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암은 주요한 사망 원인으로 2040년까지 연간 새로운 암종이 2,950만 건으로 증가하고 암 관련 사망자 수는 1,64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암치료를 위해 화학항암요법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약물 부작용과 내성을 갖는 암의 등장으로 인해 치료효과가 반감되거나 환자의 삶의 질을 감소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화학항암요법의 한계 및 부작용을 극복하고 효과적으로 암을 치료하기 위해 수소펌프저해제와 항암제를 동시 봉입하는 제형으로서 리포좀을 개발하려고 했습니다. 리포좀은 인지질 등의 지질막으로 구성된 구형 소포체로서 친수성, 소수성 약물을 모두 봉입할 수 있는 제제로 이미 실용화된 사례가 있습니다. 항암제와 리포좀에 같이 봉입될 수소 펌프 저해제는 임상에서 위산 억제제로 알려졌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산성인 암 환경에 큰 역할을 하는 V-ATPase를 억제하고 약제내성의 주요원인인 P-gp를 저해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수소펌프저해제와 항암제를 생체 적합한 제형인 리포좀에 봉입함으로써 산성 암환경과 약제내성을 극복하는 뿐만 아니라 체내 독성을 줄이고 투여 시 약물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리포좀 제형을 개발했습니다. 향후 본 연구결과가 항암치료에 전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약물에 내성을 갖는 암에 대한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본 연구가 수행된 가톨릭대학교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Bio Medical-Chemical Engineering, BMCE) 나건 교수 연구팀은, 생체재료를 통한 광역학 치료, 다양한 형태의 약물전달스템, 생체내 이미징, 중재 의료기기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암, 대사질환, 바이러스·박테리아 감염 등 다양한 질병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광역학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생체의료용 나노 소재 연구실(http://kna2011.cafe24.com)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제형 설계 및 분석부터 동물 실험에서의 유효성 평가 실험까지의 전 과정을 수행하면서 실험 결과에 대한 부담감이 있었지만, 연구에 대한 가정을 실험을 하며 단계적으로 밝혀 나가 논문이라는 결과로 나왔을 때 보람을 느꼈습니다.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공을 들여 연구에 대한 가설을 결과로써 도출했을 때 자부심을 느끼는 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처음 대학원에 진학했을 때 실험에 서툴러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생명공학 관련 과에 진학한 학부생이라면 대학원 진학을 한번이라도 고민해 보셨을 진로라고 생각합니다. 연구에 대한 폭넓은 생각을 위한 배경지식도 중요하지만 이를 이끌어 나가기 위한 실험에 대한 수행능력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대학원 진학 전 관심있는 연구분야에 교수님의 연구실에서 학부연구생 실습과정을 수행하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암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병에서 치료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약물전달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연구실에서의 연구가 상용화 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기를 바랍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연구를 올바른 방향으로 지도해주신 나건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논문의 공동 저자인 김경섭 박사님께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습니다. 항상 응원해주고 도와주는 생체의료용 나노 소재 연구실 동료들 고맙습니다.
제가 무엇을 하던 항상 응원해주고 격려해주시는 아버지, 어머니, 동생 모두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
관련 링크
연구자 ID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