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DNA는 생명체의 유전정보를 저장하는 중요한 물질입니다. 만약 다양한 내외부적 요인에 의해 DNA 손상이 일어나 적절히 복구되지 않을 경우 유전적 불안정성을 야기하여 암, 면역질환 등 여러가지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DNA 손상 복구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기능을 찾고 규명하는 것은 암 발생 억제 및 암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두 가닥의 DNA 사이에서 공유결합이 일어난 DNA Interstrand crosslink (ICL)의 복구에 ZNF212 단백질이 관여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확인하였습니다. DNA ICL은 DNA의 복제와 전사를 막고 DNA의 절단을 초래하여 치명적인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인간 세포에서 ICL 복구 기작은 아직까지 그 기작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기에 이에 관여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밝히고 그 기능을 연구하는 것으로 유전체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기작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울산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김홍태 교수님 연구실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저희 연구실은 암/유전자손상반응 연구실로 현재 4명의 박사 후 연구원과 3명의 대학원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1) DNA 손상 반응에 관여하는 새로운 단백질과 2) 백혈병의 발병 및 진행에 관여하는 표적 단백질을 찾고 그 기능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이번 연구는 제 학위과정 초창기 때부터 진행하여 학위 과정의 대부분의 시간 동안 함께해온 프로젝트입니다. 오랜 시간 진행했던 주제인 만큼 많은 좌절과 인내의 시간이 있었지만 마침내 좋은 결실을 맺었다는 사실이 정말로 기쁩니다. 또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것을 찾아내고 연구하는 과정에서 이 분야의 발전에 조금이지만 기여했다는 사실에 보람을 느꼈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저는 생명과학이 쉬운 분야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실험을 준비하는 과정부터 결과를 얻기까지의 시간도 상대적으로 긴 편이고 늦은 밤, 혹은 주말이나 공휴일에도 매번 실험 일정이 잡혀 약속을 잡기도 힘든 편입니다. 또한 실험 결과가 예상과 다른 경우가 부지기수이고 어째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상상도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에 충분한 각오와 열정을 가지고 도전하셨으면 합니다. 생명과학은 시간을 투자하는 만큼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포기하지 않고 노력한다면 반드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무수히 많은 단백질들이 DNA 손상 복구에 관여한다고 알려졌으나 아직도 계속해서 새로운 단백질들이 이에 관여한다고 밝혀지고 있습니다. 저는 앞으로도 DNA 손상 복구 반응에 관여하나 기존에 연구되지 않은 새로운 단백질들을 찾고 그 기능과 작동 기작을 연구하고 싶습니다. 또한 이렇게 찾아낸 새로운 단백질들이 암 발병의 원인이 된다면 이를 대상으로 하는 치료제 개발에 연결을 지어 치료제 개발에도 도움이 되고 싶습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먼저 지도교수님이신 김홍태 교수님께 감사 인사를 전하고 싶습니다. 학부 연구생 때부터 박사과정을 마치는 지금까지도 교수님의 열정을 보면서 저의 부족한 부분을 느끼고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함께 공동연구를 진행하시며 많은 조언을 주시고 아낌없이 도와주신 숙명여대 김용환 교수님께도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또한 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신 IBS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 명경재 단장님과 IBS 연구원님들께도 감사 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항상 열정적으로 함께 해주신 co-first 저자님들과 공저자님들께도 감사 인사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많은 도움을 주신 저희 암/유전자손상반응 실험실 박사님들, 선후배님들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DNA damage repair
#Interstrand crosslink
#ZNF212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연구자 ID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