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폐암은 많이 발병되는 암 중 하나이며, 난치성 암종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발생된 폐암의 크기에 따라 비소세포 폐암과 소세포 폐암으로 나뉘게 되는데, 소세포 폐암은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만 성장 속도 및 전이 속도가 빠르다보니 수술적 치료가 어려워, 화학요법으로 치료합니다. 하지만 지속적인 치료로 인해 약물내성 작용이 증가되어 multidrug resistacne(MDR)가 유발되며, 세포 내부로 들어온 항암약물들이 efflux pump에 의해 배출되게 됩니다. 본 연구에서 특정 크기의 카본나노튜브(CNT)를 나노전달체로 사용하여 Doxorubicin(DOX)과 공유결합 후 다중약물 내성 소세포 폐암의 세포사멸을 유도한다고 가설을 세우고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CNT와 공유 결합된 DOX는 약물 내성 소세포 폐암세포의 MDR에 의해 배출되지 않고 내부에 계속 남아 ATP를 꾸준히 소모하는 상태로 만들어 mitochondria에 데미지를 주어 결국 DOX 약물내성 소세포 폐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였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본 연구는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나노의학연구실 강동우 교수님 지도하에 수행하였습니다. 나노의학연구실은 나노 및 세포치료제 복합기술을 이용하여 난치성 종양 및 면역 관련 질환들을 치료하는 연구를 합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석사학위 기간 동안 동물 실험과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게 되면서 좌절을 여러번 하였지만, 그 순간들을 이겨내면서 성장하게 되었고 좋은 연구 결과로 인해 좋은 논문을 낼 수 있어서 매우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학부생 때와는 다르게 대학원을 진학 후의 연구 과정은 어렵고 반복적인 과정의 연속인듯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들을 인내하고, 이겨내면서 자기 자신을 믿고 꾸준히 연구를 한다면 좋은 연구결과와 논문을 발표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현재는 회사로 취업을 하여 조금 더 실용성 있는 다양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그 중 줄기세포의 특성을 파악하여 맞춤형으로 개발한 배양액 및 엑소좀 연구 계획이 있습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논문을 게재하기까지 정말 많은 분들이 도와주셨습니다. 그 중 공동 1저자로서 힘을 보태주신 박준영 박사님과, 좋은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해주신 강동우 교수님께 감사하다는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좌절하고 포기하고 싶어질 때마다 좋은 말과 버틸 수 있는 힘을 준 신민준 형과 준영이와 용규, 수현이, 근혜, 현강 선생님께도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Carbon nanotube
#Doxorubicin
#Multidrug resistance small cell lung cancer
관련 링크
연구자 ID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