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그림: Nature Reviews Urology volume
Extracellular vesicles (EVs)는 세포에 의하여
분비된 지질 이중 층 구조의 소포체로써, protein, nucleic acids, lipids, metabolites 등을 cargo로 가지고 있습니다. EV가 세포막에 융합되면 내부 물질이 세포질 내로 전달되는 특성으로 인해 EV는 표적 물질의 전달에 용이합니다. 또한, 단일 물질이 아닌 다양한 치료 인자를 복합적으로 표적 세포에 전달할 뿐만 아니라 체내에서 오랜 기간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drug-delivery cargo로서도 최근 주목받고 있습니다.
저희는 이번 연구에서 mouse MSC-sEVs가 RORgt를 protein level에서 분해시켜 Th17 세포를 특이적으로 IL-17 low-producer cell로 변환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MSC-sEVs를 처리하였을 때 EAE 유도 마우스에서 clinical symptom 뿐만 아니라 draining lymph node와 central nervous system의 Th17 세포 수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저희는 MSC-sEVs의 새로운 immunosuppressive mechanism을 밝혀냈으며 Th17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inflammatory disease의 치료제로써 적용에 가능성을 보았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과 박정규 교수님 연구실 소속 박사과정생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과는 2007년에 서울의대의 여러 기초의학교실과 실험연구 및 첨단기술의 의학 적용에 매진하는 임상의학 교수님들이 뜻을 함께하면서 설립되었습니다. 대학원 운영의 기준을 높이 세우려는 서울의대의 전폭적 지지는 물론, 교육부 BK 사업 등을 통하여 대학원생들의 학업에 대한 최고 수준의 지원이 고르게 보장되고 있습니다.
박정규 교수님 연구실은 면역 관용을 주제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장기 이식 시 면역억제제의 사용은 많은 부작용을 야기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상적인 대안은 이식 장기 특이적 면역 관용을 유도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하여 조절 T 세포 및 Th17 세포 분화에 관한 연구, 더 나아가서는 이식 장기 특이적 조절 T 세포의 유도, CAR-Treg 개발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자가 면역 질환인 제1형 당뇨병의 완치 및 이종 췌도 이식의 임상적용을 목표로 연구하며, 특히 영장류에서의 이종 췌도 이식에서는 세계 최초로 이종 이식 임상적용이 가능한 우수한 결과를 인정받아 이 분야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마우스를 이용한 다양한 면역 질환 모델을 구축하여 T 세포를 중심으로 면역 세포들의 역할과 대사에 대한 연구,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의 exosome에 대한 연구, hybridoma를 통한 항체 생산, JAK3 inhibitor의 기전 연구 등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어제보다 조금이라도 더 나은 내가 되었다고 느낄 때 연구 활동을 하는 보람을 느낍니다. 실험이 잘 되지 않거나 결과 해석이 잘 되지 않다가 치열한 고민 끝에 드디어 트러블슈팅을 해내거나 답을 찾아냈을 때, 어제는 하지 못했던 것을 해낸 오늘의 나에게 자부심을 느끼지 않나 싶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저 또한 많이 부족하기에 어떤 말씀을 드려야 도움이 될지 많은 고민을 해보았습니다. 한 가지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연구를 하다 보면 좋은 결과를 얻는 날보다는 실패를 하고 좌절하는 날들이 더 많다는 것입니다. 그럴 때 무너지는 마음을 이겨내고 다시 의연한 마음으로 실험대에 앉는 것이 중요한데, 그러기 위해서는 주저 말고 실험실의 선후배들과 동기들, 그리고 지도 교수님과 함께 용기 내어 상황에 대해 얘기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솔직하게 마음을 터놓는 것만으로 상황을 타도할 수 있는 위로나 해결책을 얻을 수 있는 경우가 많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저의 첫 연구는 배양 환경에 따른 MSC-EV의 내용물 변화에 대한 연구였으며, 이번 논문에서 MSC-EV의 내용물을 이용한 Th17 세포의 기능 억제를 연구하였습니다. 해당 현상의 더 세부적인 메커니즘을 밝히는 연구를 앞으로 진행할 예정이며, Th17 세포에 국한하지 않고 Th1, Th2, Treg등의 다양한 면역 세포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EV와 그 후보 내용물을 발굴해보고자 합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우선 논문이 나오기까지 훌륭한 가르침으로 지도해주신 서울대학교 의과학과 박정규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관심가지고 도와주신 김현제 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연구뿐만 아니라 이런 저런 고민을 할 때마다 제 이야기를 들어주고 함께 해결책을 찾아준 실험실 동료들에게도 감사를 전합니다. 항상 자랑스러운 첫째딸로 믿어 주시며 기도로 응원해 주시는 부모님께도 무척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삶의 모든 일을 허락하신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Extracellular Vesicles (EVs)
# Mesenchymal Stem Cells (MSCs)
# Th17 cells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연구자 ID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