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연골은 뼈와 달리 혈관이 없어 자가 재생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연골의 재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본 연구는 연골과 유사한 ECM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조직 재생용 생체재료를 제작하였습니다. 이를 이용해 줄기세포를 전달하여 손상된 연골과 더불어 뼈조직의 향상된 재생 효과를 확인하였습니다. 조직의 손상된 부위는 모양과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외부환경과의 차단도 중요합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손상된 부위를 충분히 채워주기 위해서 주입할 수 있는 hydrogel 형태로 제작하였습니다. 이 hydrogel은 액체 상태로 존재하지만, 특정 온도 이상이 되면 gel 상태가 되기 때문에 줄기세포를 액체 상태에서 섞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손상된 부위에 주입하였을 때 gel 상태가 되기 때문에 흘러내리지 않고 줄기세포를 고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hydrogel에 GFOGER 펩타이드를 도입함으로써 줄기세포의 부착 능력 및 분화 능력을 향상해 그 재생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현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의 세포조직공학 연구소에 소속해 있고, 의·생명 건강과학과 통합 과정을 밟으며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세포조직공학 연구소는 생물학, 화학 그리고 공학이 융합되어 실질적으로 의료분야에 적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시각으로 접근하며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생체재료를 이용하여 조직 재생 및 약물 전달에 초점을 맞춰 다양한 연구를 디자인하며, 연구소장이신 전흥재 교수님과 여러 공동연구팀과의 협업을 통해 실제 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체화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처음 연구를 시작할 때, 실험을 디자인하고 한 단계씩 계획대로 진행하면 순조롭게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거로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실험을 하나씩 할 때마다 시행착오도 많았고, 생각지도 못한 어려운 순간들이 많았습니다. 교수님과 연구실 동료들의 도움을 얻어 가며 하나의 결과물이 만들어질 때마다 보람을 느껴 하나의 논문이 만들어질 때까지 지치지 않고 마무리 지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연구를 수행할 때 과정을 잘 다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눈으로 보이는 결과물이 생겼을 때 느껴지는 성취감이 더 나아갈 수 있는 힘이 되는 것 같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제가 속해 있는 세포조직공학 연구소는 생물학, 화학 그리고 공학이 융합되어 있는 연구를 하는 곳입니다. 한 가지 주제로 연구하더라도 특정 분야에 치우치지 않고, 다양한 시각과 견해를 넓힐 수 있는 경험을 하였습니다. 과학에서 기초 학문이 중요하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습니다. 그러나 대학원을 진학하려는 학생이라면 학부 과정에서 기초 학문을 집중해서 충분히 다지고, 대학원은 융합학문에 도전해 보는 것도 좋은 방향이라 생각됩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저는 현재 학위를 마무리하며, 그 연장선에서 박사 후 연구원 과정을 시작하였습니다. 학위과정을 마무리하면서 하나의 프로젝트의 처음부터 마무리까지 모든 단계를 경험했습니다. 지금까지는 한 단계를 밟아갈 때마다 그 단계만 보면서 나아갔다면, 앞으로는 전체적인 그림을 그려보고 그 안에서 한 단계씩 나아가는 연구자가 되고 싶습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이 연구는 제가 처음부터 끝까지 애정을 가지고 마무리한 첫 결과입니다. 그 과정 동안 연구 방향성을 제시해 주시고, 격려를 아끼지 않으셨던 전흥재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그리고 많은 도움과 귀한 시간을 내어 주신 연구소 식구들과 연구원 선생님들께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항상 자부심을 느끼고 살아갈 수 있게 저의 든든한 편이 되어 주시는 사랑하는 부모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Tissue engineering
#Biomaterials
#Regenerative medicine
관련 링크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