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본 논문은 ER stress시의 죽음을 BAX-inhibitor-1이 억제함을 시작으로 하는 연구로 ER stress로 인한 마이토콘드리아 경로의 죽음을 보호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동안 mitochondria경로와 receptor경로는 잘 설명이 되었지만 ER을 경유하는 죽음의 현상은 잘 밝혀 있지 않습니다. ER에 존재하는 단백질이 ER stress로 시작하는 죽음을 보호하고 궁극적으로 뇌에서의 허혈성 손상을 막을 수도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는 ER과 mitochondria의 연관 죽음 기전을 보여주고 있어 향후 세포고사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어 집니다.
2. 현 소속 기관이나 연구실 소개
제가 있었던 Burnham 연구소는 연구원 70여 명이 움직이는 거대한 연구실로 세포고사만 연구하는 연구실이었습니다. 연구소 자체의 여러 가지 기기와 그를 다루는 전체 기기 부서와의 긴밀한 협조가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즉 무슨 기기를 써야 하면 그 기기를 담당하는 교수급 전문가에게 pay를 하면 training부터 데이터 산출까지 얻을 수 있는 것이 매우 편리하였습니다. 우리나라도 그런 쪽으로 되어가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그러한 facility의 장은 교수는 아니지만 매우 좋은 안정된 job으로 인식된다는 사실입니다.
전북의대 약리학교실, 저희 연구실은 세포고사와 ischemia와 연관된 기전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3. 실험실에서의 연구생활 이야기
어린 아들 재워놓고 밤 중에 몰래 가서 실험하다 아파트 경비원이 밤에 집에 들어와서 아들 달래주며 기다리는 일, 울어서 옆집에 보관(?)하고 있다는 쪽지를 붙이고 아들 보아주는 친절한 이웃 아저씨, 엄마 아빠가 있는 실험실에 댓살 때부터 팁을 꽂아주는 도움(?)을 주는 착한 아들(주변에서는 집중력에 좋고 머리에 좋다는 위로도 있었지만...).
4. 과학자를 희망하는 후배 과학자에게 조언을 하신다면?
너무 하고 싶어서 좋아서 궁금해서 하는 일을 한다는 동기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5. 다른 하고 싶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Received for article August 17, 2004 |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연구자 ID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