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Acute kidney injury(AKI) 는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로 입원한 환자의 사망률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pandemic이 시작된 이후 미국 내의 COVID-19-associated AKI의 전반적인 발생률, 지리적 분포 및 시간적 추세는 각 연구들의 데이터의 한계로 인해서 과소 연구되었습니다. 그리고 Kidney Disease Improving Global Outcomes (KDIGO)에서 제공하는 serum creatinine (SCr)을 이용한 방법이 실제로 적용되지 않아 많은 환자들이 사망하게 된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희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National COVID Cohort Collaborative (N3C)의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데이터를 이용해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짧게 결론을 말씀드리면, N3C의 EHR데이터를 통해서 COVID-19-associated AKI의 패턴을 보고했고, KDIGO의 SCr을 이용한 정의를 활용하는 것이 실제 환자들의 초기 대응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중요성을 보고했습니다.
사실, 이 논문의 모든 분석은 2021년 말에 완료되었는데, JAM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JAMA-Internal Medicine, Journal of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JASN), 그리고 Kidney International (KI)을 거쳐서 현재의 Clinic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CJASN)에 실리게 되었습니다. 위에 언급된 각 저널 들에서 table rejection없이, 적게는 3개 많게는 5개의 리뷰들을 각각 받으면서 시간이 많이 지체되었고, 결국 2023년에 공식적으로 발표되었습니다. 거의 2년의 시간 동안 revision을 했는데, 이렇게 시스템을 통한 신뢰의 중요성을 몸소 느끼게 되는 시간이었습니다. 좋은 저널에 논문을 발표하기 힘든 일임을 깨닫게 되는 시간이었고, 이를 통해서 과학적으로 생각하고 연구하는 법을 많이 배웠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제가 학부시절에 Stony Brook University Hospital의 Biomedical Informatics Department의 Richard Moffitt lab에 속해 있었습니다. 우선, Biomedical informatics department는 여러 연구기관들의 informatics departments들을 창립하신 Joel Saltz 교수님을 필두로 다양한 교수님들이 다양한 기술들을 실제 의료 데이터에 적용해서 질병의 진단, 예방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department입니다. 그 중에서 저는 췌장암 분야에서 Classical & Basal-like PDAC subtype을 보고한 Moffitt., et al (2015)의 일저자인 Richard Moffitt 의 랩에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자부심이나 보람은 보다는, 진짜 해도 해도 부족하구나를 많이 느낍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아마도 여기까지 찾아오셔서 이 인터뷰를 보시는 분이라면, 연구에 관심이 있는 분이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아직 아무것도 해보지 못하셨다면, 관심이 있거나 있을 수도 있는 주제를 선정하시고 최소 6개월 동안은 잘 배우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사실 기간보다 중요한 것은 내가 하는 일에 익숙해져 있는가를 기준으로 익숙해져 있다면, 그 후에 나는 연구를 하고싶다 아니다를 판단해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혹시라도 이미 연구를 하시는 분들 중에서 Bioinformatics나 Clinical informatics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본인의 주제에 해당하는 이 분야의 논문들을 찾고, 그 분야의 Review 논문들이나 최신 논문들의 Methods 부분들에 나와있는 open-source code들을 참고하면서 왜 특정 function들을 사용했는지 공부를 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현재 다양한 pancreatic adenocarcinoma (PDAC) 관련 연구와 COVID-19의 sequelae인 Long-COVID (PASC) 관련 연구의 논문 작업에 있습니다. 이 논문들을 모두 마무리 한 후에는 아마도 Kidney관련 질병들에 관한 연구와 PDAC 연구를 지속할 예정입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운이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부모님들 밑에서 자라면서 생각하는 방식을 익혔고, 좋은 친구들을 만나서 서로 좋은 발전을 이룰 수 있었습니다. 또한 좋은 스승을 만났고, 좋은 멘토들을 만나면서 많은 발전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서 감사함을 전하고 싶습니다. 유태성 박사님, 윤선애님, 그리고 유수영님, 감사합니다. Richard Moffitt, Ki Oh, Luke Torre-Healy, 곽민철님, 장성원님 감사합니다.
#COVID-19
# acute kidney injury (AKI)
# clinical informatics
관련 링크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