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암의 발생과 진행은 에피제네틱 변화들의 축적에 의해 촉진된다는 보고들이 많습니다. 따라서 에피지네틱 과정을 조절하는 단백질들은 오래동안 암 치료제 개발을 위한 유망한 대상으로 간주되었습니다. 특히, BET 단백질은 전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에피지네틱 리더로서 중요합니다. BET 단백질에는 BRD2, BRD3, BRD4, BRDT가 포함되며, 이들은 다양한 종류의 암, 특히 유방암, 전립선암, 췌장암 및 혈액암 등에서 종양 세포의 생존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항암 효과가 기대되어 이미 많은 BET inhibitor들이 개발되었고, 일부는 임상 실험을 통해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하는 단계에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부작용 사례가 많은 관계로 안전하게 환자에게 투약할 수 있는 BET inhibitor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BET inhibitor에 대한 수요는 줄어들지 않고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희는 DNA-encoded library (DEL) 스크리닝이라는 새로운 플렛폼을 이용하여 BBC1115라는 새로운 BET inhibitor를 성공적으로 규명하였습니다. BBC1115는 기존 BET inhibitor들과는 구조적으로 다르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BET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타겟팅 하여 암세포의 성장, 분화 등을 억제하는 anti-cancer drug로서의 잠재력을 보였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암유전자 조절 연구실에서 노재석 교수님의 지도 하에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저희 실험실은 주로 후성유전학을 기반으로 한 암생물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백혈병과 췌장암에 집중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자생물학적 실험 기법들을 통해 암의 발생 및 확산의 기전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실험부터 논문 작성까지 단 한순간도 쉬웠던 순간이 없었지만, 긴 싸움 끝에 논문이 세상에 나와서 다른 사람들에게 소개가 되었다는 점이 무척 보람됩니다. 처음 베노바이오에서 퀵으로 보내준 약물을 받았을 때는 논문까지 쓸 수 있으리라 생각은 하지 못했는데, 교수님의 지도 덕분에 불가능하게 느껴졌던 것들이 기능해졌습니다. 실험을 하나하나 해낼수록 항암제로 사용될 수 있는 약물을 찾아내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설레었던 것 같습니다. 추후에 optimization을 통해 환자들에게 사용이 될 수 있는 약물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연구를 하면서는 성공을 하는 날보다 실패를 하고 좌절하는 날들이 더 많지만, 슬기롭게 이겨내고 다시 실험대에 앉는 법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논문을 열심히 읽고 좋은 실험을 구상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여길 수도 있지만, 저는 꺾이지 않는 마음이 더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실험이 원하는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더라도 반복해서 새로운 시도를 해보고, 벽을 마주했을 때는 돌아가는 법을 찾는 융통성을 갖아야 연구활동을 오래오래 행복하게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대학원 진학 전에 다양한 실험실 환경을 경험하며 이런 부분에 대해서 충분히 고민을 해본 후 입학을 결정 해보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저는 논문 작업을 마무리하고 학위를 마친 상태이기 때문에 BBC1115와 관련된 연구는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지만, 다른 연구원분들께서 이 약물의 적용 범위를 확장해주시고 계십니다. 암에서 멈추지 않고 BET inhibitor가 임상효과를 보일 수 있는 다른 질병에서도 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할 것입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졸업 전에 논문을 낼 수 있을 것이라고는 생각을 못했었는데 그것을 가능하게 해주신 저의 지도교수님께 가장 먼저 감사드립니다. 저희가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신 베노바이오 관계자들 모두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실험이 막혀서 고민을 할 때마다 제 이야기를 들어주고 함께 해결책을 찾아준 실험실 동료들과 멋진 논문이 나왔다고 뿌듯해하신 우리 부모님께 무척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논문 준비를 하며 바빠서 잘 놀아주지 못한 저의 아들 같은 반려묘 푸딩이에게 항상 미안하고 고맙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앞으로도 연구활동을 하며 제 주변에 지금만큼이나 좋은 사람들이 있기를 바랄 뿐입니다. 모두 감사합니다.
#DNA-encoded library (DEL)
# BET protein
# Epigenetic therapy
관련 링크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