도하에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센터는 의료산업에 직간접적으로 사용되는 의료용 단백질 또는 효소를 개발하고자 하는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전문 인력에서부터 연구 개발 시설 및 기술까지 갖춘 기술 지원센터입니다. 또한, 난치성 질환의 바이오 마커 탐색 및 기전 연구 등 다양한 분야의 폭넓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연구활동이라 하기에는 아직 많이 짧은 기간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드는 생각은 이 세상에 배울 것들은 무궁무진하며 나이가 들어서도 안주하지 말고 계속 배우고자 하는 마음을 가져야겠다는 것을 많이 느끼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생각을 늘 마음에 새기면서 차근차근 발전해가는 연구자가 되고 싶습니다. 또 앞으로도 꾸준하게 맡은 바를 성실하게 하다 보면 이렇게 좋은 기회가 또 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제가 도움을 드릴 수 있는 말을 하는 위치에 있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요즘에는 방학기간에 연구실 인턴십 프로그램들이 아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이러한 좋은 기회를 적극 활용하셔서 본인이 생각했던 연구분야를 먼저 맛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연구나 실험을, 나만의 긴 터널을 만드는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각자 가진 도구와 터널의 모양과 길이는 다르겠지만, 꾸준하게 파다 보면 언젠가 마지막에 빛을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연구를 하면서 잘 안 풀리는 부분도 분명히 생기게 될 텐데 이럴 때는 혼자 고민하지 말고 주위에 연구실 분들과 많이 논의를 하다 보면 다른 관점에서 해결책을 찾을 수 있으니 꼭 주위 분들과 많은 이야기를 나누시면 좋겠습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현재 박사 과정 중인데 앞으로 진행 중인 연구를 잘 마무리해서 박사학위를 취득하는 것이 현재 목표이고, 박사학위 취득 후 학위에 걸맞은 연구자가 되는 것이 목표입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우선 많은 연구자분들의 꿈이기도 하며 저한테도 꿈인 한빛사에 이름이 실리게 되어 정말 영광입니다. 이렇게 제가 인터뷰를 할 수 있게 도와주신 분들이 많은데, 먼저 부족한 저를 좋은 환경에서 연구할 수 있게 해주신 최성균 센터장님과 유우경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현재 박사과정 동안 저에게 많은 가르침을 주시는 박진규 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늘 부족한 제가 물어보고 괴롭혀서 힘드실 박송, 이승우 박사님, 김완수, 지상호 연구원님들에게도 고맙다는 인사 전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Janbolat이 없었다면 이렇게 좋은 연구를 마무리할 수 없었을 것이기 때문에 정말 고맙다는 인사를 전하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늘 옆에서 아낌없이 응원해 주는 친구들과 늘 사랑해 주시고 믿어주시는 부모님과 언니 항상 사랑하고 감사합니다.
#microplastics
# proteomics
# weathered microplastics
관련 링크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