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DBC1 (Deleted in breast cancer 1)은 저희 연구실을 포함한 여러 연구실에서 epigenetic modifiers의 활성에 관여하여 transcription factor의 전사활성을 조절하며 다양한 암에서 중요한 signaling의 유전자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연구되었습니다. 하지만 유전자 발현에 중요한 조절기전 중 하나인 histone modification에 대한 DBC1의 역할은 연구된 바가 없었습니다.
이번 논문에서 DBC1이 histone H3K4 methyltransferase인 KMT2D와 histone H3 acetyltransferase인 p300에 직접적으로 결합하여 효소활성 및 cross-talk을 강화하고 super-enhancer(SE)로의 recruitment를 향상하여 SE 활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보고하였습니다. 또한 이러한 기전으로 DBC1이 Wnt/β-catenin signaling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DBC1을 histone epigenomic modifiers의 활성을 조절을 통해 유전자발현을 fine-tuning하는 새로운 핵심조절자로서 발굴하고, 새로운 후성유전학적 전사조절 기전을 규명했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현재 성균관대학교 삼성융합의과학원 융합의과학과 김정훈 교수님 연구실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있습니다. 저희 실험실은 유전자발현의 첫번째 단계인 transcription에 대해 연구하며, 그 중에서도 transcription factor를 도와 전사조절에 관여하는 coactivator라는 기능을 하는 단백질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실은 분자생물학적 실험법과 NGS 기법을 이용하여 유전자발현의 메커니즘을 규명하며, 교수님의 열정적인 지도하에 좋은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실의 가장 큰 장점은 교수님께서 항상 학생 곁에서 discussion하고 아낌없는 지원을 해준다는 점입니다. 이로 인해 실패에 대한 두려움 보다는 questions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즐거운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연구는 아무도 하지 않은 새로운 사실을 밝히는 것이기 때문에 쉽지 않은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어려운 만큼 성취감은 더 크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이번 논문을 준비하면서 가장 큰 산이었던 ChIP-sequencing을 수행하며 깊은 좌절을 맛보기도 했지만, 성공했을 때는 성장했다는 기분과 함께 보람을 동시에 느낄 수 있었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지도교수님이신 김정훈 교수님께서 제가 학위를 시작할 때쯤 하셨던 말씀이 저를 멈추지 않게 하는 원동력이 됐습니다. 그 말은 “너의 잠재력이 어디까지 인지 아무도 모른다. 해보기 전까지는.” 이었습니다. 무엇이든 시작하는 이에게는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작은 것 하나 하나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목표를 향해 묵묵히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셨으면 합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DBC1의 후성유전학적 전사조절에 대한 역할 연구를 지속할 예정입니다. DBC1의 새로운 binding partner를 찾고, 지금까지 DBC1과 관계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PTMs(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에 대한 DBC1의 역할 및 기전에 대해 규명할 계획입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이 논문이 완성되기까지 도와주신 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김정훈 교수님께 항상 감사드립니다. 교수님께서 independent scientist가 되라고 말씀하셨었는데 그 모습에 다가갈 수 있도록 더 노력하겠습니다. 옆에서 자리 지켜주는 랩멤버 수진언니에게도 고맙고, 앞으로도 이렇게 서로 배우고 성장하는 좋은 관계가 지속되기를 바란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이번 논문에서 super-enhancer 분석을 도와주신 디지털헬스학과 원홍희 교수님과 홍상훈 학생에게도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좋은 협력관계 유지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응원해주는 사랑하는 우리 가족들과 친구들에게도 고마운 마음을 표합니다.
#DBC1
#Coactivator
#Transcriptional regulation
관련 링크
연구자 ID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