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올 10월에 Diabetes에 게재된 저희 논문은 Glucagon Receptor signal이 insulin signal과 만나게 되면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insulin sensitivity를 증가시킨다는 저희 실험실에서 발표한 기존의 발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으로 여기에 mTOR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내용입니다. Glucagon은 체내에서 혈당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나쁜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antibody, antagonist같은 방법으로 Glucagon Receptor signal을 차단하면 혈당 상승을 막을 수 있는 당연한 결과들이 발표되었지만 이런 접근법의 부작용이라고 할 수 있는 췌장에서 insulin을 분비하는 세포의 비대증과 고지혈증이 문제로 알려져 있습니다. 저희 실험실에서는 지금까지 Glucagon의 긍정적인 부분에 대해 연구해 온 결과 2018년도에 Diabetes에 두 편의 논문을 게재하게 되었습니다. 한 편은 Glucagon이 생쥐 모델에서 에너지 대사를 증가시키는데 FGF21과 FXR이 일정부분 기여한다는 내용이고, 다른 한 편은 Glucagon이 insulin sensitivity를 향상시키는데 pAKT Ser473이 크게 증가한다는 발견이었습니다. 지금 진행하고 있는 연구 방향은 Glucagon Receptor와 Insulin Receptor signaling사이에 어떤 molecular mechanism이 관여하는가를 밝혀내는 것인데, 마우스 간 세포를 분리해서 kinomics analysis로 몇 가지 후보 단밸질들을 발견하여 inhibitor들을 처리하였을 때 Glucagon 과 Insulin 사이의 synergic 효과가 사라지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앞으로 마우스 모델들을 가지고 insulin sensitivity에 미치는 효과를 밝힐 계획입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제가 소속되어 있는 University of Alabama at Birmingham (UAB)은 미국 동남부의 알라바마주에 위치한 주립대학으로 School of Medicine은 NIH 연구비 획득에서는 2018년 기준 전미 21위에 랭크되었고 차츰 그 순위가 오르고 있습니다. NIH에서 연구비를 지원받는 당뇨병 연구센터 (UCDC, DRC)가 있으며 저는 Dr. Kirk Habegger 실험실에 2015년에 합류하여 지금까지 이 주제로 연구해 오고 있으며, 마우스에서 glucose clamp study를 할 수 있게 셋업해서 코어랩 서비스도 운용하고 있습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원래 박사과정은 pathobiology를 했었는데 이런 저런 분야를 경험하면서 당뇨병 연구에까지 오게되었습니다. 한 분야에 오래 머물면서 많은 연구과제들을 일관되게 하게 되었고 그 연구 방향이 단순히 학계에 발표하는데 그치지 않고 최근에는 바이오 산업과도 연계되어 큰 의약적인 성과를 낼 것으로 전망되어 기초연구가 임상에서 활용된다는 자부심을 가지게 됩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주변에 한국에서 유학와 박사학위만 마치고 고향이 그리워 국내로 일찍 돌아가거나 미국에 와서 연구원으로 근무하다가 한국에 돌아가서 바이오 산업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분들도 보았고, 연구원으로 미국에 나와서 정착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아직 성공이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한 분야에 오래 머물다 보면 길이 보이는 법이니 외국 생활이 결코 만만하지 않지만, 인내심을 가지고 많이 배우겠다는 자세라면 한 번 꼭 해외로 나와 보라고 추천하고 싶습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이 분야에서 저명한 분들이 협업을 제안해 오는 일도 있으니 앞으로도 미국 당뇨병 학회에 기회가 닿는대로 발표를 할 계획입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요즈음은 한국 바이오 연구도 세계적인 석학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교류도 활발해서 한국에 대해 알고 있는 교수들이 더러 있습니다. 가능하면 국내 학회에서 많은 외국인 연구자들을 초청해서 연구 동향도 파악하는 기회를 늘려달라는 주문을 하고 싶습니다.
#Glucagon
#Incretin
#Glucose clamp
관련 링크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