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자가면역 질환 중 하나인 류마티스 관절염은 시트룰린화된 자가 항원을 인지하는 항체를 분비하는 B 세포와 이 과정을 돕는 CD4+ T 세포에 의해 질환이 발생하며 악화된다고 잘 알려져 왔습니다. 이러한 자가 항원의 인지는 다양한 유전적,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특히 anti-citrullinated protein/peptide antibody (ACPA)를 보유하고 있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경우에는 HLA-DR region에 시트룰린화 된 자가 항원이 로딩되어 자가 항원을 인지하는 CD4+ T 세포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세포 표면 분자를 통한 세포 인지 혹은 다양한 사멸 유도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직접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CD8+ T 세포의 경우에는 암 미세환경에서의 연구가 주로 진행되어 왔지만, 최근 다양한 자가면역 질환에서 이 세포의 기능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고 있습니다. 자가면역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자가 항원을 인지하는 CD8+ T 세포의 비율이 높아져 있고, 이 들의 과도한 활성화로 인해 자가 항원을 발현하는 세포 혹은 조직을 직접적으로 파괴하는 역할을 하여 자가면역 질환을 악화시킨다는 결과가 발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는 이러한 CD8+ T 세포의 표현형, 항원 인지 여부, 역할에 대해 밝혀져 있지 않아 저희 연구진은 본 연구를 통해 류마티스 관절염의 원인으로써 CD8+ T 세포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저희 연구진은 ACPA를 발현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혈액에서 ACPA를 발현하지 않는 환자 그리고 정상인에 비해 CD8+ T 세포의 비율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이 세포들이 활성화된 상태로 세포 사멸 유도 사이토카인을 높게 발현하며 특정 클론이 확장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CD8+ T 세포가 특정 항원을 인지하여 활성화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CD4+ T 세포와 같이 시트룰린화 된 자가 항원을 처리하였을 때 CD8+ T 세포가 활성화되며 타겟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ACPA를 보유하고 있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내에서 CD8+ T 세포가 자가 항원에 의해 활성화되며 직접적으로 자가 세포/조직을 파괴하여 관절 내 염증 반응을 유도한다는 것을 규명하였습니다.
이번 연구의 성과는 기존에 밝혀져 있지 않은 CD8+ T 세포에 의한 자가면역 질환의 발병 기작을 규명한 것이며, 나아가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자가 항원에 의해 활성화된 특정 CD8+ T 세포를 타겟하여 자가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Stanford Medicine내의 Immunology and Rheumatology 학과는 전반적으로 자가면역 질환 혹은 염증 질환의 기작 및 특정 세포를 타겟하는 치료제를 개발하는 다양한 연구실들이 모여있습니다. 이 곳에서 저는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등에서 자가면역 염증을 유도하는 B 세포 혹은 T 세포의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연구하는 William Robinson 교수 연구실에서 포스닥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이 곳에서 다양한 연구 tool을 이용하여 환자 샘플을 분석하고, 다른 연구자들과 소통을 통해 다른 시각에서 연구에 대한 조언을 들으며 연구하고 있습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한국에서 박사과정을 마치고 미국에 나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연구를 하면서 힘든 점도 있었지만 훌륭한 PI와 동료들 덕분에 좀 더 좋은 연구자가 되어가고 있다는 보람을 느끼고 있습니다. 또한 실제로 임상에서 적용될 수 있는 타겟을 찾고 치료제를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단계의 연구를 하다 보니 매순간 동기부여가 되고, 보다 더 많은 환자들에게 저의 연구가 필요할 수 있겠다는 사명감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모든 순간이 쉽다고 생각한 적은 없었습니다. 어려움을 겪는 순간 마다 저의 최대한의 노력을 통해 이를 극복하려고 생각하였고, 실패라고 생각하지 않고 묵묵하게 저의 길을 걸어나갔습니다.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혹은 유학을 준비하시는 분들께서도 나만 잘 안된다는 생각에 어려움을 겪지 마시고, 꾸준히 노력한다면 모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본 논문에서 밝혀내지 못한 mechanism study를 마무리 짓는 것이 현재 가지고 있는 1차 목표입니다. 아직까지 어떤 기작을 통해 CD8+ T cell이 RA 환자 내에서 자가 항원을 인지할 수 있는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기전과 더불어 CD8+ T cell의 활성화를 돕는 세포를 타겟하여 이를 저해하는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최종 목표입니다. 더불어 저의 career development를 위해 다양한 곳에서 저의 연구에 대해 발표하고 피드백을 들으며 새로운 연구 방향에 대해 찾아가고자 합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본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 멘토로서 여러 조언을 주신 Bill Robinson 교수님 및 연구실 동료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습니다. 또한 박사 과정 중에 훌륭한 연구 지도로, 그리고 저의 인생에 대해 조언을 아끼지 않으신 이상규 교수님과 이상원 교수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Rheumatoid arthritis
#CD8+ T cells
#Synovitis
관련 링크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