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현 University of Kansas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약물전달의 대표적인 방법인 알약, 주사제 등 제형의 발전에 이어 디바이스를 통한 약물전달이 많은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특히 소속 연구실 에서 발표된 경구 인슐린 전달 디바이스 (Abramson et al. Science 2019) 및 위장내에서 장기간 약물을 방출하는 디바이스 (Kirtane et al,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2019) 등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 저와 implantable device, gastric resident device 전문가인 이승호 박사가 방광에서 장기간 약물을 전달하는 디바이스를 만드는 아이디어를 내어 프로젝트를 시작하였습니다. 인간 방광의 크기와 유사한 60-80 kg 정도의 돼지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동물실험을 도와주는 연구원 및 수의사 님이 계셨지만 중간에 COVID 등으로 인하여 이승호 박사와 제가 직접 돼지 우리에 들어가서 마취를 시키는등 힘들었지만 돌이켜보면 재밌는 순간들이 있었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MIT Robert Langer 교수님 연구실에서 Giovanni Traverso 교수님과 함께 공동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Langer Lab 에서는 약물전달, 생체재료, 재생의학, 의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진행중입니다. 포스닥 연구원, 박사과정 학생 및 HPLC, LC/MS 를 전담하는 연구원, 동물 실험을 도와주는 연구원등 전문분야를 담당하는 연구원들이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중입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연구를 진행할때 Bench to Bed 즉 연구의 결과물이 Translational/Clinical study로의 진행이 가능하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합니다. 이를 위해 Intellectual Property (IP) 를 중시하며, 연구 시작부터 마무리 까지 Technical License Officer 들과 함께 과학 외적인 부분들을 진행하는 것이 흥미로웠습니다. 그 결과 많은 졸업생들이 창업을 하며, 교수님께서도 이를 장려하시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저희가 개발한 device 를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의 Urology clinician 등에게 피드백을 받으며 개선해나가는 것도 즐거운 경험이었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학부, 석사 등의 전공에 상관 없이 연구 분야에 관심을 가지면 좋을 듯 합니다. 최근에는 공동연구를 통하여 두가지 이상의 전문분야들이 융합하여 진행되기에, 새로운 분야로의 입문에 두려워 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저는 올해 8월 University of Kansas 의 Department of Pharmaceutical Chemistry 에 조교수로 임용이 되서 독립된 연구를 시작하였습니다. 앞으로는 biologics (DNA/RNA, peptide, antibody) 등을 CNS, GI-tract 등 전달하기 어려운 타켓으로 효율적으로 전달 가능한 플랫폼을 만드는 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또한 면역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약물 스크리닝 및 생체재료 개발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현재 같이 연구를 진행할 박사과정 및 포스닥 박사님들을 모집중입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kimx@ku.edu 로 연락 바랍니다.
(링크딘: https://www.linkedin.com/in/kimxlab/, 구글 스콜라: https://scholar.google.com/citations?user=0fJCIpUAAAAJ&hl=en&oi=sra)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먼저 공동연구를 진행한 공동 1저자 이승호 박사에게 감사합니다. 힘든 과정들도 있었지만 늘 긍정적인 자세로 앞으로 해야할일, 그리고 개선되어야 할점을 꾸준히 이야기할 수 있었고,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해주신 MIT 의 Robert Langer, Giovanni Traverso 교수님께 감사드리며, 저의 박사지도교수님 Jayanth Panyam 교수님, 면역학 멘토이신 Thomas Griffith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저를 늘 응원해주시는 부모님, 장인, 장모님, 가족들 그리고 사랑하는 아내 엄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Drug delivery
#Medical device
#Pharmaceutics
관련 링크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